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
--timeScale: 1;
--timeDelay: 0s;
}
/* Converting middle divider from box-shadow to ::before pseudo-element */
.anom-bar > .bottom-box { box-shadow: none!important; }
.anom-bar > .bottom-box::before {
position: absolute;
content: " ";
width: 100%;
height: 0.5rem;
background-color: rgb(var(--black-monochrome, 12, 12, 12));
transform: translateY(-0.74rem);
}
/* DIVIDER */
.anom-bar > .bottom-box::before {
animation-name: divider;
animation-duration: calc(0.74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1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32,.38,.39,.94);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 CLASSIFIED LEVEL BARS */
div.top-center-box > * {
animation-name: bar;
animation-duration: calc(0.45s * var(--timeScale));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ease-out;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div.top-center-box > :nth-child(1) { animation-delay: calc(0.2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2) { animation-delay: calc(0.32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3) { animation-delay: calc(0.4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4) { animation-delay: calc(0.61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5) { animation-delay: calc(0.7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6) { animation-delay: calc(0.9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 TOP TEXT */
div.top-left-box, div.top-right-box {
clip-path: polygon( 0% -50%, 150% -50%, 150% 100%, 0% 100%);
}
div.top-left-box > *, div.top-right-box > * {
position: relative;
animation-name: bottomup;
animation-duration: calc(0.65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ease-out;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 CONTAINMENT, DISRUPTION, RISK CLASSES */
div.text-part > * {
clip-path: polygon( 0% 0%, 100% 0%, 100% 100%, 0% 100%);
animation-name: expand2;
animation-duration: calc(0.5s * var(--timeScale));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12,.41,.27,.99);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div.text-part > :nth-child(1) {
animation-name: expand1;
}
div.text-part > :nth-child(1) { animation-delay: calc(0.6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ext-part > :nth-child(2) { animation-delay: calc(0.7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ext-part > :nth-child(3) { animation-delay: calc(0.86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main-class::before, div.main-class::after {
animation-name: iconslide;
animation-duration: calc(0.45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8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12,.41,.27,.99);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 BOTTOM TEXT */
div.main-class > *, div.disrupt-class > *, div.risk-class > * {
animation-name: flowIn;
animation-duration: calc(0.42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7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ease-out;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 DIAMOND */
div.arrows {
animation-name: arrowspin;
animation-duration: calc(0.7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6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12,.41,.27,.99);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div.quadrants > * {
animation-name: fade;
animation-duration: calc(0.3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1.4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12,.41,.27,.99);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div.top-icon, div.right-icon, div.left-icon, div.bottom-icon {
animation-name: nodegrow;
animation-duration: calc(0.4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1.4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12,.41,.27,.99);
animation-fill-mode: backwards;
}
div.diamond-part {
clip-path: polygon( -10% 0.37%, 120% 0.37%, 120% 100%, -10% 100%);
animation-name: diamondBorder;
animation-duration: calc(0.8s * var(--timeScale));
animation-delay: calc(0.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animation-iteration-count: 1;
animation-timing-function: cubic-bezier(.32,.38,.39,.94);
animation-fill-mode: backwards;
will-change: box-shadow;
}
/* MOBILE QUERY */
@media (max-width: 480px ) {
.anom-bar > .bottom-box::before {
display:none;
}
.anom-bar > .bottom-box {
box-shadow: 0 -0.5rem 0 0 rgb(var(--black-monochrome, 12, 12, 12))!important;
}
div.top-center-box > * {
animation-name: bar-mobile;
animation-duration: calc(0.9s * var(--timeScale));
}
div.top-center-box > :nth-child(1) { animation-delay: calc(0.1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2) { animation-delay: calc(0.2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3) { animation-delay: calc(0.3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4) { animation-delay: calc(0.4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5) { animation-delay: calc(0.5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div.top-center-box > :nth-child(6) { animation-delay: calc(0.6s * var(--timeScale) + var(--timeDelay)); }
}
/*-------------------------*/
@keyframes divider {
from { max-width: 0%; }
to { max-width: 100%; }
}
@keyframes bar {
from { max-width: 0%; }
to { max-width: 100%; }
}
@keyframes bar-mobile {
from { max-height: 0%; }
to { max-height: 100%; }
}
@keyframes bottomup {
from { top: 100px; }
to { top: 0; }
}
@keyframes expand1 {
from { opacity: 0; clip-path: inset(0 calc(100% - 0.75rem) 0 0);}
to { opacity: 1; clip-path: inset(0);}
}
@keyframes iconslide {
from { opacity: 0; transform: translateX(-5rem);}
to { opacity: 1; transform: translateX(0);}
}
@keyframes expand2 {
from { opacity: 0; max-width: 1%;}
to { opacity: 1; max-width: 100%;}
}
@keyframes fade {
from { opacity: 0;}
to { opacity: 1;}
}
@keyframes flowIn {
from { opacity: 0; transform: translateY(20px); }
to { opacity: 1; transform: translateY(0); }
}
@keyframes arrowspin {
from { clip-path: circle(0%); transform: rotate(135deg); }
to { clip-path: circle(75%); transform: rotate(0deg); }
}
@keyframes nodegrow {
from { transform: scale(0);}
to { transform: scale(1);}
}
@keyframes diamondBorder {
from { box-shadow: -0.5rem -20rem 0 0 rgb(var(--black-monochrome, 12, 12, 12)); }
to { box-shadow: -0.5rem 0 0 0 rgb(var(--black-monochrome, 12, 12, 12)); }
}
|
|
|
Info
SCP-601-KO: 가오리 날다 by SHARK_BYTES (특집!)
