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ot { --sidebar-width-on-desktop: calc((var(--base-font-size) * (14 / 15)) * 19); --body-width-on-desktop: 45.75rem; } @media only screen and (min-width: 56.25rem) { #content-wrap { display: -webkit-box; display: -webkit-flex; display: -moz-box; display: -ms-flexbox; display: flex; -webkit-box-orient: horizontal; -webkit-box-direction: normal; -webkit-flex-direction: row; -moz-box-orient: horizontal; -moz-box-direction: normal; -ms-flex-direction: row; flex-direction: row; width: -webkit-calc(100vw - (100vw - 100%)); width: -moz-calc(100vw - (100vw - 100%)); width: calc(100vw - (100vw - 100%)); min-height: -webkit-calc(100vh - -webkit-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10.125rem))); min-height: -moz-calc(100vh - -moz-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10.125rem))); min-height: calc(100vh - 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10.125rem))); -webkit-box-flex: 2; -webkit-flex-grow: 2; -moz-box-flex: 2; -ms-flex-positive: 2; flex-grow: 2; height: auto; position: initial; margin: 0 auto; max-width: inherit; margin-left: -11em; margin-left: -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5.5em) * -1 / 2 - 2rem); margin-left: -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5.5em) * -1 / 2 - 2rem); margin-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5.5em) * -1 / 2 - 2rem); } #main-content { position: initial; max-height: 100%; padding: 2rem 1rem; width: 45.75rem; width: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max-width: 45.75rem; max-width: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margin: 0 auto; } #page-content { max-width: min(90vw, 45.75rem); max-width: min(90vw, var(--body-width-on-desktop, 45.75rem)); } #side-bar { -webkit-transform: translateX(-14.6rem); -moz-transform: translateX(-14.6rem); -ms-transform: translateX(-14.6rem); -o-transform: translateX(-14.6rem); transform: translateX(-14.6rem); -webkit-transform: translateX(-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moz-transform: translateX(-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ms-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o-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webkit-transition: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ition: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o-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moz-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color 300ms cubic-bezier(0.4, 0.0, 0.2, 1), padding 300ms linear, margin 300ms linear,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order: none; border-color: rgba(var(--swatch-tertiary-color, 170, 170, 170), 0.4); 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important; min-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3.6rem) !important; grid-area: side-bar; padding-right: 2rem; background-color: transparent;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0); top: 0; max-height: 100vh; position: -webkit-sticky; position: sticky; left: 0; padding-left: 0.5rem; direction: rtl; scrollbar-width: thin; -ms-scroll-chaining: none; overscroll-behavior: contain; overflow-y: scroll; scrollbar-color: rgba(170, 170, 170, 0) /* Thumb */ rgba(252, 252, 252, 0); /* Track */ scrollbar-color: rgba(var(--swatch-primary-darker, 170, 170, 170), 0.1) /* Thumb */ rgba(var(--swatch-tertiary-color, 252, 252, 252), 0.05); /* Track */ } #side-bar::-webkit-scrollbar-track { background-color: rgba(var(--swatch-secondary-color, 244, 244, 244), 0.8); } #side-bar::-webkit-scrollbar, #side-bar::-webkit-scrollbar-thumb, #side-bar::-webkit-scrollbar-corner { width: 0.5rem; border-right-width: -webkit-calc(100vw + 100vh); border-right-width: calc(100vw + 100vh); border-right-style: inset; border-color: inherit;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0); } #side-bar:hover, #side-bar:active { background-color: white;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1); padding-right: 0.25rem; margin-right: 1.75rem; -webkit-transform: translateX(0); -moz-transform: translateX(0); -ms-transform: translateX(0); -o-transform: translateX(0); transform: translateX(0); -webkit-transform: translateX(-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moz-transform: translateX(-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ms-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o-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 overflow-y: auto; overflow-x: hidden; scrollbar-color: rgba(170, 170, 170, 1) /* Thumb */ rgba(252, 252, 252, 1); /* Track */ scrollbar-color: rgb(var(--swatch-primary-darker, 170, 170, 170), 1) /* Thumb */ rgb(var(--swatch-menubg-color, 252, 252, 252), 1); /* Track */ border-color: rgba(var(--swatch-primary-darker), 1); } #side-bar:focus-within { background-color: white; background-color: rgba(var(--sidebar-bg-color, 255, 255, 255), 1); padding-right: 0.25rem; margin-right: 1.75rem; -webkit-transform: translateX(0); -moz-transform: translateX(0); -ms-transform: translateX(0); -o-transform: translateX(0); transform: translateX(0); -webkit-transform: translateX(-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5rem))); -moz-transform: translateX(-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5rem))); -ms-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5rem))); -o-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5rem))); 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rem) - var(--sidebar-width-on-desktop, 0.5rem))); overflow-y: auto; overflow-x: hidden; scrollbar-color: rgba(170, 170, 170, 1) /* Thumb */ rgba(252, 252, 252, 1); /* Track */ scrollbar-color: rgb(var(--swatch-primary-darker, 170, 170, 170), 1) /* Thumb */ rgb(var(--swatch-menubg-color, 252, 252, 252), 1); /* Track */ border-color: rgba(var(--swatch-primary-darker), 1); } #main-content::after { content: " "; position: fixed; display: -webkit-box; display: -webkit-flex; display: -moz-box; display: -ms-flexbox; display: flex; -webkit-box-align: center; -webkit-align-items: center; -moz-box-align: center; -ms-flex-align: center; align-items: center; -webkit-box-pack: center; -webkit-justify-content: center; -moz-box-pack: center; -ms-flex-pack: center; justify-content: center; width: 1rem; height: 100%; max-height: 100%; top: 0; -webkit-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left: 1rem; background: url("https://scp-wiki.wdfiles.com/local--files/component%3Acollapsible-sidebar/sidebar-tab.svg"); background-repeat: no-repeat;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1rem; background-attachment: fixed; -webkit-background-size: 1rem 12.875rem; -moz-background-size: 1rem 12.875rem; -o-background-size: 1rem 12.875rem; background-size: 1rem 12.875rem; pointer-events: none; } #side-bar:hover+#main-content::after, #side-bar:active+#main-content::after { left: -17em; left: -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left: -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17em;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webkit-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0; width: 0rem; font-size: 0em; } #side-bar:focus-within+#main-content::after { left: -17em; left: -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left: -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17em;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background-position: center left 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webkit-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left 300ms cubic-bezier(0.4, 0.0, 0.2, 1), background-position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0; width: 0rem; font-size: 0em; } #main-content::before { --not-ie: absolute; content: " "; background-color: black; background-color: rgb(var(--swatch-alternate-color, 0, 0, 0)); position: fixed; position: var(--not-ie); top: 0; top: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 left: 0; -webkit-transform: translateX(-12.6rem); -moz-transform: translateX(-12.6rem); -ms-transform: translateX(-12.6rem); -o-transform: translateX(-12.6rem); transform: translateX(-12.6rem); -webkit-transform: translateX(-webkit-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moz-transform: translateX(-moz-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ms-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o-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transform: translateX(calc(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 -1 + 1rem)); width: 17em; width: var(--sidebar-width-on-desktop, 17em); height: -webkit-calc(100% - 3rem); height: -moz-calc(100% - 3rem); height: calc(100% - 3rem); height: -webkit-calc(100% -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688rem) - 2.313rem); height: -moz-calc(100% -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688rem) - 2.313rem); height: calc(100% - 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0.688rem) - 2.313rem); -webkit-transition: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ition: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transition: 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300ms cubic-bezier(0.4, 0.0, 0.2, 1), -webkit-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moz-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transform 300ms cubic-bezier(0.4, 0.0, 0.2, 1); opacity: 0.5; pointer-events: none; z-index: 9; margin-bottom: 0; margin-bottom: -webkit-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2.313rem) * -1 - 2.313rem); margin-bottom: -moz-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2.313rem) * -1 - 2.313rem); margin-bottom: calc(var(--final-header-height-on-desktop, -2.313rem) * -1 - 2.313rem); } #side-bar:hover+#main-content::before, #side-bar:active+#main-content::before { -webkit-transform: translateX(0); -moz-transform: translateX(0); -ms-transform: translateX(0); -o-transform: translateX(0); transform: translateX(0); opacity: 0; } #side-bar:focus-within+#main-content::before { -webkit-transform: translateX(0); -moz-transform: translateX(0); -ms-transform: translateX(0); -o-transform: translateX(0); transform: translateX(0); opacity: 0; } #side-bar .side-block { margin-top: 1em; padding-left: 0.25em; background-color: rgb(0, 0, 0, 0); -webkit-border-radius: 0; -moz-border-radius: 0; border-radius: 0; border-left-width: 0rem; border-right-width: 0rem; direction: ltr; } #side-bar .scpnet-interwiki-wrapper { direction: ltr; } @supports (-ms-ime-align: auto) { #side-bar { overflow-y: hidden; overflow-x: hidden; -webkit-transform: translateX(-90%) !important; -moz-transform: translateX(-90%) !important; -ms-transform: translateX(-90%) !important; -o-transform: translateX(-90%) !important; transform: translateX(-90%) !important; } #side-bar:hover, #side-bar:active { overflow-y: auto; -webkit-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oz-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s-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o-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argin-left: -0.5rem; } #side-bar:focus-within { overflow-y: auto; -webkit-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oz-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s-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o-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transform: translateX(0) !important; margin-left: -0.5rem; } #main-content::before { left: 1rem; -webkit-transform: translateX(-100%) !important; -moz-transform: translateX(-100%) !important; -ms-transform: translateX(-100%) !important; -o-transform: translateX(-100%) !important; transform: translateX(-100%) !important; } } }

18세 시기의 SCP-2299-JP.
특수 격리 절차
SCP-2299-JP는 제8163기지 표준 인간형 격리실에 격리되어 있다. 취급은 표준 인간형 격리 규약에 의거해야 한다.
SCP-2299-JP 소유의 스마트폰은 고바야시 박사의 관리하에 있으며, 변칙성 조사를 위해 특수한 스마트폰을 SCP-2299-JP에게 지급한다.
SCP-2299-JP-A는 발견되지 않았고, 미격리 상태이다. 성질상 SCP-2299-JP에만 영향을 끼칠 것으로 추정되나, 조속한 발견과 격리가 필요하다.
설명
SCP-2299-JP는 사쿠라바 아이나桜場 愛奈로 불리는 성인 일본인 여성이다.
SCP-2299-JP가 소지한 스마트폰에는 "Watching over Everyday(WoE)"라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변칙적인 요인으로 앱 삭제가 불가하다.
보충 > WoE에 대해
WoE는 █████사에서 2012년 개발한 위치공유 애플리케이션이다.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설치한 사람들을 멤버로 설정함으로써 멤버 전원의 스마트폰 위치 정보를 앱 지도상에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흔히 이야기하는 "지켜보기" 기능으로, 일반적으로 방범이나 감시에 사용된다. 개발한 █████사는 2016년 도산하면서 서비스를 종료하였고, 현재는 앱스토어에서도 삭제되었다.
