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llègrement repompé sur : SCP Sigma 9 [2014 Wikidot Theme] Created for the SCP Foundation by Aelanna (bidouillé par DrGemini) */ :root { /* 4 Rating-module */ --ct_col_rate-primary: #380d0d; --ct_col_rate-secondary: #380d0d; --ct_col_rate-cancel: #ffb961; --ct_col_rate-link-hover: #d28f11; --ct_brd_rate-primary: solid 1px #f6d058; --ct_dim_rate-border-radius: 0.3em; /* 4 Tabview (YUI-Tabs) */ --ct_col_tab-bg: #F5F1EE; } /* RECOLOR THE TITLE */ h1, #page-title { color: #9B0400; /* COULEUR GROS TEXTE BLANC (il est rouge maintenant hihi) */ padding: 0 0 0.25em; margin: 0 0 0.6em; font-weight: normal; z-index: -10; } #page-title { color: white; border-color: #f6d058; } /* Links */ #side-bar a, #side-bar a:visited { color: #EDB44F; } a:hover { color: #e7d30e text-decoration: underline; background-color: transparent; } a.newpage { color: #f6d058; } /*HEADER IMAGES*/ div#container-wrap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ai-napoleon-i/Th%C3%A8meSAINapoI.jpg) top left repeat-x; } #header { height: 200px; padding-bottom: 0px; /* FOR MENU */ background: url(http://fondationscp.wdfiles.com/local--files/theme%3Asai-napoleon-i/1506450654-saii.png) 20px 0px no-repeat; } /* POUR AVOIR UN FOND NOIR (DUH) */ body { background-color: black; font-family: Verdana, sans-serif; font-size: 12.8px; } /* Adjust Mobile Image Size */ @media (max-width: 479px) { #header { background-size: 415px 145px; background-position: -5.1em 1.3em; } } @media (min-width: 480px) and (max-width: 580px) { #header { background-size: 415px 145px; background-position: 0em -1em; } } @media (min-width: 581px) and (max-width: 767px) { #header { background-size: 500px 135px; background-position: -1em -1em; } } @media (min-width: 768px) and (max-width: 979px) { #header { background-size: 500px 135px; background-position: 0em -1em; } } /* HIDE THE HEADER TEXT */ #header h1 a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80px 0 25px;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color: #00003D; background: transparent; font-family: Akashi, Arial, sans-serif; font-size:0%; text-decoration: none; text-shadow: 3px 3px 5px #000; letter-spacing: 0.9px; } #header h2 span { display: block; margin: 0; padding: 19px 0; line-height: 0px; max-height: 0px; font-weight: bold; color: #f0f0c0; font-family: Helvetica, sans-serif; font-size: 0%; text-shadow: 1px 1px 1px #000; text-shadow: 1px 1px 1px rgba(0,0,0,.8); } /* TOP BARRE */ #top-bar { position: absolute; z-index: 50; top: 140px; height: 21px; line-height: 18px; padding: 0; z-index: 20; font-size: 90%; } #top-bar ul { float: right; } #top-bar a { color: #fff; background: transparent; } #top-bar ul li { border: 0; } #top-bar ul li ul { border: solid 1px #666; box-shadow: 0 2px 6px rgba(0,0,0,.5); border-top: 0; } #top-bar ul li a {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text-decoration: none; padding-top: 10px; padding-bottom: 10px; line-height: 1px; max-height: 1px; overflow: hidden; } #top-bar ul li.sfhover a, #top-bar ul li:hover a { background: #00003D; color: #e7d30e; border-left: solid 1px rgba(64,64,64,1); border-right: solid 1px rgba(64,64,64,1); } #top-bar ul li.sfhover ul li a, #top-bar ul li:hover ul li a { border-width: 0; width: 150px; border-top: 1px solid #ddd; line-height: 160%; max-height: none; padding-top: 0; padding-bottom: 0; } #top-bar ul li.sfhover a:hover, #top-bar ul li:hover a:hover { background: #fff; text-decoration: none; } #top-bar ul li ul { border-width: 0 1px 1px 1px; width: auto; }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sfhover, #top-bar ul li ul li, #top-bar ul li ul li:hover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li a { border-width: 0; } #top-bar ul li ul a, #top-bar a:hover { color: #a01; } /* SEARCH BAR */ #search-top-box-input, #search-top-box-input:hover, #search-top-box-input:focus { background-color: #11131f; border-radius: 0;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 {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b57416, #edb15a); color: #800909; border-radius: 0; transition: color 0.25s; }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hover, #search-top-box-form input[type=submit]:focus {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b57416, #edb15a); color: #a65252; } /* LOGIN STUFF */ #login-status { color: #1f1f1f; font-size: 90%; z-index: 30; } #login-status a { background: transparent; color: #1f1f1f; } #login-status ul a { color: #1f1f1f; background: transparent; } #account-topbutton { background: #ddd; color: #1f1f1f; border: none; } #account-topbutton:hover { color: #ff5638; } /* COULEUR BLOC D’IMAGE (PEUT TRIPATOUILLER)*/ .scp-image-block { border: inset 3px #9E6E54; position: relative; z-index: 10; } .scp-image-block .scp-image-caption { background-color: #F5F1CE; border-top: inset 3px #9E6E54; position: relative; z-index: 10; } /*-------------------*\ * LES ENCADRES * \*-------------------*/ blockquote, .yui-content blockquote { border: 1px solid rgba(0,0,0,0.12); background-color: #F5EDCE; } /* MODULE DE NOTATION */ .page-rate-widget-box { padding: .1em; } .page-rate-widget-box .rateup a, .page-rate-widget-box .ratedown a { color: var(--ct_col_rate-cancel); } .page-rate-widget-box .rateup a:hover, .page-rate-widget-box .ratedown a:hover { background-color: #c70000; } .page-rate-widget-box .cancel:hover { background: none !important; background-color: var(--ct_col_rate-cancel) !important; } .page-rate-widget-box .cancel a { background: none !important; color: var(--ct_col_rate-cancel) !important; } /* TAB RECOLORING (A TRIPATOUILLER) */ /* TABVIEW LOOKS ===========================*/ .yui-navset .yui-content { border-color: #fbc951; border-top-color: #fbc951; background-color: #F5F1EE; font-weight: normal; } .yui-navset .yui-nav,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 border-bottom: 0.3em solid #784c34; } .yui-navset .yui-nav a,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a { background-image: none; background-color: #fbc951; font-weight: normal; } .yui-navset .yui-nav a:hover, .yui-navset .yui-nav a:focus { background-image: none !important; background: #e1b448; border-color: #e1b448; color: white; } .yui-navset .yui-nav .selected a, .yui-navset .yui-nav .selected a:focus, /* Pas d'effet focus/hover pour tab sélectionné */ .yui-navset .yui-nav .selected a:hover { background-image: none !important; background: #784c34; border-color: #784c34; color: white; } .yui-navset li { line-height: normal; } /* Bordures onglets */ .yui-navset .yui-nav a,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a { border: 1.2px solid #fbc951; padding: 0.15em; } .yui-navset .yui-nav a em,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a em { border: none !important; } /* Smooth */ .yui-navset .yui-nav a, .yui-navset .yui-navset-top .yui-nav a { transition: background-colo 0.4s, border-color 0.4s; } /* BAS DE PAGE */ #footer { clear: both; font-size: 77%; background: #540400; color: #d89900; margin-top: 15px; padding: 3px 10px; } #footer a { color: #fff; background: transparent; } /* SIDE BAR RECOLOR AND STUFF */ #side-bar .side-block { border: 1px solid #f2e281; background: #380d0d; color: #ddac13; } #side-bar .side-block.media, #side-bar .side-block.resources { background-color: #380d0d !important; color: #ddac13; } #side-bar .heading1 { color: #e7d30e; border-bottom: solid 1px #080808; padding-left: 24px; margin-top: 10px; margin-bottom: 0px; font-size: 15pt; font-weight: bold; } #side-bar .heading { color: #e7d30e; border-bottom: solid 1px #fafafa; padding-left: 15px; margin-top: 10px; margin-bottom: 5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 #side-bar div.menu-item img { width: 13px; height: 13px; border: 0; margin-right: 2px; position: relative; bottom: -2px; } #side-bar div.menu-item.inactive