이미지:
- SCP-601-KO 사진1
- SCP-601-KO 사진2
|
|
100%
(+44) |
0%
(-0) |
-%
(+0) |
-%
(-0) |
|
무리에서 이탈한 SCP-601-KO 개체 1마리, SCP-601-KO 개체가 지나가자마자, 주변 지역이 완전히 황폐해졌다.
특수 격리 절차: 이 문단의 특수 격리 절차는 추후에 SCP-601-KO에 대한 여타 대응법이 개정되어도 항시 유지된다. 현재 SCP-601-KO의 가장 큰 군락은 한반도 제주도의 남쪽 바다 인근에 위치하며 SCP-601-KO의 대응을 위해서 다수의 비변칙/변칙적 무기들이 동반될 수 있다. 현재 제13K기지의 지역특무부대 제타-4 ("탐라국의 바위 군대")의 고속정 부대원 중 일부가 정찰조를 꾸려 SCP-601-KO의 동태를 감시 중이며, 만약 SCP-601-KO 개체들이 지정된 범위에서 벗어나 집단 이동을 시도한다면 그 즉시 제13K기지의 해양감시소로 보고해야 하며, 전투임무부대 카이-17 ("태평양")의 출격을 허가한다. SCP-601-KO와의 교전 중에는 절대로 개체들이 공격자를 인지할 수 있게 해서는 안되며, 전면전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최대한 그 소속이 밝혀지지 않게 해야 한다. 만약 개체들의 이동을 막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SCP-601-KO의 진로 위의 존재하는 모든 민간들을 해당 장소에서 이동시켜야 한다. 현재 SCP-601-KO는 제주도 바다에만 서식하는 "검은 하늘 왕가오리"로 민간에게 알려져있으며, 민간에게는 해당 개체가 피부에 위험한 독을 지니고 있고, 멸종위기종이라는 명분으로 관찰 및 포획을 규제한다. SCP-601-KO를 직접 목격한 민간이 발견될 경우 B급 이상의 기억소거제를 투여한다.
아래의 특수 격리 절차는 SCP-601-KO 개체의 생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나우루 공화국의 특정 일족들에 대한 대응법이다. 해당 특수 격리 절차는 유동적으로 개정될 수 있다. 2012년 개정된 절차 참조
1942년 개정판
나우루 섬 부근에서 SCP-601-KO의 개체 생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민간 부족이 발견되었으며, SCP-601-KO의 생성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해당 일족의 SCP-601-KO에 대한 기억소거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기억소거 절차는 1942년에 진행될 것이다.
1942년 개정판
해당 일족들에게 SCP-601-KO에 대한 기억소거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SCP-601-KO 개체의 생성이 이어지고 있고, 대부분의 일족의 일원들이 SCP-601-KO를 여전히 알고 있는 듯한 행동을 보인다. SCP-601-KO에 대한 기억소거가 되지 않은 이유는 불명이며, SCP-601-KO가 계속해서 생성되는 이유는 현재 조사 중이다. SCP-601-KO의 추가적인 생성을 막기 위하여, 해당 일족의 모든 일원들에게 자신들의 고유 전통문화를 기억소거시킬 예정이다. 해당 절차는 대략 1주일 후에 진행될 것이며, 현재 상부의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다. (요청 승인됨) - O5-2
1942년 개정판
현재 나우루 섬 일대에 요주의 단체인 IJAMEA가 출몰하였다. IJAMEA는 SCP 재단의 기지를 급습하였으며, 현재 해당 지역에 위치한 기지와의 통신을 두절되었다. IJAMEA가 해당 기지를 완전히 점령한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기지 직원들은 IJAMEA의 의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SCP-601-KO의 개체의 추가적인 생산을 억제하기 위해 해당 기지를 재빨리 확보해야 한다.
1944년 개정판
정확한 정황을 알려지지 않았지만 나우루 섬 일대에서 IJAMEA를 비롯한 일제 소속의 변칙 기관들이 모두 철수한 것으로 보인다. 만약 상부의 허가가 내려진다면, 최대한 빨리 나우루 일대에 위치한 기지들을 재확보해야 한다. (요청 거절됨) - 일개 변칙 개체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보다는, 현재 활발히 활동중인 요주의 단체들을 억제하는 것이 더 우선입니다.
2012년 개정판
SCP-601-KO가 될 수 있는 마지막 일족의 일원이 사망함에 따라, 더 이상 해당 일족에 대한 격리 절차는 요구되지 않게 되었다. 더 이상 해당 섬에는 SCP-601-KO와 관련된 정보나, 그 개체의 생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문신 기술을 보유한 사람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명: SCP-601-KO는 길이 5m, 폭 4m 정도의 6,280마리 가량의 가오리형 변칙적 독립체들을 지칭한다. SCP-601-KO는 파괴불가능과 격리불가능, 불사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따라서 해당 개체들에 대한 격리 절차는 감시에 그치고 있다. SCP-601-KO 개체들은 어떠한 생식이나 번식 활동 따위는 하지 않으며, 단순히 무리를 지어 바다를 유영할 뿐이다. 때때로 공중으로 뛰쳐나와 비행을 하기도 한다. SCP-601-KO 개체들이 이동할 때, 수많은 작은 흑색의 포자와 유사한 것을 살포하는데, 이로 인해서 해당 개체들이 지나간 장소는 다음과 같은 변칙 현상이 나타나며, 이와 동시에 나우루 공화국의 가오리 족의 구역과 그 구역 토착의 모든 것들에게도 변칙 현상이 발현된다. 붕괴 현상과 회복 현상의 정확한 상관 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비례 관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붕괴 현상
- SCP-601-KO가 지나간 모든 땅에 해당되며, 해당 지역은 빠른 시간 내에 완전히 검은색으로 변환된다. 이렇게 검은색으로 변환된 지역은 어떠한 식물체나 유기체가 생존할 수 없는 땅이 되며, 최소 20년 이상의 시간을 들여야 자연적으로 회복이 가능하다.