SCP-2299-JP-A는 SCP-2299-JP의 생모인 사쿠라바 타에코桜場 妙子이다. SCP-2299-JP-A는 교통사고로 2016년 4월 사망했고, 소유하고 있던 스마트폰이 처분되었음에도 LINE과 메일을 통해 SCP-2299-JP에게 메세지를 전송한다. 또한 SCP-2299-JP-A를 특정하려는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
부록1 > 발견
SCP-2299-JP는 처음에 "죽었을 어머니가 LINE을 보내고 있다"고 경찰과 상담하면서 재단이 알게 되었다. 따라서 재단은 SCP-2299-JP를 제8163기지에 호송하고, 변칙성에 대한 면담을 시행했다.
면담 기록 > 2299-JP.1
일자 > 2016/04/22
<기록 시작>
고바야시 박사
아이나 양, "돌아가셨어야 할 어머니께서 메일을 보낸다"고 하셨는데, 어떻게 된 일인가요?
SCP-2299-JP
네. 그… 제 엄마는, 바로 일주일 전에 교통사고로 돌아가셨어요. 몇 가지 처분이 끝나고, 전 거리에서 팬케이크를 먹고 있었어요. 그랬더니, 그랬더니, 돌아가셨을 엄마한테서 메일이…[숨이 거칠어진다]
고바야시 박사
[SCP-2299-JP의 등을 쓰다듬는다] 진정하세요. 일단 심호흡하시고… 아 맞다, 그 메일의 내용은 기억나세요?
SCP-2299-JP
네? 그건 핸드폰에… 앗, 휴지통에 넣어버렸습니다만, 여기요. [스마트폰을 고바야시 박사에게 건네준다] 환각은 아니겠죠…?
고바야시 박사
[확인하며] 네, 네, 환각은 아니지요. "또 팬케이크 먹니?"네요.
SCP-2299-JP
아, 다행이다. 그래서… 이런 메일이 매일 오는게 일상다반사거든요, 죽었는데도 이런 게 오는 건 정말이지 무서운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고바야시 박사
흠. 신경이 쓰여서 그러는데요, "일상다반사"는 무슨 말씀인가요? 부모님과 자주 메일을 주고받으십니까?
SCP-2299-JP
네. 저희 엄마는 자주, "너 어디로 가고 있니"라던지 "지금 어디 있니" 같은 걸 곧잘 물어보세요. …알고 있으면서.
고바야시 박사
"알고 있으면서"?
SCP-2299-JP
홈 화면 오른쪽 아래에 WoE라는 앱이 들어가 있죠. 열어보세요.
고바야시 박사
네. …잠시만요. WoE를 제작한 회사는 최근 도산했을 텐데요? 어플도 사용할 수 없을 겁니다.
SCP-2299-JP
알고 계셨나요?
고바야시 박사
네. 제 아들이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다른 곳에 자주 들리는 게 걱정되어 쓰고 있었습니다. 아들이 어디에 있는지 언제든 알 수 있으니까요. 어플이 삭제된 걸 알고 더 이상 쓰지는 않았습니다만.
SCP-2299-JP
그렇군요. 그래서, 그 앱…전부터 그랬는데, 왠지 지울 수가 없었어요. 한 번 해보세요.
고바야시 박사
[몇 가지 삭제 방법을 시험한다] 정말이네요. 이건 확실히 이상하군. 아이나 양, 뭔가 짐작이 가는 일은 있으십니까?
SCP-2299-JP
전혀요. 하지만 삭제할 수가 없으니 저는 아직도 엄마한테 보이고 있는 거에요.
고바야시 박사
그건 다시 말해 어머님께서는 항상 이 어플을 사용하여 아이나 양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고 있다는 말씀입니까?
SCP-2299-JP
늘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요.
고바야시 박사
그건…그간 고생 많으셨습니다. [어플을 열어 확인한다] GPS는 문제없고. 아이나 양의 위치는 제대로 지도에 표시되고 있군요. 어, 그런데 아이나 양과 다른 아이콘이 또 하나 지도에 표시되고 있습니다. 아시는 분입니까?
SCP-2299-JP
아… 그건 아마 제 엄마일 거예요. 엄마 스마트폰은 처분해서 앱도 작동 안 할 텐데…어째서인지 지금도 움직이고 있어요. 그 아이콘, 어디로 표시되고 있나요?
고바야시 박사
█████입니다. 걷는 속도로 북상하고 있군요. 실례지만, 정말로 어머님의 스마트폰을 처리하신 게 맞습니까?
SCP-2299-JP
정말이에요! 매장 점원한테 맡겨서 분쇄해버렸는걸요. 제 두 눈으로 똑똑히 봤어요!
고바야시 박사
음, 그렇다면 변칙성 때문인 건가. …일단 상황은 알겠습니다. 죄송하지만 이 스마트폰은 수사를 위해 압수해두어야겠습니다. 그리고 아이나 양도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는 이쪽에서 생활해주셔야 합니다. 방침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SCP-2299-JP
네, 상관없어요. …그, 저희 엄마는 유령이 되어 돌아다니고 계신 걸까요? 이런 비현실적인 일…어떡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고바야시 박사
괜찮습니다. 아이나 양의 어머니가 유령인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만, 저희는 그런 부류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단이 있어요. 해결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보죠.
SCP-2299-JP
네, 감사합니다!
<기록 종료>
종료 보고서: SCP-2299-JP에 관련된 인물들에게는 『교통사고 후처리 및 상세 조사』라는 역정보를 유포하고, SCP-2299-JP는 표준 인간형 격리 규약에 따라 제8163기지에 격리 후 일련번호를 부여받았다.
보충 > 일련번호 부여
초기에는 해당 현상 등으로 스마트폰이 변칙성의 근원으로 여겨져 이를 변칙 개체로 지정했으나, 추후 실험 결과 사쿠라바 아이나 씨가 변칙성의 중심에 위치한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일련번호 부여 대상을 수정했다.(실험기록 2299-JP.6 참조) 파일의 가독성을 위해 해당 변화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생략 부분에 대해서는 별지 참조.