a { color: #fddd21; } #side-bar div.menu-item .sub-text { font-size: 80%; color: #fddd21; } /* MOBILE SIDEBAR */ @media (max-width: 767px) { #side-bar{background-color: transparent} .open-menu a { border: 0.2em solid #EDB44F !important; background-color: #380d0d !important; color: #EDB44F !important; } } /* Patchs de lisibilité */ .page-info, #action-area, .history-form-1, .page-source { color: navajowhite; } #action-area a, .history-form-1 a, .page-source a { color: #EDB44F; } .page-info .lock-info, .change-textarea-size a { color: black } /* Custom page content classes */ #page-content { min-height: 720px; } .unmargined > p { margin: 0; line-height: 100%; } .content-panel { border: solid 1px #e7d30e; border-radius: 10px; background-color: #e7d30e; margin: 10px 0 15px; box-shadow: 3px 3px 6px #bbb; box-shadow: 0 2px 6px rgba(0,0,0,0.5), inset 0 1px rgba(255,255,255,0.3), inset 0 10px rgba(255,255,255,0.2), inset 0 10px 20px rgba(255,255,255,0.25), inset 0 -15px 30px rgba(0,0,0,0.1); } .content-panel .panel-heading { padding: 2px 10px; color: #00003D; font-size: 90%; font-weight: bold; text-shadow: 1px 1px 2px rgba(0,0,0,.35); } .content-panel .panel-body { padding: 5px 10px; background: #fff9f0 url(/local--files/component:theme/panel-bg-gradient-reverse.png) bottom repeat-x; } .content-panel .panel-footer { padding: 1px 10px; color: #e7d30e; font-size: 80%; font-weight: bold; text-align: right; text-shadow: 1px 1px 2px rgba(0,0,0,.5); } .content-panel .panel-footer a { color: #e7d30e; } .content-panel .content-toc { float: right; padding: 0 20px; background-color: #fff; border: solid 1px #fff; border-radius: 10px; margin: 20px 0 5px 5px; white-space: nowrap; box-shadow: inset 1px 2px 6px rgba(0,0,0,.15) } .alternate:nth-child(even) { background-color: rgba(255,255,255,.9); } div.prompt {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22424; background: linear-gradient(#171717, #242424); color: transparent; padding: 10px; margin: 5px; } div.prompt pre, div.prompt blockquote { color: #e7d30e; } div.side-block pre, div.side-block blockquote { color:e7d30e; text-shadow: none; } div.box-brown {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5c1515; background: linear-gradient(#5c1515,#F0F0F0); color:e7d30e; padding:10px; margin:5px; } /* TRANSLATION BLOCK */ iframe.scpnet-interwiki-frame { filter: brightness(85%) hue-rotate(90deg); -webkit-filter: brightness(85%) hue-rotate(90deg); }
/* Allègrement repompé sur : SCP Sigma 9 [2014 Wikidot Theme] Created for the SCP Foundation by Aelanna (bidouillé par DrGemini) Modified for SCP Korean Branch by XCninety */ #header { height: 200px; padding-bottom: 0px; /* FOR MENU */ background: url(http://scpko.wdfiles.com/local--files/theme%3Asai-napoleon-i/1506450654-saii.png) 20px 0px no-repeat; } body { font-family: verdana, "Nanum Gothic", arial, helvetica, sans-serif; } /* Adjust Mobile Image Size */ @media (max-width: 479px) { #header { background-size: 415px 145px; background-position: -5.1em 1.3em; } } @media (min-width: 480px) and (max-width: 580px) { #header { background-size: 415px 145px; background-position: 0em -1em; } } @media (min-width: 581px) and (max-width: 767px) { #header { background-size: 500px 135px; background-position: -1em -1em; } } @media (min-width: 768px) and (max-width: 979px) { #header { background-size: 500px 135px; background-position: 0em -1em; } }

- 서설 -
여기서 우리는, 특이한림원의 탁월한 지성들의 말을 귀담아 들으사 영국의 적도들을 트라팔가에서 맞아 싸워 신비한 "와류"와 그 너머 바로 펼쳐진 기이한 미답의 땅 누벨올랑드를 얻으신 프랑스인의 황제 폐하께서 품으신 뜻을 밝혀적는다.
누벨올랑드 와류 중요 보고서: 프랑스인의 황제 폐하
드카메크뤼작de Camecruzac 한림원장 배상
공화력 13년 테르미도르 22일

무릇 군주가 특이체Singularité를 살핌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관심을 쏟는 것은 특이체가 오롯이 지배당할 수 있느냐, 그리고 국가의 대소사에 이로우냐 하는 것이기 마련입니다. 이 중차대한 문제에 제국 특이한림원Singulière Académie Impériale의 학자들은 한림원이 발족하는 순간부터 전념하기를 그치지 않았으며, 그와 같이 국가에 헌신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저는 이번 과업으로 얻어낸 결과를 폐하께 바치고자 합니다.