- SCP-601-KO의 영향권에 있던 모든 유기체들의 채내 세포는 급격하게 사멸되기 시작하며, 결과적으로 살아있는 채로 썩어 비틀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대부분의 유기체들은 사망하며, 그 크기에 따라 적게는 2초, 크게는 10분 가량이 걸린다. 이것은 어떠한 비변칙적, 변칙적 방법으로도 막을 수 없다.
- SCP-601-KO의 영향권에 있던 모든 유기체가 아닌 특정한 사물들은 급격한 속도로 분해된다. 기존에 분해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성분들 또한 완벽하게 분해가 되며, 이 절차는 최대 4시간까지 걸릴 수 있다. 이 또한 어떠한 방법으로도 막는 것이 불가능하다.
회복 현상
- 나우루 공화국 가오리 족 소속의 영토에는 평소보다도 더 많은 질소, 그리고 식물체들에게 유익한 생물들의 수가 늘어난다. 따라서 해당 지역에서 재배된 작물이나 곡물들은 타 지역의 것들과 비교했을 때 훨씬 크거나 많고, 그 질 또한 좋다.
- 기존에 인간에게 적대적이거나 다른 생물에게 호전적인 생물들은 온순해지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가오리 족의 혈통들을 공격하지 않는다.
- 나우루 공화국 가오리 족 소속의 모든 유기체, 사물 등등에 투명한 기적보호막이 생성되며, 어떠한 것이 의도적으로 공격을 시도하거나, 대상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모든 행동들은 일시적으로 차단된다.
- 식용 가능한 모든 유기체들의 수는 급증하며, 인간에게 해롭거나 위해를 줄 수 있는 생물들의 수는 감소한다.
- 이러한 회복 현상이 발현될 때마다, 가오리 족 소속의 일원 중 하나는 무조건 사망한다. 이 일원은 반드시 해당 일족의 전통인 가오리 문신을 한 상태여야만 하며, 일원 중 아무도 가오리 문신을 하지 않았다면 이 변칙 현상은 발현되지 않는다.
처음에 SCP-601-KO는 어떠한 형태로의 번식이 불가능하여 그 수가 증가할 수 없으리라 생각되었지만, 계속적으로 SCP-601-KO 개체 수가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SCP-601-KO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소규모 부족인 "가오리 족"의 전통 문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당 전통 문화는 소위 가오리 문신으로 알려져있으며, 가오리 족의 혈통이 해당 문신을 한 채로 사망한다면 SCP-601-KO 개체가 생성된다. 가오리 족은 이를 사망한 자의 "환생"으로 여기며 SCP-601-KO 개체들을 자신의 선조격으로 여긴다. 해당 문신의 과정이나 도구, 문신 그 자체는 변칙성을 띄지 않았으며, 가오리 족이 아닌 대상이 해당 문신을 한채로 사망한 경우에는 SCP-601-KO 개체가 발현되지 않았다.
SCP-601-KO의 내력
SCP-601-KO는 1942년 초, 2차 세계 대전이 오세아니아와 태평양의 소규모 섬들까지 영향을 주었을 때 처음 발견되었다. 나우루는 19세기 말에 IGAMEA가 진입한 적이 있었으나, 당시에는 초상 세계의 그리 큰 주목을 얻지는 못했다. GOC와 재단에 의하여 오세아니아 일대의 변칙 현상과 독립체들이 차례대로 수집되가고 있던 중, GOC의 함대는 나우루에서 SCP-601-KO를 발견하였고, GOC의 요원 중 하나가 SCP-601-KO에게 무심코 발포하였다. 그러자 다수의 SCP-601-KO 개체들이 몰려들면서, GOC 병력을 공격하기 시작하며 GOC의 함대를 완전히 소멸시켰다. 108 평의회는 해당 독립체들을 청산시킬 계획이었으나, 재단과의 협의를 통하여 GOC는 나우루와 오세아니아 일대 일부를 재단에게 양보하고, SCP-601-KO의 청산 계획을 폐기하였다. 재단은 그 후 나우루에 SCP-601-KO 개체들을 격리하기 위한 가설 기지를 1942년에 설립하였다. 그러나 SCP-601-KO의 특성 때문에 해당 개체들을 격리하려는 시도들은 모두 무산되었다.