부록 2 > 실험
SCP-2299-JP의 변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수차례의 실험이 진행되었다. 이하는 시행된 실험의 발췌이다.
실험 기록 > 2299-JP.1
일시 > 2016/04/30
실험 내용: SCP-2299-JP에게 자신 소유의 스마트폰을 소지하게 하고 자유롭게 행동케 한다. 감시를 위해 고바야시 박사가 상시 동석하며, 화면을 확인토록 한다.
<기록 시작>
<11:24> SCP-2299-JP가 차량으로 제8163기지에서 출발한다.
<11:35> SCP-2299-JP가 ██████ 백화점에 차를 세우고, 여러 점포를 돌아다닌다.
<12:10> SCP-2299-JP가 휴식을 위해 앉으며, 근처 점포에서 크레이프를 사서 돌아온다.
<12:12> SCP-2299-JP-A에게서 메세지가 도착한다.
SCP-2299-JP-A
너무 늦게 귀가하지 않도록 하렴.
고바야시 박사의 지시로 SCP-2299-JP는 SCP-2299-JP-A의 메세지에 "알았어"라고 답장함. 답장 후 바로 상대방이 읽었다는 표시가 드러났다.
<12:28> 실험 종료.
<기록 종료>
종료 보고서: 육안으로는 일체의 변칙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실험 종료 후 다양한 검사를 시행했지만 모두 SCP-2299-JP-A에 연결되는 정보를 얻을 수는 없었다.
실험 기록 > 2299-JP.4
일시 > 2016/05/11
실험 내용: SCP-2299-JP 소유의 스마트폰을 타인이 운반케 하고, SCP-2299-JP-A의 반응을 조사한다. 운반은 고바야시 박사가 담당한다. 또한, 실험 중에는 SCP-2299-JP가 별도의 통신기로 고바야시 박사와 항상 연락을 취한다.
<기록 시작>
<13:50> 고바야시 박사가 백화점을 한 바퀴 돈다.
<14:20> 다른 인원의 제안에 따라, 고바야시 박사는 SCP-2299-JP의 지시에 의해 행동하기 시작한다.
<19:03> 상황에 진전이 보이지 않자, 실험이 종료된다.
<00:10(05/12)> SCP-2299-JP-A에게서 메세지가 도착한다.
SCP-2299-JP-A
오늘은 친구랑 놀았니? 돈 너무 많이 쓰지 않도록 조심하렴.
<08:23> 해당 메세지를 SCP-2299-JP에 보여주고 그 의도를 질문했지만 "모른다"고 응답. SCP-2299-JP는 "ㅇㅋ"1라고 회신했다.
<기록 종료>
종료 보고서: 송신된 메세지에서, SCP-2299-JP-A가 어째서 "SCP-2299-JP는 친구와 놀고 있었다"는 결론에 도달했는지는 불명이다. 하단 실험 기록 2299-JP.5 참조.
실험 기록 > 2299-JP.5
일시 > 2016/05/13
실험 내용: SCP-2299-JP를 자유롭게 행동하게 한다. SCP-2299-JP-A에게서 메세지가 도착할 경우, SCP-2299-JP와 SCP-2299-JP-A가 서로 대화를 하도록 한다.
<기록 개시>
<14:20> 사전에 정해진 대로, SCP-2299-JP가 백화점에 도착한다.
<14:35> SCP-2299-JP-A에게서 전화가 걸려온다. 고바야시 박사의 지시에 따라, SCP-2299-JP가 응답한다.
SCP-2299-JP-A
아이나, 오랜만이야. 그건 그렇고 요즘 백화점에 자주 가네. 그렇게 살 게 많니?
SCP-2299-JP
아ー아니, 잠깐 볼일이 있어서. 공부도 제대로 하고 있으니 괜찮지 않아?
SCP-2299-JP-A
진짜 하고 있는 거 맞아? 이번에 토익도 800점 넘겼으면 좋겠네.
SCP-2299-JP
으응, 800점 따는 거 꽤 어려운데? 처음에 300점부터 650점까지 올린 것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단 말야.
SCP-2299-JP-A
응, 그래도 이제부터는 영어가 중요하다고? 열심히 하지 않으면 시대의 흐름에 뒤떨어져.
SCP-2299-JP
하…응, 그렇지. 그런데 엄마는 지금 뭐 해?
SCP-2299-JP
어!? 아ー, 아니, 그래. 그게, 친구한테 휘둘려 다녔거든. …저어, 왜 그렇게 생각한 거야?
SCP-2299-JP-A
아니, 그저께 WoE의 움직임이 너답지 않은 것 같아서. 넌 언제나 백화점에 들어가면 서점에 들르잖니? 그런데 그저께는 처음에 목걸이 매장에 들렀길래.
SCP-2299-JP
…저어, 왜… 그저께는 계속 WoE 보고 있었어? 그러니까, 내 움직임을 전부 파악하고 있는거야…?
SCP-2299-JP-A
그럼. 네게 무슨 일이라도 있으면 걱정이니까. 뭐, 그런 건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목걸이라니…혹시 새 남자친구 생긴 거니?
SCP-2299-JP
[긴 침묵] …아니야. 그리고 그런 거 엄마한텐 상관없잖아.
SCP-2299-JP-A
응? 가족이니까 상관 있지. 전 남친이랑은 어떻게 됐니?
SCP-2299-JP
전? [침묵] …어, 엄마가……아니, 아무것도 아냐, 그… 미안해, 신경 쓰지 마. 끊을게, 안녕!
SCP-2299-JP는 SCP-2299-JP-A의 대답을 기다리지 않고 전화를 끊는다.
