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mrom의 기록서류
평가: +18+x

/* source: http://ah-sandbox.wikidot.com/component:collapsible-sidebar-x1 */
 
#top-bar .open-menu a {
        position: fixed;
        top: 0.5em;
        left: 0.5em;
        z-index: 5;
        font-family: 'Nanum Gothic', san-serif;
        font-size: 30px;
        font-weight: 700;
        width: 30px;
        height: 30px;
        line-height: 0.9em;
        text-align: center;
        border: 0.2em solid #888;
        background-color: #fff;
        border-radius: 3em;
        color: #888;
        pointer-events: auto;
}
 
@media not all and (max-width: 767px) {
 
    #top-bar .mobile-top-bar {
        display: block;
        pointer-events: none;
    }
 
    #top-bar .mobile-top-bar li {
        display: none;
    }
 
    #main-content {
        max-width: 708px;
        margin: 0 auto;
        padding: 0;
        transition: max-width 0.2s ease-in-out;
    }
 
    #side-bar {
        display: block;
        position: fixed;
        top: 0;
        left: -18rem;
        width: 15.25rem;
        height: 100%;
        margin: 0;
        overflow-x: hidden;
        overflow-y: auto;
        z-index: 10;
        padding: 1em 1em 0 1em;
        background-color: rgba(0,0,0,0.1);
        transition: left 0.4s ease-in-out;
 
        scrollbar-width: thin;
    }
 
    #side-bar:target {
        left: 0;
    }
    #side-bar:focus-within:not(:target) {
        left: 0;
    }
 
    #side-bar:target .close-menu {
        display: block;
        position: fixed;
        width: 100%;
        height: 100%;
        top: 0;
        left: 0;
        margin-left: 19.75em;
        opacity: 0;
        z-index: -1;
        visibility: visible;
    }
    #side-bar:not(:target) .close-menu { display: none; }
 
    #top-bar .open-menu a:hover {
        text-decoration: none;
    }
 
    /* FIREFOX-SPECIFIC COMPATIBILITY METHOD */
    @supports (-moz-appearance:none) {
    #top-bar .open-menu a {
        pointer-events: none;
    }
    #side-bar:not(:target) .close-menu {
        display: block;
        pointer-events: none;
        user-select: none;
    }
 
    /* This pseudo-element is meant to overlay the regular sidebar button
    so the fixed positioning (top, left, right and/or bottom) has to match */
 
    #side-bar .close-menu::before {
        content: "";
        position: fixed;
        z-index: 5;
        display: block;
 
        top: 0.5em;
        left: 0.5em;
 
        border: 0.2em solid transparent;
        width: 30px;
        height: 30px;
        font-size: 30px;
        line-height: 0.9em;
 
        pointer-events: all;
        cursor: pointer;
    }
    #side-bar:focus-within {
        left: 0;
    }
    #side-bar:focus-within .close-menu::before {
        pointer-events: none;
    }
    }
}

/* source: http://ah-sandbox.wikidot.com/component:collapsible-sidebar-x1 */
 
#top-bar .open-menu a {
        position: fixed;
        top: 0.5em;
        left: 0.5em;
        z-index: 5;
        font-family: 'Nanum Gothic', san-serif;
        font-size: 30px;
        font-weight: 700;
        width: 30px;
        height: 30px;
        line-height: 0.9em;
        text-align: center;
        border: 0.2em solid #888;
        background-color: #fff;
        border-radius: 3em;
        color: #888;
        pointer-events: auto;
}
 
@media not all and (max-width: 767px) {
 
    #top-bar .mobile-top-bar {
        display: block;
        pointer-events: none;
    }
 
    #top-bar .mobile-top-bar li {
        display: none;
    }
 
    #main-content {
        max-width: 708px;
        margin: 0 auto;
        padding: 0;
        transition: max-width 0.2s ease-in-out;
    }
 
    #side-bar {
        display: block;
        position: fixed;
        top: 0;
        left: -18rem;
        width: 15.25rem;
        height: 100%;
        margin: 0;
        overflow-x: hidden;
        overflow-y: auto;
        z-index: 10;
        padding: 1em 1em 0 1em;
        background-color: rgba(0,0,0,0.1);
        transition: left 0.4s ease-in-out;
 
        scrollbar-width: thin;
    }
 
    #side-bar:target {
        left: 0;
    }
    #side-bar:focus-within:not(:target) {
        left: 0;
    }
 
    #side-bar:target .close-menu {
        display: block;
        position: fixed;
        width: 100%;
        height: 100%;
        top: 0;
        left: 0;
        margin-left: 19.75em;
        opacity: 0;
        z-index: -1;
        visibility: visible;
    }
    #side-bar:not(:target) .close-menu { display: none; }
 