1943년, 일제가 태평양 주변의 여러 섬들을 정복하기 시작하며, 오세아니아까지도 그 영향력을 넓히는 것을 시도하였다. 그 사이에 "대일본제국 이상사례조사국"(IJAMEA)이 나우루 일대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나우루에 상륙하여, 기존에 있던 재단을 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재단의 가설 기지와 본부로 통하는 모든 연락망은 IJAMEA에 의해 두절되었기에 이 시기의 정보는 재단이 확보한 나우루 토착 기적사에게 전적으로 의존한다. 원래 IJAMEA는 재단을 나우루에서 몰아내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그 후에는 나우루에서 철수될 것으로 예정되었으나, 1944년, 세계 대전이 심화되면서 일제는 더 많은 변칙적 자원들을 얻기 위하여 자신들의 모든 식민지에서 "백택 계획"을 실행하였다. 이 식민지에는 나우루도 포함되었으며, IJAMEA는 여타 토착 변칙적 독립체들과 변칙 현상, 그리고 SCP-601-KO를 발견한다. IJAMEA는 SCP-601-KO의 유동성과 파괴적인 변칙성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개체들을 길들이고 일종의 생체 병기로 활용하려는 시도를 진행하였다. 이하는 재단에게 수집된 IJAMEA의 SCP-601-KO 포획 시도의 영상이다.
기록 시작
08.12 - 상공에 2개체의 SCP-601-KO가 서로의 꼬리를 쫒으며 비행한다.
08.23 - IJAMEA의 함대가 접근한다. SCP-601-KO는 함선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
08.26 - IJAMEA의 함선이 부유 중인 SCP-601-KO에게 포획용 그물을 발사한다. 그물은 적중했지만, 그 변칙적 작용으로 인해 IJAMEA가 SCP-601-KO를 완전히 끌어내리기 전에 끊어지며, 붙잡혔던 SCP-601-KO와 그 주변의 1마리가 IJAMEA의 함대 반대쪽으로 도망치기 시작한다.
08.30 - IJAMEA의 함대가 철수한다.
08.35 - 갑자기 SCP-601-KO 개체들이 도망갔던 위치에서 최소 120마리 이상의 개체들이 IJAMEA의 함대 쪽으로 다가오며, 이들은 함대에 몸을 들이받는 등의 위협적인 행동을 보인다.
08.36 - IJAMEA가 SCP-601-KO 개체들에게 발포를 하였다.
08.37 - SCP-601-KO 개체들이 더 난폭한 행동을 하기 시작하며 일부는 함선의 인원들을 끌어안고 들어올려 완전히 부패시키고, 일부는 함선에 들이받아 함선을 침몰시키려 한다.
08.40 - 개체 하나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IJAMEA의 함선에 들이받는다. 들이받은 부분에는 구멍이 생기며 그 직후 함선이 폭발한다. 이는 다른 함선도 마찬가지였으며, IJAMEA의 함대는 괴멸한다.
08.41 - SCP-601-KO 개체들이 자리를 뜬다.
기록 종료
IJAMEA는 SCP-601-KO를 효과적으로 길들이고, 활용하기 위해서 주변 토착민들에게 자문을 구했으나 거절당했다. 그 외에도 여러 악재가 겹쳐서 SCP-601-KO를 활용하려는 계획은 잠정 폐기되었으나 그로부터 2개월 후, 일제가 모든 비변칙/변칙적 자원들을 끌어모으는 데 혈안이 들기 시작하면서 자신들의 본토와 식민지의 기적사와 현실조정자들을 모으기 시작하였다. 그 중에는 나우루 출신의 현실조정자 2인, 기적사 1인 또한 존재하였으며, 그 중 기적사 측은 IJAMEA에게 SCP-601-KO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하면서 IJAMEA가 자신들에게 충성적인 SCP-601-KO를 만들기 위한 계획이 진행된다. 아래의 정보는 PoI-103-KO에게 제공받았으며, IJAMEA의 계획 보고서 형식을 띈다.
쇼와 18년 가오리 몰이 계획エイモール
목적: 최근, 우리의 군대는 우리가 점령한 땅 중 하나인 "나우루"에서 강력한 토착 존재들을 발견하였다. 해당 토착 존재들(이하 "괴수들")은 주변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따라서 IJAMEA는 괴수들을 길들이고 전장에서 활용하기로 하였다. 만약 이 계획이 성공적으로 진행된다면 우리들은 전장에서 우위를 점할 것이고, 전장에서 적들을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것을 물론 괴수들을 활용해 다양한 군사적 목적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조사 결과, 이미 생겨나 오랫동안 살아오던 괴수들은 길들이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그 기질이 매우 난폭하여 성공한다하더라도 IJAEMA 측에서 막대한 피해를 얻을 수도 있기에 우리에게 협조하는 나우루의 전통 주술사 1명이 동조하여 괴수들의 탄생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가오리 문신이 된 가오리 족들의 아이들을 IJAMEA에 데려오기로 하였다. 그 후, 해당 주술사의 조언에 따라 아이들이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IJAEMA 출신의 보모들을 배치하고 아이들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물론 IJAMEA와 대일본제국에 대한 충성심을 일으킬 수 있는 교육이나 기타 등등의 행동들을 주기적으로 시켜야 한다. 아이가 대일본제국이나 IJAEMEA에 대해 충분한 충성심이 생겼으리라고 판단된다면 해당 아이를 살해한다. 이 과정에서 살해되는 대상이 자신이 IJAMEA의 관련 인물에게 살해되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게 해야 한다. 이후, 해당 아이가 환생한 괴수가 나타나면 해당 괴수가 여전히 IJAMEA에 충성적인지 확인하고 괴수를 임무에 활용한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계획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 최대 10 개체 이상의 괴수를 길들이기
- 괴수들을 통하여 오세아니아와 태평양 일대의 주도권을 대일본제국이 얻는 것
- 괴수들을 실제 전장에서 활용하며, 소모되는 인적 자산을 최소화하기
- 더 많은 괴수 생산, 괴수 생산 목장 형성
자산: IJAMEA는 이제까지 막대한 양의 변칙적이거나 혹은 비변칙적인 무기나 군사용품들을 수집해왔다. 따라서 IJAMEA의 요괴대대나 그 외의 것들은 강력한 화력을 자랑하지만 유감스럽게도 현재 IJAMEA에게는 괴수들을 효과적으로 진압하거나 속박, 구속 혹은 살해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IJAEMA가 고의적으로 생성시킨 괴수가 비협조적이며 불충하거나, 통제불가능의 상황에 놓여 있을 때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이다. 따라서 그러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IJAMEA는 강력한 변칙적, 비변칙적 무기들을 항시 나우루에 대기시켜야 하며 괴수들이 돌발 행동을 보일 때 마다 어느 특정한 장소에 몰아넣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굳이 저 괴수들이 저 상황까지 가지 않더라도, 충분히 애로사항은 존재할 수 있다. 우리가 나우루에서 수집한 토착 주술사에 의하면, 이 괴수들은 가오리 문신을 한 가오리 족의 사람들이 죽을 때, 가오리 족의 땅의 연안 근처에서 무작위적으로 발생한다고 한다. 따라서 IJAMEA가 대일본제국에 완벽하게 충성적인 괴수를 만들어도, 해당 괴수를 발견하지 못하면 소용없는 짓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IJAMEA는 괴수를 추적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의 변칙적인 방법이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IJAMEA가 가오리 몰이 작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부에게 요청할 자산들은 다음과 같다.