SCP-2299-JP가 정신적 고통을 호소했기에 상태를 고려하여 실험을 종료시켰다.
<기록 종료>
부록3 > 면담
실험 기록 2299-JP.5 종료 직후, SCP-2299-JP가 상당한 동요를 보이며 다량의 발한 증상을 보이자 실험을 중단하고, 격리실에서 며칠 간 휴식하도록 했다.
이후 상담과 추가 조사를 겸해 SCP-2299-JP에게 면담을 시행했다.
인터뷰 > 2299-JP.2
일시 > 2016/05/16
<기록 시작>
고바야시 박사
상태는 좀 어떤가요, SCP-2299-JP.
SCP-2299-JP
그저 그래요. 그… 전엔 죄송했어요.
고바야시 박사
괜찮습니다. 사람으로서 당연한 반응입니다.
SCP-2299-JP
..말씀드리는 편이 좋겠죠. 여러 가지요. 전 남친이라던가.
고바야시 박사
당신의 정신 상태만 괜찮다면요. 당장 말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SCP-2299-JP
[가볍게 웃으며] 언젠가는 말해야 한단 거네요. 그렇다면 지금 말할게요.
고바야시 박사
그럼 부탁드리죠.
SCP-2299-JP
…고3 시절, 2년 전이네요. 저는 처음으로 연애란 걸 경험해 봤어요. 5월쯤에 교제를 시작했죠. 꽤 어려움도 많았지만 잘 이겨냈다고 생각해요. 평범한 연애였죠.
고바야시 박사
그 사람 쪽에 이상한 점은 없었나요? 행동이라던가.
SCP-2299-JP
딱히 없었어요. 그래서, 사귄 지 한 달 정도 되었을 때 엄마의 행동이 이상하네, 라고 느꼈어요. 학교에서 집에 돌아오면 항상 집에 계셨는데, 사귀기 시작한 다음부터 집을 비우는 일이 많아졌거든요. 묘하다고 생각했었죠.
SCP-2299-JP
그래서, 뭐… 그때는 WoE 일은 전혀 생각도 못 했어요. 개의치도 않았고요. 하하…어설펐죠. 바보 같이.
고바야시 박사
자책하지 마세요. 그렇지 않아도 당신의 정신 상태는 안정되지 않았습니다. …어쨌든, 계속해주세요. 이야기하면 다소 진정할 수 있을 겁니다.
SCP-2299-JP
…감사합니다. 그래서 7월, 아니 8월이었을까요. 좀 멀리, 둘이서 바다에 갔거든요. 달달했다고 해야 할까요. 그날은 살면서 제일 즐거웠던 시간이었어요. …죄송해요, 제 폰 좀 빌려도 될까요?
SCP-2299-JP가 고바야시 박사로부터 자신의 스마트폰을 돌려받아, "사진" 파일을 열어 스크롤 한다.
SCP-2299-JP
그리고, 큰맘 먹고 전 키스해달라고 했어요. 걘 상냥하게 알겠다고 하고는, 제 몸을 끌어당겨 입술을 맞춰줬죠. …행복했어요. 행복했죠. 입술이 떨어지고는… 전, 아아…
고바야시 박사
SCP-2299-JP, 괜찮습니까? 우린 당신에게 정보 제공을 강요할 생각은 없습니다. 괴롭다면 면담을 중단하도록 하죠.
SCP-2299-JP
아뇨, 아뇨, 계속할게요. 그… 눈을 떠보니, 있는 거에요. 엄마가, 왼쪽 안쪽의 나무 그늘에 숨어서, 저희를 지켜보고 있었어요. ……스마트폰을 들고.
고바야시 박사
…도촬 당하고 있었다는 건가요?
SCP-2299-JP
네. 시야 가장자리에서 렌즈의 반사광이 보이고 있었어요. ……저는 나중에, 엄마의 스마트폰 사진첩을 몰래 살펴봤어요. 그랬더니, 6장이나 있더라고요. 여러 각도에서 찍은 게.
[고바야시 박사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이건 그중 하나를 들키지 않게 저한테 전송한 거고요.

SCP-2299-JP-A가 도촬한 사진. 오른쪽이 SCP-2299-JP.
SCP-2299-JP
……이외에도 다른 사진들이 있었어요. 제가 걔와 함께 하교했을 때의 사진, 그와 케이크 뷔페에 갔을 때의 사진, 둘러대고 빛 축제를 보러 갔을 때의 사진…전부 비밀로 하고 있었는데, 무엇이든 보고 있었더라고요.
…손이 떨렸어요. 아니, 인간이 공포를 느끼면 손이 곱거나 떨린다는 게 사실이었네요. 여태까지 느껴보지 못한 정도로 무서웠는데, 그래도 눈물은 나질 않고, 단지, 손발만 감각도 없이 계속 떨고 있었어요.
고바야시 박사
정말로 괜찮은 거에요, SCP-2299-JP? 지금도 손을 떨고 있는데요.
SCP-2299-JP
아, 그래요? …진짜네, 왜일까…
뭐 괜찮아요, 머릿속이 새하얘진 저는 있는 그대로를 걔한테 전했어요. …걘, 굉장히 다정하게 대해주었죠. 반나절 정도를 달래주었거든요. 그뿐이었다면…좋았을 텐데.
SCP-2299-JP가 다시 사진 폴더를 스크롤해 SNS 어플리케이션 "Twitter"의 화면을 스크린샷한 이미지를 표시한다.
SCP-2299-JP
이 스샷, 걔 뒷계정이에요. 아…그, 우연히 발견해서 심심풀이로 보고 있었어요. 그랬더니, "내 여자친구, 부모한테 감시당하는 모양이야. 불쌍하긴 한데… 나도 보여지고 있는 건가. 싫네."라고 트윗했더라고요. …당연하겠죠.
