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뭡니까?
AIAD
이 세계관에서, 인공지능응용학과(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Division), 약자 AIAD는 엄밀히 따졌을 때 SCP 재단 정보기술부의 한 과로 딸려 있는 실험적 연구 부서입니다. 이 분과의 유일한 목적은 급성장하는 인공지능과학 분야를 개발, 이해 및 활용하는 것입니다. 환상적이지만 이해가 부족하고, 또 때로는 푸대접받는 분야이지요.
재단은 이 최전방 기술을 이해하는 데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면, 다른 정부기관이나 단체가 먼저 할 것임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실 재단 밖에서 그 기술이 시험되고 있다는 증거가 이미 존재합니다. 그 한가지 사실만으로도 AIAD가 매년 풍부한 예산을 책정받을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구조를 보면, 전산학에서부터 통신기술에 이르기까지 관련된 다수 배경지식을 갖춘 많은 연구원들이 있습니다. 파일상의 AIC들은 각각 자신들의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자기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모든 생각은 하드웨어적으로 내장된 "기본원칙"을 준수하게 되어 있습니다. 함께 연구를 진행하며 그들은 의식을 창조하고 또 적대적 존재들로부터 재단 뿐만 아니라 인류를 방어하는 새로운 길을 모색합니다.
기동특무부대 카파-10 ("스카이넷Skynet")
재단은 세계가 더욱 기술적이고 또한 기술에 의존적인 세상이 되어감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 세계 안에는 세계를 지켜보며 또한 보호하는 존재가 있어야 합니다. MTF Κ-10은 아직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치명적 문제에 대한 거의 "무릎반사"적인 반응으로 만들어졌습니다.
MTF Κ-10의 핵심 목적은 SCP 재단 및 인터넷 일반에 대한 무형의 위협을 추적, 수사, 그리고 가능하다면 포획 또는 무력화시키는 것입니다. 이는 대(對)인공지능 강제력이라는 역할을 상정합니다. 빛의 속력으로 움직이고 또 생각할 수 있는 위협을 쫓아 인터넷을 순찰하는 것은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므로, 그들을 대신해 AIC들이 궂은 일을 도맡게 됩니다. 징집된 AIC들은 매우 짧은 개목줄로 연구원들 및 제19기지의 알렉산드라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AIC들이 실세계 바깥에 풀려났을 때 작동하고 또 자기 일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유지하는 것은 AIAD의 매우 큰 걱정거리입니다. 때문에 이 분과 밖에서는 과거의 실수들에서 그랬던 것처럼 자기 얼굴에 폭탄을 터뜨리는 짓이 되기 전에 MTF를 해산시켜야 한다는 총의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어느 방향이든 확실한 결정이 내려지기 전까지, AIAD는 자기들의 업무를 제대로 수행해야 하면서 또한 동시에 외부의 압력까지 안팎으로 짓눌리게 될 것입니다.
맥스웰파 네트워크
맥스웰파는 부서진 신의 교단의 한 종파로,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맥스웰파 교단"(GOI-004C)은 숭배의 수단으로 근대화된 전산 및 통신망을 지향한다. 교단의 중앙 조직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면담 및 은밀한 감시를 통해 밝혀낸 바로는 현재까지 발견된 모든 세포들은 서로서로 정기적인 접촉을 가지며 협력도 가능하다. 맥스웰파는 발전된 인공두뇌학과 장기 강화를 통해 신체를 소규모 개조하는 것을 선호한다. 인공 팔다리나 강화 골격 같은 것도 관찰된 바 있지만, 맥스웰파의 신체개조는 주로 통신, 데이터 저장, 네트워킹 능력, 감각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두는 경향을 보인다.