    #top-bar .open-menu a:hover {
        text-decoration: none;
    }
 
    /* FIREFOX-SPECIFIC COMPATIBILITY METHOD */
    @supports (-moz-appearance:none) {
    #top-bar .open-menu a {
        pointer-events: none;
    }
    #side-bar:not(:target) .close-menu {
        display: block;
        pointer-events: none;
        user-select: none;
    }
 
    /* This pseudo-element is meant to overlay the regular sidebar button
    so the fixed positioning (top, left, right and/or bottom) has to match */
 
    #side-bar .close-menu::before {
        content: "";
        position: fixed;
        z-index: 5;
        display: block;
 
        top: 0.5em;
        left: 0.5em;
 
        border: 0.2em solid transparent;
        width: 30px;
        height: 30px;
        font-size: 30px;
        line-height: 0.9em;
 
        pointer-events: all;
        cursor: pointer;
    }
    #side-bar:focus-within {
        left: 0;
    }
    #side-bar:focus-within .close-menu::before {
        pointer-events: none;
    }
    }
}
/*
    BLANKSTYLE CSS
    [2021 Wikidot Theme]
    By Placeholder McD and HarryBlank
    Based on:
       Paperstack Theme by EstrellaYoshte
       Penumbra Theme by EstrellaYoshte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Do+Hyeon');
 
#header h1 a::before, #header h2::before {
    font-family: 'Do Hyeon', 'Montserrat', sans-serif !important;
}
 
#header h1 a::before {
  content: var(--header-title, "제43연구격리기지");
}
 
#header h2::before {
  content: var(--header-subtitle, "흔한 관행을 부수다");
}
 
h1,
h2,
h3,
h4,
h5,
h6 {
    font-family: 'Do Hyeon', 'Montserrat', sans-serif !important;
}

롬롬입니다.


인물 목록

이하의 인물들은 romromromrom이 작품에서 사용했던 모든 인물들의 정리본입니다. 주기적으로 삭제/수정/추가될 수 있습니다.



목차 내용

심시영 연구원
하회탈
델타-찰리
깡패일수도
새벽.aic





심시영 연구원

Korean_woman.jpg?20080401030919

심시영 연구원. 2020년 경 모습.

소속: SCP 재단

지위: WoI 연구과 연구원

외형: 평범한 20-30대 가량의 여성. 생머리/포니테일, 검은색 머리, 한국인 계열 외모. 자주 입는 파란색 후디가 있다.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소지.

설명: 요주의 웹사이트 관련 변칙성에 대응하는 재단 분과 WoI 연구과의 일원. 전직 제02K기지 인원이었으나, 제21K기지로 이직했다. 일을 매우 귀찮아하지만 WoI 연구과 특성상 웹사이트 모니터링과 변칙개체 연구 업무가 주구장창 쏟아져 나오는 것이 대다수라, 결국 커피를 마시며 밤새 일한다.

가끔 소규모 인원 등지에서 그녀가 WAN의 적법한 후계자라는 등의 농담격 소문이 돌고는 하나, 그 진상은 불명이다. 그러나, 그녀 주위의 aic들이 가끔 경외에 가까운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등장 작품:

폭풍 그 전날 밤에 던져진 자여
한 해가 지고서는
구강자상
SCP-744-KO
SCP-789-KO
◆◆머피 로의… 살인마 닌자여 칼을 빼들어라!◆◆
SCP-420-KO

위로 돌아가기


하회탈

1200px-Girl_Going_Home_At_Night_London_England_Black_And_White_Street_Photography_%28182284687%29.jpeg?20180915072630

하회탈의 마지막으로 포착된 사진. 2019년 경, 영국 초밥티타임협회 주변.

소속: 어둠의 초밥

지위: 한국 파견조 인원

외형: 전형적인 "비밀조직" 클리셰식 검은 후드와, 한국식 하회탈. 나머지는 딱히 정해진 헤드카논 없음.

설명: 하회탈은 어둠의 초밥 한국 파견조의 주요 인원 중 한 명으로, 초밥 아파트라는 스시블레이드를 사용하는 블레이더이다. 주로 Nx-06 ("그림자 도시") 나 경남 지역 근처에서 목격되나, 목격 지역이 점점 확장되고 있다. 재단은 아직 그를 격리하지 못 하였다.

현재 광주에서 떡갈비 초밥을 공수한 다음 사용하고 있으며, 재단은 그를 장막을 위협하는 요주의 인물로 분류, 일본 지부의 지원과 함께 추적에 나서고 있다.