폐하께서 특이체를 취급하는 여러 프랑스 단체를 규합해 오직 한림원의 아래에 놓으심은 필히 선견지명이오니, 이 합침으로 말미암아 저희 연구가 크나큰 결론을 이룩해 낸 까닭입니다. 갖은 단체들의 문헌을 취합하고 정성스레 분석하는 지난한 과정을 폐하께서 기꺼이 견디는 은혜를 베풀어 주신 끝에, 특이체의 문제를 풀 해답이 이제는 명백히 드러나게 되었습니다.

테브노의 지도.
해답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그 첫째는 다름아닌 누벨올랑드Nouvelle-Hollande1 땅, 곧 멜키세데크 테브노Melchisédech Thévenot가 1644년 홀란디아 노바Hollandia Nova라 이름붙였던 그 땅입니다. 여기 이 땅의 지도를 드립니다. 폐하께서도 익히 모두 아시겠습니다만 영국의 대령 제임스 쿡이 1770년 영국 국왕의 이름을 앞세워 이 땅 동쪽의 해안을 손에 넣었으며, 감히 제 입으로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지금은 프랑스에 그토록 갖은 피해를 끼친 그 나라에서 이토록 귀중한 특이적 자원을 차지해버린 형편입니다.
두 번째 부분은 첫째보다 더욱 심오하온데, 폐하께서는 명철하신 지혜로 이제 말씀드리는 것이 무엇인지 능히 깨달으시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누벨올랑드 탐사 일지에서는 가장 오랜 기록에도 가장 새로운 소식에도 그 섬에 원래부터 살던 토인들이 등장하는데, 이들은 현대 문명에게서 아주 멀리 떨어졌으나 특이체를 잘 아는 것만은 유럽의 그 어떤 학자보다도 우월합니다. 그리고 그 까닭은 바로 이 섬에 산다는 특이체의 창조자, 은자물지Ndjamulji입니다. 폐하께서 한림원 회의에 친림하신다면 이 창조자라는 것의 자세한 일과 기묘한 점을 모두 말씀드릴 수 있사오니, 이 글에서는 다른 설명을 감히 생략하겠습니다.

십자표는 와류의 추정 위치임.
저희는 또 이번 연구로써 폐하께서 관심을 기울이실 만한 주기성 특이적 현상을 발견했사온데, 이 현상은 에스파냐 난바다에 어떤 와류(渦流)가 잠시 열리는 곳으로, 이 와류 속으로 사람이나 선박이나 아무 물건이 들어가면 아직 미처 규명되지 못한 어떤 특이적 기작으로 말미암아 단 몇 시간만에 누벨올랑드에 닿게 됩니다. 이 와류는 은자물지가 친 막대한 그물망의 성분 한 조각에 그친다고 하겠으나, 그 자리잡은 장소와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9일이라는 그 출현 일자를 감안하면 폐하께 더없이 귀중한 연구 대상이라 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저희는 연구 내용을 간추려 그린 지도를 바치고자 합니다.
한림원은 이제껏 저희가 쌓아올린 고찰의 내용을 폐하께서 친견하시고 이것이 국가에 얼마나 중대한지 곧바로 알아차리시리라 감히 자신하므로, 이러한 까닭으로 이상의 내용을 외람되이 프랑스인의 황제 폐하의 어전에 올리고자 합니다.
제국 특이한림원장
드카메크뤼작 서명
"은자물지" 관련 종합조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황제 폐하 직속 정보기관 소속
초상현상 조사관 및 마법 전문관
외젠프랑수아 비도크Eugène-François Vidocq
본인은 모험가 겸 탐광자로서 용의주도하다는 평판을 쌓고 오컬트 세계에 여러 가지 관계를 구축했으며, 그 덕분에 놓치지 않고 황제 폐하, 더 넓게 말하면 제국 특이한림원의 눈길을 끌게 되었고, 벌써 여러 차례 한림원과 협력하여 인류의 이해를 넘어서는 범죄 몇 건을 해결했던 바 있습니다.