그러고 나서부터는 걔랑 사이가 멀어졌어요. 수험 시기였고, 권태기기도 했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역시 걔도 여친 부모님이 보고 있는 건 싫었겠죠. 무기력하게 사귀고 있긴 했지만, 크리스마스가 될 무렵에는 말도 한 번 나누질 않았어요. …그 후엔 뭐, 말하지 않아도 아시겠죠.
고바야시 박사
네. 그… 부모님에게 스토커 행위를 그만두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었나요?
SCP-2299-JP
…말했죠. 그 사진을 본 뒤에, "어떻게 이런 짓을 할 수가 있어"라고 말했었어요. 그래도… 엄마는 히죽히죽 웃으면서 "그렇지만 내 아이의 성장을 보는 게 즐거운걸"이라고 답하더라고요. "어떻게 내가 사귀는 걸 알았어"라고 물어보니, "WoE를 보면 네가 뭘 하는지 알 수 있단다"라고 말씀하셨어요. 저는 그 이후 몇 번이고 앱을 삭제하려고 시도했죠. 그런데, 몇 번이고 시도해도 되질 않더라고요. …포기하고 말았죠.
고바야시 박사
……그렇군요.
SCP-2299-JP
그 이후부터는 어딜 가든 WoE에 대해 생각할 수밖에 없었어요. 옷을 사러 가거나, 디저트를 먹으러 가거나, 게임센터에 가거나…그럴 때마다, "지금도 엄마가 날 보고 있겠지"라는 생각이 들게 되어서…그렇게 생각하는 사이에 히키코모리가 되었어요. 대학에 합격해서 자취하게 되었을 때도 무얼 하고 있는지 모를 법한 백화점에만 가게 되었죠. 뭐, 들키고 말았지만요.
…기억하시나요, 첫 번째 면담에서, 제가 "팬케이크를 먹으러 갔었다"고 말씀드린 거요.
고바야시 박사
네, 기억나네요. 팬케이크를 먹고 있었을 때 메일이 왔었죠?
SCP-2299-JP
네. 그건…저에겐 소중한 날이었어요. 엄마가 죽고, 성가시게 따라다니는 일도 없어지고, 겨우 자유로워졌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몇 년 동안 가지 않았던 제일 좋아하는 팬케이크 가게에 갔어요. 그랬더니……메일이 와버렸어요. 저, 저는… 왜, 왜 자유로워질 수가 없는 거죠!?
고바야시 박사
…지금은 참고 기다려주시길 바랍니다. 처음 면담을 했을 때, 제가 해결할 수단이 있다고 말씀드렸죠. 분명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SCP-2299-JP
정말인가요? 저는…저 스스로 자유로이 행동할 수 있게 될 수 있을까요?
고바야시 박사
네! 정말입니다. ……그러면, 어머님에 관한 이상한 점은 그게 끝인가요?
SCP-2299-JP
네. …그래도, 저는…이게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지극히 정상이라고 생각해요. [웃으며] 엄마의 말도 맞다고 생각하고. 아이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은 즐거운 일이니까. 이런 행동을 하는 것도 엄마가 절 사랑하는 증거라고 생각해요.
고바야시 박사
[당황하며] ……그런 걸까요? 저는 이해하지 못하겠군요.
다만, 그런 정상(正常)에 공포를 느끼고 있는 거지요?
SCP-2299-JP
그건 뭐… 그렇죠.
고바야시 박사
그럼, 당신을 위해 이를 해결해야겠군요. 당신도 이걸 빨리 해결하고 싶지요?
SCP-2299-JP
네. 한시라도 빨리, 엄마가 평안히 잠드셨으면 좋겠어요.
고바야시 박사
그래요. 그럼 다시 실험을 바로 시작하지요. 아직 방도는 있습니다.
SCP-2299-JP
감사합니다. 정말로, 이렇게까지 해주시고…
고바야시 박사
그게 저희 업무니까요. 그럼 면담은 종료하죠.
<기록 종료>
부록4 > 추가 실험
SCP-2299-JP의 정신 상태가 양호하다고 판단되어 면담 이틀 후 실험이 재개되었다. 다음은 실행된 실험의 발췌다.
실험 기록 > 2299-JP.6
일시 > 2016/05/18
실험 내용: SCP-2299-JP가 현재 소유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해지하고 다른 스마트폰을 계약한다.
결과: 별도의 스마트폰을 계약하여 전원을 켰을 때, 파악되지 않은 요인으로 해당 기기에 이미 WoE가 설치되어 있었다. 어플은 전과 동일하게 삭제가 불가능했고, 내부에서는 SCP-2299-JP와 SCP-2299-JP-A의 위치 정보를 나타내고 있었다.
분석: SCP-2299-JP에게 소유권이 있다는 것이 변칙성의 발현 조건일지도 모른다.
종료 보고서: SCP-2299-JP의 원 스마트폰은 파악되지 않은 요인에 의해 WoE가 삭제되어 비변칙적인 물체가 되었음을 파악했으며, 보관을 위해 실험 편의상 고바야시 박사의 연구 사무실로 옮겨졌다.
실험 기록 > 2299-JP.7
일시 > 2016/05/23~미정
실험 내용: 실험기록6에서 얻은 변칙적 스마트폰에 재단이 특수 가공 처리를 한 것을 상시 휴대시킨다.
처리된 가공은 다음과 같다.
- 해당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한 어플리케이션・검색 이력・행동의 전부를 기록화.
- 그러한 기록에 어떠한 변칙성이나 이에 관련된 사항이 발견되었을 경우, 이를 검지(檢知)하는 기능.