- 최소 1번 이상 아이를 키운 전적이 있는 보모 여럿
- 괴수가 돌발 행동을 보일 때를 대비하여 근-중거리에서 고화력을 낼 수 있는 비변칙적 무기
- 괴수의 움직임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는 변칙적 방법
- 새로 탄생한 괴수를 추적할 수 있는 변칙적 수단, 시설 혹은 방법
결과: 애매함. 괴수를 만들어내는 것에는 성공하였지만, IJAMEA가 만든 괴수는 일반적인 괴수보다 크기도 작고, 그 능력의 범위도 매우 좁았다. 또한 IJAMEA에 대한 충성심이 존재하는지, 애초에 다른 괴수들과 달리 지적 능력이 존재하지도 않는 것 같다는 의견이 들어왔다. IJAMEA가 만든 괴수는 다른 괴수 무리로 들어가더니, 더 큰 괴수가 작은 괴수를 마치 인간이 아기를 다루는 것마냥 안았다.
계획 책임자(서명): 히라누마 대좌
쇼와 18년 가오리 몰이 2호 계획エイモール II
목적: 대일본제국이 점령한 영토 중 하나인 "나우루"에서 IJAMEA가 강력한 토착 변칙 독립체(이하 "괴수")들을 발견하고 난 후, 가오리 몰이 계획이 진행된 지 2개월 만에 계획의 첫 결과물이 나왔으나 IJAMEA가 기대한 것에 비하여 계획은 훨신 못미쳤다. 사실, IJAMEA는 해당 계획을 폐기할 예정이였으나, 해당 계획에 상당한 역할을 맡고 있던 나우루 출신 토착 기적사에 의하면 "괴수로 변한 인원들이 충분히 성장치 못한 아이였기 때문"이라 하였다. 이에, "가오리 몰이 계획"의 총 책임자였던 히라누마 대좌는 이 계획이 성공할 경우 IJAMEA에게 돌아올 이익은 막대하기 때문에 해당 발언을 참고하여 가오리 몰이 2호 계획을 진행시켰다. 1차 가오리 몰이 계획 때와는 달리, IJAMEA는 괴수가 되서라도 강력한 힘을 발휘해낼 수 있도록, 기존의 실험 대상을 10살 가량의 어린 아이에서, 15세 이상의 청소년, 때때로 완전한 성인들을 실험체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들에게 어떻게 IJAMEA에 대한 충성심을 불러 일으킬지는 의문이며, 만약 IJAMEA나 대일본제국에 충성을 하도록 만들었다고 하여도 그 과정은 1차 가오리 몰이 계획보다는 훨씬 더 난이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경우에 따라, IJAMEA는 실험 대상들에게 약물 따위의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후, 어떠한 괴수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고 생각되면 IJAMEA가 만든 특수 방호복을 착용한 채로 그 괴수에게 접근한다. 괴수에게는 IJAMEA가 대상에게 충성심을 기르는 훈련을 할 시에 자주 보여주었던 IJAMEA의 깃발을 보여주며, 만약 괴수가 IJAMEA기를 보여준 대상에게 호의적이거나, 순종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계획은 성공한 것이다. IJAMEA가 이 계획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것은 아래와 같다.
