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P-1565-KO

일련번호: SCP-1565-KO

등급: 유클리드

특수 격리 절차: SCP-1565-KO의 확보된 개체를 격리 하에서 사육할 방법은 고안되지 못했기 때문에, 채집된 개체들은 액침표본하여 채집 위치와 날짜를 상세히 기록 후 보관한다. SCP-1565-KO가 다수 발견되는 것으로 의심되는 지점이 있다면 특히 12월~3월까지 잠정 폐쇄하여 민간인의 침입을 막는다. 특히 협소하되 명확한 국소적 온도 변화가 있는 서식지라면 SCP-1565-KO 서식지로 의심할 수 있다.

다만 현재 민간 야생의 SCP-1565-KO 대다수가 절멸한 것으로 추측되기 때문에, 대다수의 SCP-1565-KO는 변칙적 지역인 Nx-146 ("해원읍")에서 서식하고 있다. 해당 지역이 장막 정책이 적용되지 않고 SCP-1565-KO의 서식지가 광범위한 바 제145K기지 해원분소는 이들의 서식지에 펜스를 설치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SCP-1565-KO는 확보하고 출입은 통제한다.

곤충학부는 SCP-1565-KO와 다른 비변칙 근연종을 구분할 수 있도록 표준 동정 분류 절차를 연구한다.

640px-2018-01-10_unidentified_snow_fly_3.jpg

SCP-1565-KO.

설명: SCP-1565-KO는 눈각다귀속 (Snow flies, Chionea(Dalman, 1816))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변칙적인 파리목 곤충의 한 종이다.1 여타 눈각다귀속 곤충과 같이 SCP-1565-KO 성충은 다른 곤충이 서식하기 극도로 어려운 0~5°C 사이의 저온 환경에서 활동하며 흔히 부동액으로 알려진 글리세롤 계통의 체액을 통해 신체가 빙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행 능력이 없고 지면에 가까운 곳에 서식하며 유기물을 주로 섭식한다.

다른 평범한 눈각다귀와 SCP-1565-KO가 크게 다른 것은 SCP-1565-KO가 지닌 외적인 특성도 있겠으나 크게는 기온 조작 능력에 기인한다. SCP-1565-KO 성충들이 눈이나 얼음이 얼지 않은 지표면이나 사물의 표면을 기어가기 시작하면 서서히 성충 주위 5cm²에 달하는 원형 공간의 온도가 급격히 하락, 최종적으로 -5°C~0°C에 달하는 저온의 미소공간이 형성된다.

Running-gif-8bit.gif

이동하는 SCP-1565-KO.

이러한 미소공간은 특히 음습하고 햇볕이 들지 않는 숲이나 산림 음지 등의 지표면에서 발생할 경우 습기가 응결되어 자못 성에나 서리가 내린 듯한 모습이 된다. 또한, SCP-1565-KO 등의 눈각다귀는 영하의 표면 위를 분당 최대 0.8미터로 이동하기 때문에 저온으로 인한 성에가 일직선을 그리며 이동하는 듯이 보인다. SCP-1565-KO 개체가 멀어짐에 따라 이미 응결된 습기는 빠르게 증발하거나 융해될 수 있지만 주위 환경의 온도가 낮을수록 그 속도가 느려지므로 흔적이 뚜렷하게 남는다.

변칙성이 어디까지나 진화를 통해 뚜렷해진다는 가설 하의 서술이지만, SCP-1565-KO는 자신 주위에 저온의 환경을 형성함으로서 개미, 배회성 거미, 침노린재 따위의 작고 온도 변화에 민감한 천적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리라 추정된다. 이 가설은 SCP-1565-KO가 상시 유지되는 변칙성 외에 소형 천적으로부터 도망치려는 다른 활동은 보다 적게 나타낸다는 점에서 특기할만 하다.2

SCP-1565-KO가 움직임에 따라 온도가 변화, 지표면에 특징적인 형태가 나타난다는 것은 상술하였다. 이로 인해 특정 기록에서 "가을날이나 겨울철에 선 형태로 길게 드러났되 좁게 서리가 쌓인 형상"이 초상현상으로 서술되었다는 것은 SCP-1565-KO가 과거에 기록되었다는 점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SCP-1565-KO이 기록된 것으로 의심되는 민간ㆍ초상조직 기록은 광범위하여 불어도감3부터 수집원4에 이르기까지 존재한다. 특히 SCP-1565-KO는 심령 독립체 ("귀신")로 자주 오인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SCP-1565-KO가 이전에는 한반도와 일본 열도 일대에 서식했으리라 추측됨에도 현재 대다수의 기준차원 서식지에서 SCP-1565-KO는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추정되는 이유는 복합적이다. 산림 파괴와 공해로 인한 소멸부터 지구온난화로 인해 기온 변화가 발생, 유사한 서식 환경에 있는 다른 눈각다귀나 한국산 귀뚜라미붙이속 (Galloisiana, (Caudell & King 1924))5처럼 급격히 멸종했다는 주장, 혹은 재단이 개체들을 채집하고 서식지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소멸했다는 주장이 존재한다.

즉 SCP-1565-KO는 확인이 어려운 한반도 이북을 제외하고는 대다수의 한반도 지역에서 거의 멸종되었고, 인근 동북아시아에 서식했다 해도 재단 조사 이전 이미 절멸했을 것이다. 유일하게 현재에도 다량의 SCP-1565-KO가 서식하는 지대는 외부차원 요주의 위치인 Nx-146 ("해원읍")의 북부 삼림의 습하고 완만한 계곡 지형 뿐이다.



현재 SCP-1565-KO는 그 까다로운 서식 환경(온습도, 먹이, 번식)으로 인해 확보하여 사육하기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야생에서 SCP-1565-KO을 추적하여 번식이나 발생 같은 사항을 연구하기도 어렵다. 즉 SCP-1565-KO 연구 대부분이 현재 보류되는 실정으로서 내력 및 문화 조사에 치중되어 있다. 그리고 2024년 이후 제145K기지 곤충학부가 보다 넥서스에 유화적인 정책을 취하면서 이러한 연구의 범위가 보다 확대되었다.



Nx-146 내의 SCP-1565-KO 역시 거주구역에서 근접한 개체들이 소작 및 개간으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인간 거주민들의 경우에는 SCP-1565-KO를 꺼렸으므로 화재 등으로 소각하였을 가능성도 높다. 이로 인해 SCP-1565-KO 개체들의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 Nx-146의 "전통적" 인구가 감소하고 재단 인원, 한낮의 떡갈나무 유랑극단 (GoI-360) 등이 유입되면서 SCP-1565-KO는 문화적 실체로서의 입지를 거의 잃어버렸다. 이는 주거지 근처에서 SCP-1565-KO를 보기 힘들어진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는 한반도 문화권의 까치나 까마귀 등 상징적 동식물과 유사한 문화 쇠퇴 방식으로 간주되었다. 현재 SCP-1565-KO에 집중하는 주체는 재단 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SCP-1565-KO 연구는 기지 곤충학부의 대표적 과제이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기록정보보안행정처 공고

이하 파일은 3등급 보안 인가가 필요합니다. 무허가 접근은 금지합니다.

인가 확인


🈲: SCP 재단의 모든 컨텐츠는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