- 재단의 존재를 드러내는 듯한 행동(SNS에서 한 발언이나 LINE 등)을 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검열하는 기능.
결과: SCP-2299-JP는 요구에 따라 현재까지 해당 기기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얻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사용 App | 평균 사용 비율(%) | 변칙 벡터 | ||
---|---|---|---|---|
SNS | 43% | 없음 | ||
WoE | 24% | 없음 | ||
검색 엔진 | 18% | 없음 | ||
게임 | 8% | 없음 | ||
영상 방송 서비스 | 7% | 없음 |
분석: 현재까지 해당 실험에서 변칙성과 관련된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밝혀진 사항 중 기록할 만한 것은, "SCP-2299-JP의 행동은 모범적이고 SNS에서도 재단과 관련된 사항은 언급하지 않으며, 재단이 관여하기 이전과 거의 변함없이 SNS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 "검색 이력은 『유령 과학적 견해』, 『본다는 것』, 『WoE 회사』 등 자신의 변칙성에 관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조사해 메모장에 자신의 견해를 늘어놓고 있다"는 점뿐이다.
종료 보고서: 해당 실험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실험 기록 > 2299-JP.8
일시 > 2016/06/10
실험 내용: SCP-2299-JP가 소유한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송신 기능을 정지한다.
결과: 위치정보 송신을 정지하고 나서 2분 후, SCP-2299-JP-A는 복수의 메세지를 SCP-2299-JP에게 보냈다. 이하는 그 시계열이다.
<기록 개시>
<15:20>
SCP-2299-JP-A
어째서 GPS 끊은 거야??
<15:21>
SCP-2299-JP-A
들키면 곤란한 일이라도 있나? 없지 않아?
<15:29> SCP-2299-JP-A는 SCP-2299-JP에게 전화를 건다. 고바야시 박사의 지시에 따라 전화를 무시한다.
<15:31> SCP-2299-JP-A가 재차 전화를 건다.
<15:32>
SCP-2299-JP-A
왜 전화 안 받니? 아이나, 어디에 있는 거야?
<15:35〜15:38> SCP-2299-JP-A가 15시 35분 ~ 38분 사이에 6차례 전화를 건다. SCP-2299-JP는 두려움을 호소하며 전화를 받으려고 하지만, 고바야시 박사가 변칙성 조사를 위해 이를 저지한다.
<15:41> LINE의 기능을 사용해, SCP-2299-JP-A는 SCP-2299-JP에게 음성 메세지를 보낸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SCP-2299-JP-A
제발 전화 좀 받아. 보면 곤란한 일이라도 하는 거니? 어째서 GPS 끊은 거니? 빨리 전화받아. 전화받아줘. 빨리 전화받아. 빨리 GPS 켜 주렴.
<15:43〜16:02> SCP-2299-JP-A는 15:43~16:02 사이에 7차례 전화를 건다.
<16:30> SCP-2299-JP-A가 재차 전화를 건다. 이하, 빈도는 저하되나 15분~30분 간격으로 전화를 건다.
<16:47> 상황의 진전이 보이지 않기에 지시에 따라 SCP-2299-JP의 위치정보 송신을 재개한다.
<16:49>
SCP-2299-JP-A에게서 메세지가 온다.
SCP-2299-JP-A
이제야 네 위치를 알겠구나. 왜 이런 짓을 한 거니? 아니면 뭔가 곤란한 일이 있던 거니? 그렇다면 언제든지 말하렴.
<16:52> SCP-2299-JP-A를 자극하는 것을 피하고자, 협의 후 SCP-2299-JP는 "스마트폰을 최근에 바꿔서 설정에 익숙하지 않은 탓이 이렇게 됐어, 미안."이라고 응답했다. 바로 읽은 것으로 표시되었지만, 응답은 없었다.
<기록 종료>
.
.
.
.
.
.
.
.
.
.
갱신 파일 > SCP-2299-JP
2016/06/23, SCP-2299-JP가 격리실 내부에서 사망한 채로 발견되었다. 사인은 실혈사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부수고 한 곳을 수십 번 벽에 부딪혀 날카롭게 하였고, 그 부분으로 자신의 왼쪽 손목을 수 차례 그음으로써 실혈하도록 상처를 깊게 한 것이 사후조사에서 밝혀졌다.
또한, SCP-2299-JP는 그러한 일련의 행동과 발언을 스마트폰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해 놓고 있었다. 다음은 그 기록이다.
촬영 기록 > SCP-2299-JP
일시 > 2016/06/23
<기록 시작>
SCP-2299-JP는 스마트폰을 옆으로 세워두고 비디오 촬영 버튼을 누른다. 격리실 내부는 난잡하게 어질러져 있으며, 의자나 책상은 뭔가 딱딱한 것으로 문지르거나 부딪힌 흔적이 있다. 또한, 벽의 한 부분은 벗겨져 있다.
SCP-2299-JP
음. 그…뭐라고 말해야 좋을지 모르겠는데, 지금부터 저, 죽으려고 합니다. 일단 그걸 뭐랄까 기록으로 남겨야겠다…싶어서. 그, 왜 갑자기 그런 짓을 하지, 라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네요. 그것도 말해야겠네요.
SCP-2299-JP는, 사전에 벗겨두었다고 생각되는 플라스틱제 스마트폰 케이스를 손에 들고, 접어 두 조각을 낸다.
SCP-2299-JP
그렇지. 처음부터 생각한 건데, 이 방 좀 부자연스럽죠. 죽으려고 뭐 쓸 만한 거 있나 방을 둘러보는데…놀랍게도 이 방에는 날카로운 게 아무것도 없더라고요. 책상이고 의자고 옷장이고 죄다 모서리가 둥글고, 전체적으로 물건이 부드러운 걸로 덮여있잖아요. 상처를 입을 수단이 전혀 없었어요. 곤란했다니까요.