- 최대 10 개체 이상의 괴수를 길들이기
- 괴수들을 통하여 오세아니아와 태평양 일대의 주도권을 대일본제국이 얻는 것
- 괴수들을 실제 전장에서 활용하며, 소모되는 인적 자산을 최소화 하기
- 더 많은 괴수 생산, 괴수 생산 목장 형성
자산: 기본적으로 계획의 진행 과정이나 목적은 동일하므로, 1호 가오리 몰이 계획과 별반 차이점이 없다. 그러나, IJAMEA는 1호 가오리 몰이 계획의 실패를 기반으로 이번에는 더 확실한 계획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선, 실험 대상을 순조롭게 구해야 한다. 1호 가오리 몰이 계획 당시에는 IJAMEA와 협력하는 지역 토착 주술사의 도움으로 실험체들을 쉽게 조달 받았지만, 이번의 경우에는 약간 차이가 난다. 지역 토착 주술사는 청소년기의 아이나, 20세 이상의 성인은 자신의 힘으로는 조달이 불가능하다고 발언하였고, 이에 따라 IJAMEA는 가오리 족의 영토 주변에 인부를 2-3명 정도 파견한다. 해당 인부들은 자신들이 엄청난 사업을 하고 있다고 하며 가오리 족들의 젊은 인원들을 꼬드겨야 하며, 자신들을 따라오면 막대한 돈을 벌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식으로 말해야 한다. 또한 가오리 족들이 알아볼 수 없는 대일본제국의 언어로 되어 있는 계약서를 주며, 해당 일원들이 "이 계약서에 서명함으로써 당신은 IJAMEA(대일본제국 이상사례조사국)과 대일본제국에게 당신의 모든 신체와 자유를 기증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철회가 불가능합니다."라고 적혀있는 부분에 서명하게끔 한다. 만약 누군가가 이 칸이 무얼 뜻하냐고 물어본다면, 인부들은 단순히 "우리와 함께 일할 것이라는 서명"이라고만 답해야 한다. 이외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금물이다. 만약 충분한 인적 자산의 조달을 성공했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IJAMEA는 실험 대상이 원하는 모든 것들을 최대한 제공해주며, 각종 선전 교육 등등을 시도하며 자신들이 대일본제국 덕분에 호황을 누리며 산다는 것으로 인식하게끔 해야 한다. 그 후, IJAMEA에 대한 충성심 테스트를 진행하고, 충성이 충분하다고 판단 될 경우, IJAMEA의 적들로 위장한 IJAMEA의 요원이 해당 인원을 살해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신이 절대로 IJAMEA 출신의 인원이라는 것을 들켜서는 안 된다. 이후 발생한 괴수를 회수하고, 만약 괴수가 우호적이거나 순종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성공한 것이다. 이 계획을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1호 가오리 몰이 계획보다도 더 많은 자산이 요구될 것으로 보이며, 상부에게 요청할 자산들은 다음과 같다.
- 최소 1번 이상 아이를 키운 전적이 있는 보모 여럿 (보유 중)
- 괴수가 돌발 행동을 보일 때를 대비하여 근-중거리에서 고화력을 낼 수 있는 비변칙적 무기 (수리 요구됨)
- 괴수의 움직임을 최대한 제한할 수 있는 변칙적 방법 (보유 중)
- 새로 탄생한 괴수를 추적할 수 있는 변칙적 수단, 시설 혹은 방법
- 마약류 및 정신 이상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들
결과: 실패함. 계획 중간에 나우루에 IJAMEA의 적들이 상륙하며, 나우루의 IJAMEA들은 군사력보다는 연구에 초점을 맞추었기에 적들의 공격에 대응할 능력이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나우루의 IJAMEA들은 자신들의 연구 자산을 적들에게 내놓으면 안 되겠다는 판단을 하고 모든 실험 대상들을 살해, 그리고 탈주하였다. 이후, IJAMEA는 막대한 양의 병력들을 이끌고 다시 나우루와 그 주변 일대를 점령하였다.
계획 책임자(서명): 히라누마 대좌
나우루 IJAMEA 거점 사령관이 히라누마 대좌에게
매우 유감이지만, IJAMEA가 가오리 몰이 계획을 계속해서 진행하거나 나우루에 머무르는 것은 무리일 것 같습니다. 이는 IJAMEA 뿐만 아니라, 대일본제국 소속의 여타 변칙 기관에도 포함되는 내용입니다. 우리는 나우루 IJAMEA 거점을 철수하기로 계획하였으며, 따라서 가오리 몰이 계획도 취소됩니다. 그나마 희소식인 것은 이제까지 나우루에서 수집했던 2인의 마법사들(가오리 몰이 계획에서 큰 역할을 수행했던 1인은 어디로 갔는지 불명입니다.)과 2종류의 변칙적 현상, 그리고 3개체의 토착 독립체는 회수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사건은 이틀 전에 시작되었습니다. 네, 나우루에 연합군 소속 병력들이 다수 나타나고 IJAMEA가 잠시 나우루에서 후퇴했을 때 말입니다. 다행히 우리는 나우루를 다시 되찾을 수 있었지만, 가오리들은 그런 우리가 못마땅했나 봅니다. 기존에 유순한 태도를 보이던 가오리들이 갑자기 IJAMEA의 깃을 보자마자 공격해오기 시작한 것입니다. 우리는 당황했고, 당연히 가오리들을 막을 군사력은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3마리 불과했던 가오리가, 그 동료들을 불러 수십 마리가 됬고 수십 마리의 가오리들은 IJAMEA의 함선을 공격하고, IJAMEA의 인원들을 공격하며, 함선을 완전히 잃었습니다. 함선에 탔던 수백의 인원 중 오직 수십 명만 살아남았습니다. 가오리들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 완전히 전의를 상실한 우리를, 우리가 나우루를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추격해오기 시작한 겁니다. 저희는 운이 좋은 편이 였습니다만, 운이 좋지 못한 이들은 침몰한 배와 함께 바다에 생매장 당했습니다. 뭐가 어떻게 된 것인지는 불명입니다. 그러나 하나 확실한 것은 가오리들이 아직도 저희를 추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어쩌면 이게 본부로 보내는 마지막 통신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제 더 전해드릴 말은 딱히 없지만, 하나 경고하자면 태평양 인근의 IJAMEA나 여타 일본제국 소속의 변칙 기관의 병사들에게 이렇게 전해주십쇼. 만약 하늘을 날아다니는 검은 가오리를 본다면 무조건 도망치라고.