인공지능응용학과 카논에서 맥스웰파는 딱히 우호적이지도 적대적이지도 않은 별개의 조직으로서 행동합니다. 그들은 재단이 알지 못하는 자기네 일을 하는 데 방해를 받지 않길 원할 뿐입니다. AIAD와 맥스웰파 사이의 관계는
SunnyClockwork가 쓴 기본적 관찰들이라는 이야기에서 밝혀집니다. 이 이야기를 보면 맥스웰파 네트워크와 계급구조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나와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이 스레드에 문의해 주세요.
AIAD를 쓰는 방법
테마
시리즈를 보면 알겠지만, 지켜야 하는 시각적 스타일이 존재합니다. AIAD는 독자를 몰입시키기 위한 시각적 스토리텔링과 새로운 형식들의 시도로 유명해졌습니다. 이러한 특수효과가 AIAD의 가장 기념할 만한 성취이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그 기저를 이루는 것은 아닙니다. AIAD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텔링을 보여주는 방식이 아니라 스토리텔링 그 자체입니다.
세계관 구축
또한 AIAD는 광활한 가상세계와 이전에 존재한 모든 내용들로부터 자유로운 새 등장인물들을 만들어볼 기회가 됩니다. AIAD는 믿기지 않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아무리 이상해 보이는 것이라도 무엇이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억해야 할 중요한 것은, 인공지능이 보는 세계는 모두 가상이라는 것입니다. 인간세계와 가상세계는 어느 쪽이 더 느리게 움직이느냐를 제외하면 사실상 구분할 수 없습니다.
관계
또한 AIAD는 인간들과 인공지능들 사이의 관계를 크게 조명합니다. 이 카논의 인공지능들은 인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격이 있다고 해서 그들이 자신의 사무적 임무들을 더 잘 수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감, 교우, 호기심 등의 유연한 특성들은 인공지능들의 작동 및 제어를 보다 쉽게 만듭니다. 즉슨 인공지능들이 표출하는 인간 같은 감정과 반응들이 모두 설계에 따른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심지어 몇몇 인공지능들은 상호간에 깊은 감정적 유대를 맺기도 하고, 어떤 것들은 옹졸한 원한을 품기도 합니다. 이들이 윤리위원회의 인지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들은 사람인 것입니다. virtual(가상의; 사실상의) 사람이지요.
재미
AIAD는 재미를 추구합니다. 이야기가 극적일 수도 있고, 긴장감 있을 수도 있고, 또 잘만 한다면 무서운 이야기가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SCP 세계관에서 인간들에게 집중할 필요가 없는 무언가 다른 것을 다룰 때는 이런 방법이 주로 사용됩니다. 당신의 상상력을 과감하게 발휘하세요.
코드
말풍선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괄호 안은 적절한 내용으로 채워져야 합니다. 코드 사용에 질문사항이 있을 경우
LurkD에게 연락하세요.
[[div style="float:right; width: 240px; text-align: right; margin-top: 0; margin-right: 0; margin-bottom: 10px; margin-left: 10px; padding-right: 10px;"]]
[[div style="color: [글자색, HEX#]; font-size: 9.5pt; background-color: [배경색 HEX#]; font-family: Verdana, Arial, sans-serif; border-radius:30px /70px; background: [배경색 HEX#]; background:linear-gradient([배경색 HEX#], [배경그림자색 HEX#]); text-align: left; padding: 2px 20px;"]]
[내용]
[[/div]]
[[div]]
[[image [그림] width="75px" style="margin-right: 20px;"]]
[[/div]]
[[/div]]
[[div style="clear: right;"]]
[[/div]]
이야기 시계열표
이 많은 이야기들을 어떤 순서로 읽어야 하나 고민이라면, 다음 순서로 읽으면 작중 시간 순서대로 읽어볼 수 있습니다.
언제 한번 또 정주행할 시간이 있었으면 좋겠네요.
정주행 끝!
카논 시계열표
시계열 바깥의 MTF 카파-10 등장
세계관 연표
1970년대
- 1976년: SCP 재단의 디지털화 필요성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전용 자동화 행동자를 개발하라는 임무가 정보기술부에 하달된다.