그리하여 본인은 이번에도 본인의 관계와 지식을 발휘함으로써, 이 침묵의 세계에서 이토록 시끄러운 풍문을 일으키는 누벨올랑드 원정에 관계될 만한 정보를 최대한 그러모으고 또 원정에 관련하여 한림원이 조사한 내용을 교차검증 및 편집하는, 막중한 임무를 의뢰받게 되었습니다. 본인은 제4차 오컬트 대전의 한복판에서 우리가 이러한 행동에 나서야 하는 까닭을 십분 이해하고, 또한 넘치는 의무감과 더불어 한림원에서 약속한 후한 보수가 본인을 설득해 주었으므로, 이 신비의 대륙과 그 땅에 사는 생명체가 품은, 아무도 손에 넣지 못한 정보를 찾아 나섰습니다. 온 세상을 놓고 다투는 프랑스와 영국의 초상적 힘겨루기의 향방이 제게 달렸다 하겠습니다.
본인이 최초로 접촉한 인물은 다름아닌, 아이티 섬의 부두교 여사제 중에서 가장 뛰어난 마망 시씨Maman Sissi입니다. 아이티가 작년에 독립을 선언한데다 무자비한 아이티 황제 자크 1세Jacques I가 백인을 대대적으로 학살 중인지라, 제국 특이한림원도 기타 프랑스 고위층도 감히 아이티 땅에 발을 들이려면 목숨을 지불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물론, 본인은 제외하고 말입니다.
마망 시씨 증언기록

아이다와 담발라를 그린 베베(veve: 의식용 문장)
마망 시씨는 자신 이전의 수많은 부두 사제들처럼, 정신세계를 거쳐 이미 SAI-001을 만나봤던 바 있습니다.
부두교 신앙에서 SAI-001은 무지개뱀 아이다 웨도(Aida Wedo)라고 일컬어지는데, 하늘의 여신으로서 대기와 비바람, 자연재해를 관장합니다. 검은 대륙에 사는 부족들은 옛날부터 분지(Bunzi)라고 일컫기도 했습니다. 아이다의 남편은 담발라 웨도(Damballah Wedo)인데, 담발라 또한 지혜와 지식을 갖춘 뱀 모습 신이며 또한 둘이 함께 무지개를 이룹니다. 담발라는 아무래도 무지개뱀의 지성과 텔레파시 능력을 별도로 인격화한 대상이라 하겠습니다.
마망 시씨가 설명하기로는, 아이다 웨도는 배우자와 함께 온 세상에 몸을 뻗쳤으며, 이들에게서 "창조"가 기원했습니다. 이 말은 아마도 정확히 말하면 특이체의 창조, 즉 모든 특이체가 뱀의 의지로 태어났다는 뜻이라 하겠습니다. 또 덧붙여 들은 바로는, 아이다는 자신을 섬기며 행동거지가 충직한 이에게 숨겨진 보물을 내리기를 좋아하며, 마망 시씨 또한 약소한 특이체가 창조되길 바라며 기도를 바치기도 했습니다.
마망 시씨는 간단한 축에 드는 기도의식 몇 가지를 시범삼아 직접 보여주고, 조금 복잡한 의식 몇 가지를 설명해주기도 했습니다. 본인은 뱀이 제게 관심을 기울이지 않도록 의식을 모두 마치지는 말아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의식은 대부분 하얀 음식과 하얀 수탉을 공양하면서 이루어지고, 또 여러 가지 주문도 있는데 이것은 따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무지개 신앙에서는 하얀색이 중요한 역할을 띠는 듯합니다. 이 의식은 뱀에게 접촉하여 청을 넣는 데 그칩니다만, 한림원이라면 더욱 강력한 주문을 개발해낼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아메라카 부근에 머물 때쯤 본인은 운 좋게도 제 지인, 항상 어딜 싸돌아다니며 신출귀몰하기 짝이 없는 훌륭한 탐험가 장프레데릭 막시밀리앙 드발데크Jean-Frédéric Maximilien de Waldeck와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한림원 회원 여러분께서 저보다 훨씬 더 잘 아시리라 짐작합니다만, 이자는 고대 마야 사원을 탐사하고 놀라운 유물들을 발견해냈으며, 아메리카의 열두 유태인 부족을 놓고 기발한 학설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동시에 한림원에서 당연히 꺼려할 사람이긴 합니다… 어제는 에스파냐, 오늘은 영국, 내일은 이탈리아 유력 세력과 번갈아 가며 협력하는 변덕스러운 자인 줄 저도 압니다. 그래도 이자에게서 몇 가지 실마리를 얻어낼 수 있었습니다.