IJAMEA의 가오리 몰이 계획이 실패하고 나자, PoI-103-KO가 자신을 IJAMEA나 다른 적대적인 단체로부터 보호해달라는 조건과 함께 각종 IJAMEA의 보고서나 SCP-601-KO, 그 외의 여타 변칙적 독립체들에 대한 문서들을 가지고 재단에 투항한다. 이 과정에서 당시 IJAMEA가 획득한 대부분의 자료는 재단에게 넘어오게 된다. 후에 PoI-103-KO는 자신의 요구대로 재단에서 2등급 인원으로 고용되었다가, 1984년에 변칙개체에 의해 사망한다.
IJAMEA의 가오리 2호 계획이 중단된 이후, SCP-601-KO 개체들은 군집을 이루어 장기간 나우루를 떠나 IJAMEA를 추적하기 시작한다. 해당 개체들의 목적과 개체들이 IJAMEA를 쫒는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SCP-601-KO들은 IJAMEA가 해산되기 직전, 해산한 후에 남은 잔류병들을 공격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1990년대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나우루는 2차 세계 대전이 종결되고, 1947년에 영국.호주.뉴질랜드 삼국의 신탁통치령이 내려진다. 이후 원주민들 사이에서 독립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1968년 신탁통치로부터 독립된다. 이들이 독립하고 나서, 나우루의 원주민들은 식민지 시절 때에 IJAMEA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자신들의 영토를 파놓은 것을 목격하며, 그 직후 그 이유가 자신들의 영토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인광석 때문인 것을 알아차린다. 이후, 나우루인들은 인광석을 내다 팔면서 신문물을 받아들이고 엄청난 호황을 누리게 된다. 여기에는 가오리 족 또한 포함되어 있었으며, 신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그들은 기존의 전통 문화를 버리고, 오직 소수의 사람들만 해당 전통 문화와 SCP-601-KO를 기억하게 된다.
SCP-601-KO 군락들은 나우루에 1990년대 쯤에 다시 돌아오게 된다. 한 가지 특이점이라면, 당시의 SCP-601-KO들의 "회복 현상"의 범위와 진행 속도가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또한, 가오리 족들의 인원 대부분이 SCP-601-KO의 존재를 잊음에 따라 SCP-601-KO의 변칙성을 단순히 자신들의 거주지의 환경이 좋은 것으로 여겼다. 또한 그 전통 문화도 잊었기에,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발생하는 SCP-601-KO의 연간 개체수가 14마리였던 것에 비해, 1980-1990년대 중에 발생하는 SCP-601-KO의 연간 개체수는 2마리로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심지어 1996년에는 가오리 문신의 마지막 기술 계승자가 사망함에 따라 더 이상 SCP-601-KO가 생성될 수 없게 되었다. 당시에 남아있던 가오리 문신을 한 인원들은 20명 남짓이였으며, 2011년 기준으로 해당 인원 중 오직 1명만 생존한 상태이다.
2000년대에, 나우루의 인광석이 모두 고갈되며 경제를 오로지 인광석에만 의존하던 나우루는 경제적으로 몰락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SCP-601-KO의 "회복 현상"의 범위와 그 능력이 매우 축소되었다. 일부 원주민 무리들은 신문물을 받아들이고 난 후부터 자신들에게 불행이 닥쳐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작은 단위로는 민족, 큰 단위로는 국가 전체를 다시 "자연과 공존하는" 원주민의 생활로 돌려보내려 하였지만 이러한 시도는 오직 소수 부락의 몇몇에게만 성공한다. 2000년대를 지나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SCP-601-KO의 "회복 현상"은 완전히 소멸되었다. 재단은 2009년도 쯤에 다시 나우루 공화국을 방문해, SCP-601-KO 개체들의 격리를 시도하였으나, 전과 마찬가지로 실패로 돌아가게 되며 SCP-601-KO 그 자체보다는 해당 개체들의 생성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가오리 족"들을 다시 찾아다니기 시작한다. 조사 결과, 가오리 족 혈통의 일원들은 나우루 곳곳으로 퍼져있었지만, 직접적으로 SCP-601-KO와 자신들의 전통 문화를 기억하는 이는 단 1인 밖에 존재하지 않았다. 해당 인원은 PoI-1020-KO로 분류되었으며, 재단은 해당 인원이 사망할 때까지 PoI-1020-KO가 자신의 가오리 문신과 부족 전통의 문화, 그리고 SCP-601-KO에 대한 정보를 누설하지 못 하도록 감시해야 한다. 아래에는 PoI-1020-KO와 진행한 면담이 첨부되어있다.
기록 시작
소진영 박사: 거기, 안녕하십니까?
PoI-1020-KO: 누구지? 여기서 원래 살던 사람은 아닌거 같은데.
소진영 박사: 음, 생물학자입니다. 어르신, 혹시 여기서 가끔 나온다는 하늘 가오리에 대해 아시는 게 있습니까?
PoI-1020-KO: 그럼, 알고말고.
소진영 박사: 그럼 그것에 대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PoI-1020-KO: 그런데 왜? 혹시 너도 가오리들을 잡아가려고 하는거냐?
소진영 박사: 아뇨, 단순히 개인의 호기심입니다. 그런 걸 잡을 능력은 없고요.
PoI-1020-KO: 흠, 알겠어. 일단 그게 실존한다고 생각하나?
소진영 박사: 음, 아니요. 어쩌면 있을 수도.