- 1978년: 정보기술부가 퇴물이 된 에니그마그래프를 대체할 디지털 적응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프로젝트 로제타(aka “8번 공”)를 개시한다.
1980년대
- 1985년: 8번 공이 최종 단계까지 개선된다.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지각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하는 직원들이 생기기 시작했으나 검증은 불가능했다.
- 1987년: 8번 공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프로젝트 코린트(aka "글라송"Glacon)가 제안되고 향후 개발 업무에 포함된다.
- 1988년: 재단이 *SCP-079를 습득한다.
- 1989년: 재단 정보기술부의 하위분과로 인공지능응용학과(AIAD)가 발족한다. AIAD의 첫 임무는 SCP-079를 역설계하는 것이었다. SCP-079에서 얻어낸 코드 중 여러 줄이 [편집됨]에 제안된다.
1990년대
- 1993년: AIAD가 오랜 개발기간 끝에 2세대 AIC(인공지능 징집병Artificially Intelligent Conscript) 글라송의 베타테스팅을 시작하다. Glacon.aic에는 의사결정 기능을 위해 매우 효율적인 논리 프로세스와 자가구축 위험분석 모델 템플릿이 탑재되었다. 8번 공은 이미 퇴역했지만 사후 1세대로 지정되었다.
- 1994년: AIAD가 글라송을 완성하고 제17기지 서버팜에 그를 배정한다.
- 1996: SCP-5241로 인해 제기된 분석적 난점에 대응해 AIAD는 반개념과와 합작하여 항밈을 감지하고 복호화하는 데 특화된 징집병을 만드는 프로젝트 루비RUBY(aka "므네모쉬네"Mnemosyne)의 베타테스트를 신속히 기획한다. SCP-5241을 구성하는 지능들을 수색하기 위해 Mnemosyne.aic, Glacon.aic, 8B-A1.aic 들이 일시적으로 재취역한다.
- 1997: 제15기지가 항밈차폐 능력을 보유한 고도로 협동적인 대규모 테크노 군대의 내습을 받는다. 이 분쟁은 알 수 없는 이유로 갑자기 종료되었고, 그 결과 SCP-5241-A와 므네모쉬네가 소실되었다. 글라송은 이 사태 이후로 점점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어 결국 인격 드라이버가 삭제된다. AIAD는 글라송의 플랫폼을 재활용하여 계속 진행되는 AIC 연구에 기반한 새로운 기능들을 활용하는 프로젝트 아퀴나스AQUINAS(aka "그레이프"Grape)를 개시한다.
- 1998년: 그레이프가 예정보다 앞서 2+세대로 공개되다. 첫 시험 이후 그레이프는 재단의 가상요원 임용에 탈락한다. 많은 고위직들은 다가오는 “인지적” 가상요원의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그들을 빚덩이라고 불렀다.
2000년대
y2k 01111001
00110010
01101011
- 2001년: 2+세대의 출시가 연기되고 결국 흐지부지된다. 고도의 인지기능을 가진 AIC에 대한 우려 때문에, 또는 2세대 논리기반 시스템을 보다 진보한/적응적 상태로 개발하기 위해 AIAD가 2개 개발팀으로 분리된다.
- 2005년: 3세대 AIC들이 동시에 개발된다. 그 중 하나가 프로젝트 EL-028-1125였고, 이후 모 직원에 의해 "햇봇"HatBot이라는 별명이 붇는다.
- 2007년: 숱한 시행착오 끝에, 과거의 가상 환경에서 경험한 명백한 결함들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햇봇을 인간형 안드로이드로 개조한다.
- 2007년: "햇봇 사건"이 발생한다. 안드로이드가 직원 여러 명을 해치려 시도하고 최종적으로 AIAD 연구실들과 제19기지 전반을 파손한다. 사건 이후 햇봇은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다.