장프레데릭 막시밀리앙 드발데크 증언기록

플라톤과 디오도로스가 비정한, 유럽과 아메리카 사이에 자리잡은 아틀란티스의 위치
SAI의 석학이라면 이미 모두 아시겠습니다만, 아프리카와 에스파냐 사이의 지브롤터 해협은 "헤라클레스의 기둥"이라 불렸습니다. 대개 알려진 바로는 고대 사람들은, 특히 플라톤은 아틀란티스의 위치를 헤리클레스의 기둥 앞바다로 비정했습니다. 그런데 마침 이곳이 바로, 남쪽에 자리잡은 누벨올랑드 땅으로 이어지는 와류가 자리잡은 곳입니다.
발데크가 추측하는 말로는, 아틀란티스는 다름아닌 누벨올랑드이며, 아틀란티스의 주민은 바로 이곳에서 무지개뱀을 섬기는 원주민입니다. 아틀란티스인이 누렸다는 번영과 풍요, 그리고 경이로운 "기술력"이란 그 생명체가 종복에게 내리는 선물이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는 이들을 충분히 목도할 수가 있습니다.
트라팔가 와류가 잠시 열렸다 사라지는 현상을 본다면, 그리스 탐험가들이 자기가 분명 교류까지 했던 대륙이 있던 자리에 대서양만 광활한 모습을 발견하고 당황하여, 결국 애초에 발길이 닿지 않았던 곳에 멀쩡히 있는 대륙을 두고 아틀란티스가 물에 삼켜졌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아틀란티스인은 포세이돈을 섬겼다고들 하는데, 이것도 그 뱀이 이상하게 와전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이 뱀 또한 물의 세계와 폭풍우에 연관되어 있음을 본다면. 전설 속 군사·해양 강국 이야기는 논란의 여지가 좀 있겠습니다. 여기 섬에 사는 토인들은 읽거나 셈할 줄 모릅니다. 그런 탓에 이들이 뱀에게 그 많은 공물을 바쳐가면서도 군인 노릇을 할 수 있었다면 좀 놀랍습니다. 그렇지만 발데크는 이들 원주민이 몇천 년을 번영과 무사태평 속에서 살았으니 미(美)에도 실용에도 천착할 필요가 없었던 탓에 문명을 모두 상실하지는 않았는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다시 프랑스로 돌아와 본인은 제 그림자만 보면 감개무량하게도 화부터 벌컥 내는 사람들, 즉 프리메이슨을 찾아가기로 하였고, 곧 코망되르 뒤 몽타보르Commandeurs du Mont-Thabor 로지의 마스터를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누군지 눈치채셨겠습니다만 이 사람이 바로 라세페드Lacépède 백작, 곧 레지옹 도뇌르 상훈국 총재, 베르사유 컬렉션의 옛 수호자이자 신비한 동물 전문가, 그리고 켈트한림원 회원입니다. 위대한 동지이신 보나파르트의 이름으로 본인이 불쑥 찾아가자, 백작은 결국 켈트 친구들과 소중히 간직하던 옛 북유럽 신화 이야기를 본인에게 풀어놓았습니다.
라세페드 백작 증언기록

인간계와 신계를 잇는 무지개 비프로스트. 올루프 바게(Oluf Bagge) 판화.
비프로스트(Bifröst)란, 스노리Snorri의 에다(Edda)에서 정의하기로는 인간계 미드가르드와 신계 아스가르드를 잇는 빛나는 무지개 다리를 말합니다. 이것이 무엇을 상징하는지는 명확합니다. 속세와 선경, 자연과 초자연 등의 사이에 놓인 통로라 하겠습니다.
이것을 유럽과 저 불가사의한 누벨올랑드 땅을 잇는 와류를 암시한다고 봄직도 하겠습니다만, 분명히 이것은 저 뱀 자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어원학과 낱말의 역사에도 조예가 깊은 라세페드 백작이 알려주는 말로는, 비프로스트의 비프(Bif)는 고대 노르드어 비파(bifa), "꿈틀거리다, 일렁이다"에서 왔다고 합니다. 이것은 이 다리가 불안정하며 살아 있다고 표현하는 것이 매우 분명하니, 결국 무지개뱀을 가리킬 수밖에 없습니다.
비프로스트는 견고하기 그지없으며 "모든 건물 너머로" 펼쳐져 있다고 합니다. 라그나로크 때 화염 거인이 건너온 다음 무너져 내릴 것이라고 합니다.
