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스노동물의료소는 동물 치료를 전문으로 하는 진료조직이다. 쿠스노동물의료소는 일반적으로 치료가 빠른 병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초상적 수단에 의한 치료 및 초상동물의 치료 및 개조도 하고 있음이 밝혀져 있다. 의료소가 초상동물을 치료함으로써 변칙성이 민간으로 번지는 것을 최소화하고 있는 점, 의료소가 민간에 높은 지명도를 확보하고 있는 점으로 인하여, 재단은 적극적으로 간섭하지 않고 최소한의 교류만 하고 있다.
동물형 변칙존재가 아프거나 격리 도중 부상을 입었을 경우 재단 쪽에서 치료를 의뢰하기도 한다.
쿠스노동물의료소는 그 사명에 의료의 신 쿠사노 카미의 이름을 붙인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초상적 힘으로써 동물의 치료를 실시합니다. 동물형 변칙존재의 변칙성도 치료라는 명목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의료사고를 저지르거나, 치료 중의 동물이 탈주하기도 하겠죠.
그러나 그들의 기저에 있는 것은 "선善성性". 동물과 그 주인의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새로 쓰는 작품부터 이미 완성되어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동물형 변칙존재라면 모두 무한한 가능성을 줄 수 있는, 그것이 『쿠스노동물의료소』입니다.
작품 속에 주인과 변칙동물을 위해 쓴 편지가 나오기도 합니다. 딱히 규칙은 결정되지 않았지만, 「배계」로 시작하는 「시절의 인사」가 있고, 그 다음 「본론」으로 들어갑니다. 그 뒤에는 「건강하세요」로 마무리되는 경우가 많은 「경구」로 맺고, 마지막에 「담당의사 이름」이 기록됩니다.
편지가 없어도 「건강하세요」 한 마디만은 작품 안에 포함시켜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쿠스노동물의료소의 GoIF는 동물의 진료기록, 이른바 카르테Karte입니다. 여기서는 그 양식과 각 항목을 설명합니다.
[[module css]]
/*
Powered on 2020/09/23 23:53:08
[2020 Wikidot Theme]
Created by dhueguang
CC BY-SA 3.0
*/
/*
ヘッダー
*/
#search-top-box-input {
display: none;
}
#search-top-box {
top: 105px;
}
#login-status {
top: 15px;
}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scp-jp-storage.wikidot.com/local--files/file:3704020-5-nqrx/kusuno_bg.png) top left repeat-x;
}
div#header {
background: url(http://scp-jp-storage.wikidot.com/local--files/file:3704020-4-hx06/kusuno_logo.png) no-repeat;
background-size: 88px 88px;
background-position: 10px 26px;
}
div#header h1 a span {
font-size: 0px;
}
div#header h1 a:before {
content: "쿠스노동물의료소";
color: #fdf9f9;
text-shadow: 2px 2px 2px rgb(234,94,0);
}
div#header h2 span {
font-size:0px;
padding: 4px;
}
[[/module]]
[[module css]]
/*
1ページ目
*/
.profile {
display: block;
overflow: hidden;
font-style: normal;
font-size: 12.5px;
background-attachment: scroll;
background-clip: border-bo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rgb(125, 125, 125) 5%, rgb(255, 255, 255) 5%);
background-origin: padding-box;
background-position: 0px 0px;
background-repeat: repeat;
background-size: 100% 20px;
padding: 0px 12.5px;
margin-bottom: 19px;
border-top: solid 1px rgb(125, 125, 125);
border-left: solid 1px rgb(125, 125, 125);
border-right: solid 1px rgb(125, 125, 125);
}
.profile p {
line-height: 20px;
margin: 0;
}
/*
2ページ目以降
*/
.shinsatsu {
display: block;
overflow: hidden;
font-style: normal;
font-size: 12.5px;
background-attachment: scroll;
background-clip: border-box;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top ,rgb(125, 125, 125) 5%, rgb(255, 255, 255) 5%);
background-origin: padding-box;
background-position: 0px 1px;
background-repeat: repeat;
background-size: 100% 20px;
padding: 1px 12.5px;
margin-bottom: 10px;
}
.shinsatsu p {
line-height: 20px;
margin: 0;
}
/*
診療日と番号の枠
*/
.bangou {
display: block;
height:50px;
background-color:#ffffff;
position:relative
}
/*
画像の調整
*/
div.image-container.floatright{
padding: 10px 0px 10px 0px;
}
[[/module]]
[[div style="border: 1px solid;background-color: #ffffff; box-shadow: 2px 2px 4px; padding: 1em; margin: 20px 0px; min-width: 295px"]]
[[div class="bangou"]]
[[div style="position:absolute; top:0px; left:0px"]]
__No.XXXX__
[[/div]]
[[div style="position:absolute; top:0px; right:0px"]]
초진일: __YYYY/MM/DD__
[[/div]]
[[/div]]
[[div class="profile"]]
**사육주명:**
**연락선:**
**주소:**
[[/div]]
[[div class="profile"]]
**이름:**
@@@@
**동물종:**
@@@@
**품종:**
@@@@
**성별:**
@@@@
**생년월일:**
@@@@
**체색:**
@@@@
**체중:**
@@@@
**성격:**
@@@@
**식이:**
@@@@
**기왕증:**
@@@@
**동거동물:**
@@@@
**비고:**
[[/div]]
[[/div]]
[[div style="border: 1px solid;background-color: #ffffff; box-shadow: 2px 2px 4px; padding: 1em; margin: 20px 0px; min-width: 295px"]]
[[div class="bangou"]]
[[div style="position:absolute; top:0px; left:0px"]]
__No.XXXX__
[[/div]]
[[div style="position:absolute; top:0px; right:0px"]]
진료일: __YYYY/MM/DD__
[[/div]]
[[/div]]
[[div class="shinsatsu"]]
**주소:**
@@@@
**현병력:**
@@@@
**현증:**
@@@@
**치료방침:**
@@@@
**치료방법:**
@@@@
**예후:**
[[/div]]
[[>]]
담당의:
[[/>]]
[[/div]]
각 항목의 해설
No. 카르테에 배정된 번호. 환축마다 배정됩니다.
초진일: 처음 진찰을 한 날.
사육주명, 연락선, 주소: 사육주에 관한 정보
이름, 동물종, 품종, 성별, 생년월일, 체색, 체중, 성격, 식이, 기왕증, 동거동물, 비고: 진찰대상인 동물에 관한 정보. 기왕증이란 그전까지 앓았던 적이 있는 질환을 의미.
진료일: 이번의 진찰을 한 날.
주소: 주로 호소되는 병증. 가급적 주인의 증언대로 쓰는 것이 권장됩니다.
현병력: 주소에 대하여, 지금까지 무엇을 하고 무엇이 일어났는지.
현증: 수의사가 살펴본 바.
치료방침: 무엇을 어떻게 치료할지 향후 방침을 세운 것.
치료방법: 실제로 행한 치료, 투여한 약물 등.
예후: 치료가 끝난 뒤 (입원 중에서 퇴원까지 환축의 모습) 을 씁니다.
담당의: 진료를 담당한 수의사 이름을 씁니다.
주의사항
이 GoIF에 이미지를 넣는 경우, 높이 픽셀을 20의 배수로 지정해야 글씨가 괘선에 겹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