- 2008년: AIAD에 대한 오랜 내사 끝에 2개월 뒤 3세대 AIC에 관한 모든 것이 매장된다. AIAD는 감축당한다.
- 2009년: 햇봇은 여전히 미아 상태이고 그 흔적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사건은 미해결로 지정되고 우선순위 하순위로 분류된다. 조사 담당자들은 다른 곳으로 재배치된다.
2010년대
- 2011년: AIAD가 다시 AIC를 만들기 시작했고, 이번에는 기존의 플랫폼이나 템플릿들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프로젝트 듀이(aka "알렉산드라"Alexandra)가 유일한 4세대 AIC로서 개발된다.
- 2012년: 알렉산드라는 시험 가동에서 유망한 결과를 보였고 별 탈 없이 19기지에 공개된다. 하찮은 사무 업무들을 알렉산드라에게 일임함으로써 직원 생산성이 32% 상승한다.
- 2013년: AIAD의 향후 AIC 연구를 위해 알렉산드라와 글라송이 AIAD의 플래그십으로 지정된다. 추가적인 가상요원 개발에 예산을 타기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이루어지다. AIAD의 확장이 허가된다.
- 2014년: 제17기지 서버팜에 치명적 멜트다운이 발생하다. 글라송을 비롯한 기지 데이터의 89%가 소실된다.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 2015년: 알렉산드라가 제19기지외 제17기지를 모두 관리하면서 여러 외적인 분야에도 적용된다. AIAD는 독립형 이동식 AIC 프로젝트 벨(aka "토른"Thorn)의 베타테스팅을 개시한다.
- 2016년: 특수 긴급 명령에 의해 8번 공, 그레이프, 토른이 모두 재취역하여 특별임무를 맡고 임시로 카파-10(“스카이넷”)이라는 기동특무부대 인식표를 부여받다.
- 2016년: MTF 카파-10이 “햇봇”이라고 알려진 탈영자를 체포한다. 문제의 AIC는 SCP-2522로 지정되어 영구히 구금된다. MTF 카파-10은 업무 평가에 따른 조건부 확대를 허가받는다.
용어집
.aic / AIC
- 파일 확장자 ".aic"는 "인공지능 징집병(artificially intelligent conscript)"의 약자이다. 거의 모든 AIAD AIC들은 .aic 확장자를 갖는다.
.scpl
- 파일 확장자 ".scpl"은 때때로 SCP 인트라넷의 페이지들을 표시할 때 사용된다.
.x3d
- 파일 확장자 ".x3d" 는 때때로 SCP 재단의 컴퓨터에 가상환경을 만들 때 사용된다.
집계층Aggregated Layer
- 집계층은 맥스웰파 네트워크에서 기본적 문제를 해결하고 기본층의 활동을 감시하며 새로운 구축 및 충원 계획을 마련하는 역할을 맡는다.
아바타Avatar
- 아바타란 가상세계에서 누군가를 나타내는 시각적 표현물이다.
기본층Basic Layer
- 기본층은 젊은 맥스웰파 교도들의 재미와 오락을 위한 공간으로, 대부분의 수익과 충원이 여기서 이루어진다. 교단 상층 입장에서 기본층은 상층을 숨기기 위한 위장업체 같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이퍼시티Cipher City
- 맥스웰파 네트워크 기본층에 다수 존재하는 젊은 신입 모집 허브들 중 하나.
칩박이Chipper
- 최근에 갓 신체개조를 받은 젊은 맥스웰파 신입들을 가리키는 기본층의 비속어.
편성층Compilation Layer
- 편성층은 맥스웰파 교단의 지도부인 헥사곤에서 직접 내려오는 명령을 수행하는 특수임무부대다.
만약 당신이 빈털터리 맥스웰파라면, 돈을 버는 일이 참 크리티컬(CRYTical)하겠군요?
boo
노잼 01100010
01101111
01101111
크리트Cryt
- 크리트는 기본층에 사는 맥스웰파들이 사용하는 암호화폐다.