등장 작품:

어둠의 초밥 파일 No.112 "초밥 아파트"
어둠의 초밥 파일 No.388 "떡갈비 한상차림"
사건명: 물망초

위로 돌아가기


델타-찰리

소속: SCP 재단 무소속

지위: 기동특무부대 델타-13 말단 인원

외형: 평범한 투블럭 헤어에 준수한 외모. 흔한 재단 요원 수준의 신체능력을 가지고 있다.

설명: 델타-13 부대원 중 하나로, 끝없는 임무 수행 도중 SCP-094-KO를 향한 사랑에 빠지게 된다. 결국 SCP-094-KO 안쪽으로 스스로 들어가게 되어 사망했다.

등장 작품:

연인의 늪

위로 돌아가기


깡패일수도

소속: 골목길

지위: 골목길 총관리자.

외형: 불명.

설명: 작성 대기 중.

등장 작품:

위로 돌아가기


새벽.aic

소속: SCP 재단

지위: 데이터베이스 관리 aic

외형: 물리적 육체가 존재하지 않음.

설명: "새벽" 박사의 실종 이후 나타난 aic로, 박사의 마지막 유산이다. 선례에 따라 재단 행정 보조수단으로 편입되었으며, 현재까지 재단 데이터베이스 검사 업무를 맡고 있다.

가끔씩 비효율적인 에러를 보이거나, 개인 문서를 생성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전부 날조로 판단된다. 다만, 새벽 박사 실종 사건과의 연관성은 존재할 수도 있다.

등장 작품:

위로 돌아가기




도전과제


001-4.png
1. 아직도 나를 모르나
투고한 작품이 평가 +40을 달성했다.

001-1.png 001-2.png 001-3.png 001-5.png
001-4.png

002-2.png
2. 어엿한 재단 작가
투고한 창작 작품이 10개가 되었다.

002-1.png 002-3.png 002-4.png 002-5.png
002-2.png

004-2.png
4. 조언가
포럼, 샌드박스, 디스코드 사간원, 사역원에 남긴 비평이 10개가 되었다.

004-1.png 004-3.png 004-4.png 004-5.png
004-2.png

006-3.png
6. 백과사전
Scpper 기준 평가 참여 100회를 달성했다.

006-1.png 006-2.png 006-4.png 006-5.png
006-3.png

007-2.png
7. 해트트릭
1~6까지의 도전과제 중 세 개를 달성했다.

007-1.png 007-3.png 007-4.png 007-5.png
007-2.png

008.png
8. 보고서 작성 매뉴얼
창작 SCP 작품을 5개 투고했다.
008.png

009.png
9. 세계의 주춧돌
창작 이야기 작품을 5개 투고했다.
009.png

012.png
12. 만족을 모르는 디자이너
창작 테마를 투고했다.
012.png

013.png
13. 마음으로 낳았다
창작 캐릭터가 인원 기록서류에 등재됐다.
013.png

014.png
14. 권두컬러
창작 작품이 특집에 선정됐다.
014.png

022-2.png
22. 포디움
경연에서 3위 이상의 성적을 올렸다.

022-1.png 022-3.png 022-4.png
022-2.png

023-2.png
23. 6연발 리볼버
경연에 여섯 번 연속으로 참가했다.

023-1.png
023-2.png

025.png
25. 극단적이야
경연 첫날, 또는 마지막날에 참가작을 투고했다.
025.png

037.png
37. 그건 또 이 서류에
창작 투고작에서 새로운 요주의 단체 서식을 제안했다.
037.png

039.png
39. 교통정리가 필요해
셋 이상의 요주의 단체가 직접 등장하는 작품을 투고했다.
039.png

042.png
42. 비밀결사
요주의 단체가 등재되었을 때 최초의 작가진으로 참여했다.
042.png

058.png
58.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경상도 지리와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을 투고했다.
058.png

059.png
59.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전라도 지리와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을 투고했다. (무진 제외)
059.png

074.png
74. 아시클로버
"대상", "Subject", 또는 이에 해당하는 언어별 어휘를 한 번도 쓰지 않으면서 투고된 위키의 평가가 +5 이상인 작품을 투고했다.
074.png

076.png
76. 무엇을 숨기랴
어떤 방식으로도 숨겨진 텍스트가 전혀 없으면서 투고된 위키의 평가가 +20 이상인 작품을 투고했다.
076.png

078.png
78. 핑
투고한 창작 SCP가 지도에 등재됐다.
078.png

079.png
79. 단편으론 아쉬워
3개 이상의 문서를 포함하는 창작 연작을 투고했다.
079.png

082.png
82. 청산 완료
어떤 SCP를 죽이거나 없애는 창작 작품을 투고했다.
082.png

092.png
92. 머리를 맞대다
공저에 참여했다.
092.png

096.png
96. 너 하나 나 하나
작품교환에 참여했다.
096.png

[[footnoteblock]]


🈲: SCP 재단의 모든 컨텐츠는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