감독관 평의회 명령에 의거
이하 파일은 케테르 등급의 곰 변칙존재를 묘사하며,
등급 2/2875 기밀에 해당합니다.
비인가 접근은 금지합니다.
2875
일련번호: SCP-2875
등급: 케테르(Keter)
담당 기지: USMTDE 제38기지
이사관: J.R. 에릭슨
연구 책임자: 앤서니 델루시아
배정 특무부대: 람다-2
SCP-2875의 결과인 위스콘신 주 ███████에서의 SCP-2875-A.
특수 격리 절차: 위스콘신 주 ███████ 마을을 중심으로 한 반경 2 km의 경계선이 세워지며, 재단 인원이
아닌 인물은 이 구역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 기동특무부대 람다-2 "체인 갱"이 SCP-2875의 격리를 감독한다.
개정 특수 격리 절차: 최근 발견된 결과를 토대로 기동특무부대 람다-2에게 인정을 받은 장비만 SCP-2875-A 개체를 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그 어떤 상황에서도 총기 및 폭발물, 기타 부적절한 도구로 SCP-2875-A 개체를 쫓아내려는 인원이 있어서는 안 된다.
설명: SCP-2875는 위스콘신 주 ███████ 마을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3일 간격으로 정오마다 50~100 마리의 성숙한 Ursus arctos horribilis (본토 회색곰) 들이 마을 곳곳에 출현한다. 이들 개체는 변칙적인 내구력/이동 속도/적대심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이러한 상황에 놓인 동종의 개체처럼 행동한다.
이 현상은 누적되는 것으로 보인다. 개체 (SCP-2875-A)는 짧은 시간동안 마을의 중심에 남은 뒤 흩어지고 3일 후에는 추가적인 개체들이 출현한다. 곰의 서식 수에 대한 잠재적인 문제에 의해, 새로운 개체는 가능한 한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현재 SCP-2875-A 개체를 제거할 때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수단은 고농도 에어로졸 진정제 스프레이를 사용한 뒤 둔기를 이용하여 두개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다. 총기, 화기 및 폭발물을 이용해 개체를 살해하게 되면 시체 옆에 개체 2마리가 출현되게 하는 결과가 초래된다. 이에 따라 재단 표준형 전동 전기톱만을 개체에게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으며, 다른 둔기 또는 칼은 기동특무부대 대장의 지시에 따라 사용이 승인된다.
회수 기록: SCP-2875는 마을 사람들이 돌연 실종되었다는 보고를 받고 조사를 위해 파견된 재단 격리 팀에 의해 발견되었다. SCP-2875-A 개체가 범람했기 때문에 상황은 곧 밝혀졌다. 처음에 격리 팀은 모든 개체를 ███████ 마을 외부에 있는 다른 서식지로 이송시킬 준비를 갖추고 있었지만, SCP-2875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성질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격리 절차가 확립되었다.
기동특무부대 대장의 메모: 제군들 중 상당수가 이걸 무슨 농담처럼 생각하고 있는 것 안다. 하지만 정기적으로 곰이 출몰하는 마을은 웃을 일로 끝낼 게 아니다. 우리가 이걸 방치하면 일대 생태계에 무슨 일이 일어날 거라고 생각하는 거지? 우리가 처음 돌입했을 때부터 여긴 빌어먹을 곰탱이 운동장이 되어 있었고 그건 사건 발생 이후 고작 며칠 뒤 시점이었단 말이다.
부록 2875.1: 회수된 음성메일
이하의 음성메일은 ███████ 밖의 동굴에서 발견된 무선 단말기에서 회수됐다. 단말기의 소유자는 아직 특정되지 않았다.
2875.1.1 - [00:00:25]
안녕하십니까, 시청 소속의 톰 밀러입니다, 당신이 얼마 전에 동네 모임에서 말했던 사소한 일에 관해서 연락을 하고 싶어서 말입니다. 아, 그러니까, 저한테 다시 걸어주세요, 서론이 좀 길어서요. 제 번호는 875-7112입니다. 그러니까, 아무튼 그때 다시 말합시다. 그럼.