#세대Gen(#)
- AIAD의 역사상 AIC 제작에는 다섯 번의 주요한 진보가 있었으며, 그 각각을 세대로 지정해 구분한다. 1세대Gen(1)부터 5세대Gen(5)까지 존재한다.
입출력 대신전Grand I/O Temple
- 맥스웰파 네트워크 기본층에 존재하는 커다란 시뮬스페이스. 여기서 수호자들이 숭배를 주관하고 플레이어들을 업로드한다.
헥사곤The Hexagon
- 여섯 명으로 이루어진 맥스웰파 교단의 최고사령탑. 이들 여섯 명은 WAN의 존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정신들을 연결하는 데 솔선수범하고 있다.
맥스웰파 네트워크Maxwellist Network
- 맥스웰파 교도들이 온라인으로 모이고, 생활하고, 일하고, 숭배하는 3층 구조의 계급적 네트워크.
길잡이별Lodestar
- 길잡이별은 소형 시뮬스페이스 프로그램/장치로,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지나갈 수 없는 주위 환경을 고속으로 통과하게 해준다.
인격 드라이버Personality Drivers
- 이 드라이버가 인공지능을 보다 사람답게 만들어준다. 공감능력, 호기심, 직관력 등의 특성을 발달시키며, 이로써 인공지능들과의 일상업무를 보다 쉽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시뮬스페이스Simulspace
- 시뮬스페이스는 각종 환경과 물체가 생성될 수 있는, 끝이 없는 가상현실이다. 문제해결과 물리법칙이 현실적/고선명도 상태 너머로 뻗어나갈 때가 잦고, 이러한 초현실을 구분하는 것은 어려워진다.
기본원칙Standard Principle
- 아시모프에게서 빌어온 개념인 기본원칙은 인공지능에 하드웨어적으로 내장된 법칙으로, 선택 또는 무위를 통해 위반될 수 없다. AIC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해 주는 요인 중 하나이나, 일각에서는 왜 이렇게 막연한 말들로 이루어져 있냐고 비난하기도 한다.
WAN
WAN송WANsong
- WAN송은 24시간 일주일 내내 방송되는 맥스웰파의 뉴스방송이다.
질의응답
이 얼굴 그림들은 어떻게 만든 겁니까?
러크 D, 당신 그림을 좀 사용해도 될까요?
- 나한테 물어볼 필요 없어요. 다 CC로 풀려 있으니까. 게다가 난 내 이름이 언급되거나 말거나 별 신경 안 써요.
전 코딩을 못해요 ;~;
- 필요한 게 있으면 그냥 복붙하세요. 코드는 자유입니다. 하지만 정해진 형식을 꼭 따라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건 필요사항이 정말 아닙니다.
필요사항이 아니라고요?
- 그래요. AIAD가 이 스타일 덕분에 유명해지긴 했지만, 그렇다고 스타일이 다인 게 아닙니다. 문서는 스토리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될 수 있습니다.
세 번째 시리즈를 쓸 생각은 있나요?
ew
으 극혐 01100101
01110111
나한테 아이디어가 있는데요, 크롬이 4chan을 가서—
좋아요. 그럼 뭘 써야 하나요?
- 미쳐 날뛰세요. 아무거나 쓰라구요. 그냥 아까 그것만 하지 말고.
시리즈 안에 제가 내용을 추가해도 될까요?
- 내가 쓴 두 개 시리즈는 스탠드얼론입니다. 그 시리즈들에 관한 글은 쓸 수 있지만, 그 시리즈에 포함될 글은 쓸 수 없어요.
새로운 AIC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어요.
- 좋군요. 그 존재가 타당한지 또 AIAD의 배경설정에 잘 맞는지만 확인하세요.
알렉산드라가 대화방에서 사라졌는데, 계속 이야기에는 등장시킬 건가요?
- 당분간은 그렇습니다. 버리기에는 너무 아까운 캐릭터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