대중에게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 젠장맞을 프리메이슨이 혼자 고이 간직하던 문헌인 베리에(Bélier)의 에다에 따르면, 비프로스트는 다리를 수호하는 신이자 라그나로크의 전령인 헤임달이 걸치는 망토의 거대한 한 자락이라고 합니다. 이것으로 본다면 비프로스트는 헤임달과 한몸이며 그 정신과 인간적인 면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헤임달을 일컫는 말로 "세상의 기둥", "하얀 신", "굽은 지팡이"가 있는데, 틀림없이 뱀의 속성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또 베리에의 에다에 따르면, 헤임달에게는 불기만 하면 아홉 세계에 걸쳐 울려퍼지는 걀라르호른이라는 뿔피리가 있는데, 이 피리는 매일 송아지 아홉 마리를 각 세계에서 한 마리씩 데려와 잡아먹어야 한다고 합니다. 송아지를 먹고 나면 피리는 뼈를 뱉어내는데, 이 뼈는 대개 자신이 원래 있지 않았던 세계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그 뼈는 유물로 대접받으며, 조각하여 마법이 깃든 물건을 만들기도 합니다.
이 마법의 뼈로 된 물건들은 우리 세상에도 여러 개 있으나, 그 당시에는 노파로 이루어진 이름 모를 집단이 거두어 보관했으며 이들은 기독교 전도사가 찾아오자 공격하여 돌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 유물들이 오늘날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교차검증 차원에서 한림원은 본인에게, 그르노블의 헤트Heth 기지에 임시 격리 조치된 청년 장프랑수아 샹폴리옹Jean-François Champollion을 소개해 주었습니다. 이 청년이 SAI-2492에 접촉한 이후 장애를 얻은 탓에 광증이 찾아올 때마다 두려워하는 기색이 역력했습니다만, 한림원에서 이런 신동을 성실히 보살펴줄 것이며 또한 이 청년이 동방과는 거리가 먼 영역에서도 빛나는 미래를 찾아낼 수 있으리라고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본인은 샹폴리옹과 짤막하게 직접 대면하여, 그 특출한 재능에 힘입어 아주 흥미로운 이집트 전설을 전해들을 수 있었습니다.
장프랑수아 샹폴리옹 증언기록

뱀과 표류자.
황제 폐하께서 이집트 원정에 나서셨을 때 얻으신 물건 중에서 SAI-001를 언급하는 이집트 중왕국 시대 파피루스가 있었습니다. 이 파피루스에서 서술하는 글의 이름은 "표류자 이야기"인데, 현재 발견된 사실을 감안하면 이름만 이야기일 뿐이라 하겠습니다.
파피루스에 적힌 이야기를 보면, 어떤 이집트 선원이 배를 탔다가 폭풍을 만나 홀로 황량한 외딴 섬에 홀로 표류해 닿았습니다. 이 사람이 와류를 통과해 움직였다는 점은 모두 눈치채셨을 듯합니다. 이 사람이 표류한 섬을 살펴보니, 아주 푸르르고 비옥한 땅이었지만 아무도 살지 않았으며 거대한 뱀이 섬을 지켰다고 합니다.
이 뱀은 길이가 이집트 단위로 30큐빗, 즉 2~3퍼치perch에 이른다고 그려지는데, 그림에 모습을 모두 담으려고 일부러 줄여 그렸을 뿐이라 하겠습니다. 뱀은 무지개처럼 그려지지는 않았으나 비늘이 금으로 되었다고 나오는데, 탁월함과 초자연을 띠는 신성(神性)을 상징합니다. 또한 뱀은 눈이 청금석으로 되었으며 인간의 수염을 달았습니다. 뱀은 표류한 선원에게 호의를 베풀었으며 넉 달 동안 보살펴 주었다고 합니다. 넉 달이 지나 뱀은 선원에게 배를 주고 식량과 선물을 실어 이집트로 돌려보냈습니다.
선원은 이집트로 돌아와 파라오에게 자신이 겪은 일을 말했으며, 뱀이 준 선물을 일부 바쳐 부와 권력을 손에 넣었습니다. 선원은 나중에 다시 함대를 꾸려 자신의 친구 뱀을 찾아 나섰으나, 섬은 사라져 있었습니다. 트라팔가의 와류가 또다시 닫힌 것이라 하겠습니다.