SCP-2299-JP는 깨트린 스마트폰 케이스의 일부분을 벽에 문질러 날카롭게 간다.
SCP-2299-JP
그래서 이렇게 하는 거에요. 남한테 받은 걸 부수고 공공 물품에 흠집을 내는 건 좀 꺼림칙하지만…어쩔 수 없네요. …그래서, 죽는 이유는… 그렇네요, 그다지 칭찬받을 만한 건 아니에요. [웃으며] 그건 그렇네. 죽는 것 자체가 칭찬 받을 만한 건 아니구나.
SCP-2299-JP는 충분히 날카롭게 만든 후, 심호흡을 한 후 해당 부분을 왼쪽 손목에 대고 긋는다.
SCP-2299-JP
아야. 어라? 생각보다 피가 안 나오네…뭐 상관 없어. 그래서 말이죠, 제가 죽는 건, 저 자신이 변해가는 걸 견딜 수 없기 때문이에요.
SCP-2299-JP는 눈물을 흘리면서 계속 손목을 긋는다.
SCP-2299-JP
하하…간단히 죽지는 않는구나. 너무해. ….최근에 깨달았어요. 저는 계속 계속, "본다"는 걸 어쩔 수 없을 정도로 좋아했어요.
전에 말했었죠? 전남친 뒷계정이 어쩌고저쩌고… "우연히 발견했다"고 말했었는데, 죄송해요. 그거 거짓말이었어요. 사귀는 동안 친구들이 찾아줘서, 계속 매일 보고 있었어요.
SCP-2299-JP
저는 걔 뒷계정에 집착하고 있었어요. 프로필 사진이라던지 마음에 드는 트윗을 스크랩하거나 틈만 나면 걔 뒷계정을 보고 있었죠. [울다가 웃으며] …결국, 난 엄마랑 다를 게 없구나.
그리고 무엇보다도…WoE 보는 게 즐거워서 견딜 수가 없어요! 엄마가 어디 계신지, 어떻게 이동하고 계시는지, 뭘 하고 계신지…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정보인데도 파악하는 게 너무…지배하는 것 같아서, 재밌어져 버렸어요! 고바야시 씨,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세요!?
SCP-2299-JP는 잠시 웃은 후, 쓰러져 있던 의자는 제자리로 돌려놓고 앉는다. 충분히 출혈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자 스마트폰 케이스를 내던지고, 탈진한 상태로 울다가 웃는다.
SCP-2299-JP
…날이 갈수록 WoE를 열고 보는 횟수가 늘어나는 걸 느껴요. 정말 싫은 일일 텐데도 멈출 수가 없어요. 저는…보는 것에 의존하고 있어요. 중독자죠. 지금도 엄마는 어디 있을까, 생각하게 되어버려요.
눈치챘어요. 지금의 나는 WoE에 매여 있는 거구나. 자유롭지 않아. 더는 보통의 생활로 돌아갈 수 없으리라는 걸 깨닫고 말았어요.
SCP-2299-JP
그래도 여전히, 이건 정상이라고 생각해요. 보는 것의 즐거움…고바야시 씨,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요?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관찰하는, 감시하는 즐거움이죠! 혹시 실험을 핑계로 제 행동을 파악하려고 하시진 않았나요? 그게 정말이라면…더더욱 이건 정상이야!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반응이라고. 분명히 그래… [작은 소리로] 나 뭐라는 거니…
SCP-2299-JP는 몇 분간 아무 말도 하지 않으며, 천장과 벽과 자신의 손목을 번갈아 응시한다.
SCP-2299-JP
저는…무서워요. 언젠가 저도 엄마처럼 WoE에 홀려버리는 게 아닐까 생각했어요. 이게 해결되더라도 난 예전처럼 순수하게 돌아갈 수는 없어. 그걸 도무지 견딜 수가 없어서, 여기서 끝내기로 했어요. 고바야시 씨, 이런 생각을 하는 저는…이제, 미쳐버린 건가요? 이상해진 건가요?
SCP-2299-JP는 탈진하여 바닥에 쓰러진다. 이때 오른손이 격리실 내 가구에 설치된 감시용 은닉 카메라에 부딪혀 카메라가 분리된다. SCP-2299-JP가 이를 손에 든다. SCP-2299-JP가 웃는다.
SCP-2299-JP
역시, 계속 보고 있었던 거군요.
<기록 종료>
사망 후, 촬영된 기록을 바탕으로 SCP-2299-JP에 어떤 변칙적인 영향이 발생했었는지에 관한 조사가 시행되었으나, 특필할 만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또 조사에 의하면, SCP-2299-JP가 촬영을 진행하는 동안 고바야시 박사는 감시 카메라로 SCP-2299-JP를 보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되었다. 이에 대해 고바야시 박사는 침묵하고 있다. 고바야시 박사는 어떤 변칙적인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기에 격리실에 구치되어 있으며, 추후 검사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SCP-2299-JP의 사망으로부터 8시간 후, SCP-2299-JP-A로부터 메세지가 도착했다.
SCP-2299-JP-A
지금, 제 눈앞에 아이나가 있습니다. 죽은 것 같은 눈으로 웃고 있습니다. 저를 보고, "드디어 만났네."라고 말하며 웃고 있습니다.
만약 누군가 이 메세지를 보고 있다면, 아는 사람이라면, 묻고 싶은 게 있습니다.
제 딸은, 이런 인간이 아니었을 겁니다. 누가 이 아일 이렇게 만들어버린 건가요?
SCP-2299-JP 및 SCP-2299-JP-A에 관한 추가 정보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