PoI-1020-KO: 난 그게 실존한다고 생각해. 비록 지금은 그들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나밖에 없지만, 지금 그들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한 때 있었음은 분명해.
소진영 박사: 그렇게 확신하십니까?
PoI-1020-KO: 확실하지, 내 눈으로 똑똑히 봤는데.
소진영 박사: 어디서요?
PoI-1020-KO: 저 해변에서, 지금은 황폐해진 곳 말이야. 나는 여느때와 같이 부모님의 심부름으로 말라 비틀어진 나무조각들을 주으러 다니고 있었고, 거기서 그들을 봤지.
소진영 박사: 어땠습니까?
PoI-1020-KO: 정확하게는 기억나지는 않아. 하지만 충분히 아름다운 광경이였지. 붉은 노을과 그것 사이를 항해하는 검정색 물고기들. 아직도 내 뇌리에 박힌 몇 안되는 기억 중 하나야.
소진영 박사: 더 없습니까?
PoI-1020-KO: 거 참, 인내심을 가져. 아직 시작도 안 했어. 어디 보자…
소진영 박사: 알겠습니다. 저도 시간이 많이 없어가지구요.
PoI-1020-KO: 아. 내 몸의 이 문신들이 보이나?
(PoI-1020-KO가 소진영 박사에게 자신의 팔뚝과 등 부분을 보여준다.)
소진영 박사: 문신이네요, 가오리 모양 같은데요?
PoI-1020-KO: 그래! 가오리 모양 문신이지.
소진영 박사: 뭐 특별한 거라도 있나요?
PoI-1020-KO: 그럼. 가오리 문신이라고 들어는 봤나? 우리 민족은 대대로 그들을 섬겼지. 우리 일족의 혈통이 죽으면 가오리가 된다고 믿었어.
소진영 박사: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십니까?
PoI-1020-KO: 아니. 그렇지만 그렇다고 믿고는 싶군.
소진영 박사: 왜죠?
PoI-1020-KO: 자네도 우리의 사정은 잘 알거야. 원래 이곳 사람들은 여느 원주민들과 다를바없이 자연과 공존하며 그날그날 자급자족하면서 소박하게 살아갔지. 그러다가 전쟁이 시작되고, 그 후 이곳 사람들은 자신들의 땅이 생각보다 더 귀중한 것을 품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어.
소진영 박사: 인광석?
PoI-1020-KO: 그래 그거. 어쨌든 사람들은 한번 신문물을 맛보자마자, 그 편리함에 익숙해졌지. 더 이상 스스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몸이 되버리고만 것이지. 나와 같은 몇몇 사람들은 여전히 전통을 고수해가면서 살아가고 있긴 했어. 그러나 그들도 점점 지쳐가고, 남들은 다 호화롭게 사는데 나는 이게 뭔 꼴이냐!는 심정으로 그 무리에 같이 합류했지. 그리고…
소진영 박사: 그리고?
PoI-1020-KO: 그 동안 우리를 먹여 살리던 자원들이 모두 고갈됬어. 하나도 없이.
(침묵)
PoI-1020-KO: 그것뿐만이 아니야. 생각보다 더 큰 후폭풍이 찾아오기 시작했어. 그들은 자신들의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자신들이 살고, 살아갈 땅이 되는 것을 너무 파버린 나머지 섬이 점점 침몰하기 시작했지. 수십 년 동안 아무 일도 하지 않은 나머지 어떻게 일을 하는지조차도 까먹었지, 그리고 갖가지 질병들에도 쉽게 걸리게 되었고 삶은 황폐화되었지.
소진영 박사: 흠, 안 좋은 사정인건 잘 알겠습니다만, 그게 당신이 그 가오리가 되고 싶은 것이랑은 무슨 연관이 있는거죠?
PoI-1020-KO: 예로부터 가오리는 우리 민족과 땅의 수호자로서 여겨졌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의 선조라고 믿어졌지. 가오리 문신을 한채 죽으면, 나는 가오리가 될 수 있다고 믿겨졌어… 나는 가오리가 될거야.
소진영 박사: 네?
PoI-1020-KO: 나는 가오리가 될 거라고. 가오리가 되서 다시 한 번 이 땅을 살려보고 싶다.
소진영 박사: 그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세요?
PoI-1020-KO: 아니, 당연히 아니지. 그래도 가끔은 이런 생각을 할 때가 있어. 나는 죽으면 가오리가 되고 싶어.
기록 종료
면담 직후인 2012년, PoI-1020-KO는 사망했다. 시체는 발견할 수 없었기에 정확한 사인을 알아낼 수는 없었지만 SCP-601-KO의 개체수가 1마리 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PoI-1020-KO가 사망하였다는 것은 알 수 있었다. 이 직후, 평소 어떠한 행동에도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던 개체들이 갑자기 자신 주변에 모든 개체들을 모으기 시작하며, 총합 6280 마리의 개체들이 나우루를 떠났다. 해당 개체들은 1940년대에 IJAMEA를 능동적으로 쫒던 것과는 달리 이번 대규모 이동은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으며, 개체들은 호주, 필리핀을 거쳐 이어도 근처의 제주도 남쪽 바다로 들어오게 된다. 해당 개체들은 뒤이어 다른 장소로 이동하려는 모습을 보였지만, SCP-601-KO 개체들이 여타 지역들을 방랑하면서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재단은 전투임무부대 카이-17의 화력을 소모하면서 SCP-601-KO 개체들을 특정한 장소에 묶어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