2875.1.2 - [00:00:32]
톰입니다, 톰 밀러요, 시청 쪽 사람이고, 얼마 전에 당신이 말했던 사소한 일에 관해서 연락을 하고 싶습니다. 분명히 당신이 말하셨던 건 코요테에 관한 수해 일이셨던 것 같은데, 전 오히려 곰 쪽을 좀 어떻게 해야 하겠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그러니 언제 논의 할 지 가르쳐 주시고, 대책을 세워야죠. 제 번호가 875-7112인건 아실테니, 그 때 좀 더 자세히 말할게요, 감사합니다. 그럼.
2875.1.3 - [00:00:36]
네, 톰 밀러입니다, 그냥 알고 싶은 게 있어서 말입니다. 곰이 급증하고 있어요. 이 쯤에선 코요테가 보이지 않았으니 그 건은 됐겠죠. 하지만 문제 하나가 있어요, 곰 한마리가 동네에 와서 마을 여자애 한명이 좀 겁먹고 있거든요. 그러니까 이것에 대해서 우리가 이야기 좀하고, 제가 좀 자세히 알면 참 좋을 것 같아서요. 네, 정말 감사합니다, 네, 번호는 875-7112에요, 그 때 말합시다. 감사합니다. 그럼.
2875.1.4 - [00:00:31]
네, 톰 밀러입니다, 당신 목소리 못 들은지 좀 됐네요. 좀 알고 싶은 게 있지만, 저 말고도 곰이 너무 많지 않을 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몇 분 있거든요. 코요테가 거의 마을에서 나가버렸으니까 이 때를 노려서 곰이 들어온 듯 싶습니다. 그러니까 빨리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할 것 같아요. 좀 문제가 되고 있거든요. 저한테 전화하시려면, 875-7112로 부탁드립니다, 조만간 이야기할 수 있다면 좋겠네요, 그럼.
2875.1.5 - [00:00:30]
네 들어봐요 지금 마을에 곰이 너무 많아요. 얼마 전에 어린 남자애가 덮쳐졌어요, 길거리에서요, 엄마랑 같이 있었는데. 곰 한 마리한테 당했다고요, 네, 지금 곰이 너무 많아요. 전화 좀 다시 걸어주세요, 최대한 빨리요, 그리고 이 건 관련으로 뭔가 할 일이 있을 겁니다. 네 감사합니다, 잠깐만요, 875-7112, 예 여기로 전화 주세요, 감사합니다, 그럼.
2875.1.6 - [00:00:43]
예 저기요 제 집 밖에 곰이 있어요. 내 이웃은 곰한테 씨발 먹혀버렸고. 예 거리에도 곰이 있고, 남의 집에도 곰이 있고, 우리가 뭐든 해야 해요. 밖에 나갈 수도 없고, 내 아이는 학교에 있어요, 마중 나갈 수도 없다고요. 예 내 차 위에도 곰이 있네요, 왜 (곰이 공격하는 소리) 오 신이시여 제발 곰이 집 안에 있어, 오, 875-7112로 전화 줘요 제발 (발신음).
@font-face {
font-family: 'MapoDPPA';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001@1.1/MapoDPPA.woff') format('woff');
font-weight: 700;
font-style: normal;
}
@supports(display: grid) {
:root:lang(ko) {
--header-title: "SCP 재단";
--header-subtitle: "확보 - 격리 - 보호";
/* Typefaces */
--body-font: "Roboto", 'NanumBarunCatsi', sans-serif;
--header-font: "Josefin Sans", 'MapoDPPA', sans-serif;
--title-font: "Josefin Sans", 'MapoDPPA', sans-serif;
--mono-font: "Fira Code", "Andale Mono", "Courier New", Courier, 'Nanum Gothic Coding', monospace;
}
}
.modalbox {
background: rgb(var(--dark-gray-monochrome));
box-shadow: 0 2px 6px rgb(0 79 102 / 50%);
}
.modalbox .close-credits {
filter: invert(1);
}
/* 폰트 출처: https://noonnu.cc/font_page/776 */
@font-face {
font-family: 'establishRetrosansOTF';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112@1.0/establishRetrosansOTF.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root:lang(ko){
--header-title: "재 단";
--header-subtitle: "격리부";
--header-font: "Josefin Sans", "establishRetrosansOTF", sans-serif;
--title-font: "Josefin Sans", "establishRetrosansOTF", sans-serif;
}
#header h2 span {
font-size: calc(var(--base-font-size) * 1.35);
}
.top-right-box > .level {
line-height: 0.5;
}
body .danger-diamond > .arrows {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페이지 내역: 13, 마지막 수정: 22 Dec 2021 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