문헌 속에서 뱀은 친절한 성격을 내보였습니다만, 샹폴리옹은 그 유명한 "직관"에 근거해서 이야기의 우려스러운 해석을 같이 제시했습니다. 이 문헌의 중의성을 모종의 방식으로 뜯어보면, 이 표류자는 파라오에게 여러 가지 특이체들을 실어다준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정확히 어떤 동기를 품었는지 알 수는 없으나, 뱀이 인간 세계에 계산적으로 개입했다고 받아들인다면 아직 믿기에는 부족하다고 하겠습니다.
본 문서와 더불어 이집트 기도문 필사본 몇 장을 같이 보내오니, 조금이나마 여러분께 쓸모가 있기를 희망합니다. 나아가 더불어 여러분이 얻은 옛일의 흔적들이, 한림원에서 누벨올랑드 땅과 뱀과 그 족속들의 진정한 성질을 규명하고, 또한 그곳에 도사리는 마법에게서 우리 전사들을 지켜 줄 퍼즐 한 조각으로 작용하기를 기원합니다.
누벨올랑드 원정이 최선의 조건 아래 이루어지기를.
소급장점술에 관하여
대육군 공병대사령관 조제프 드로냐Joseph de Rogniat와
커피중독 추기경 장바티스트 벨루아Jean-Baptiste Belloy이
제국 특이한림원을 위하여 작성한
간단한 실행설명

누벨올랑드 원정은 황제께서 착수하셨던 과업 중에서도 지금까지 가장 담대한 계획이며, 당연히 이룩하기까지 넘어야 할 산 또한 수두룩합니다.
그 넘을 산 중에서도 가장 우려를 키울 만한 것이라면 아무래도 고립이라 하겠습니다. 신비의 땅을 영국군의 손에서 탈환해 낼 우리 군대가 와류를 한 번 뚫고 나가면, 프랑스와도 황제와도 SAI와도 연락이 모두 끊어지며 제국의 소식을 듣지 못하게 됩니다. 오컬트 전쟁이 한창인데다 이번 원정은 더없이 중요한 만큼, 연락을 취하지 못하는 상황을 손가락 빨면서 지켜볼 수는 없습니다. 다행히, 이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있습니다.
본인은 신학 연구를 수행하고 교황 성하를 알현하고자 몇 번 로마를 방문하면서 모종의 점술을 알게 되었는데, 고대 로마 시대부터 장점술(腸占術)이라 하여 동물의 내장을 꺼내 미래나 신의 뜻을 읽는 방법입니다. 이 점술은 올바르게만 실행한다면 희미하지만 믿음직한 결과를 공히 내놓으며, 교회에서 은비학에 가장 친숙한 영역에서도 이 기술을 주욱 보전하며 교황좌와 그 동맹을 영속시키는 데 큰 역할을 맡아 왔습니다. 바티칸에서 보관하는 몇 가지 텍스트에서 이 점술의 이론 체계를, 그리고 "존재한 적 없는 자들"에게서 나온 텍스트에서 그 실행 방법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의 발상은 아주 간단하면서도 패기가 매우 넘칩니다.
1) 희생시킨 동물의 내장에서 나오는 정보는, 조건을 알맞게 맞추었다면 장점술을 이용해 적당한 지식을 발휘하여 해석해낼 수 있습니다.
2) 이 정보가 유래하는 곳은 고대인의 말로 "관념천Ciel des Idées"이라고 하는 모종의 무실체 공간인데, 오직 내장으로만 이 정보가 투영될 수 있다고 합니다.
3) 정교한 역공학 과정을 거친다면 이론적으로, 보통의 희생의식에서 필요한 조건을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희생 동물의 내장을 거쳐 메시지를 우리가 직접 짜넣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희생의식을 읽는 행위에서 쓰는 행위로 탈바꿈시킨다고 하겠습니다.
4) 그렇게 우리가 시체 속에다 짜넣은 메시지는 관념천 속으로 파고들어가 우리 세상 바깥으로 벗어나게 됩니다.
5) 이론적으로 이 방법이라면, 장점술이 읽는 행위로서 남아 있는 한, 그 메시지에 위치와 무관하게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이 모든 과정이 이론은 간단합니다만, 문제는 원하는 메시지에 실제로 접근할 수단이 요원하다는 점이었습니다. 보통 장점술을 이용한다고 하면, 점술사가 대개 개인의 앞일이라든가 집단의 앞날이라든가 하면서 읽는 미래란 상황이나 시간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입니다. 점술 자체가 불확실한 행위입니다. 내가 만진 시체에 짜넣은 바로 그 메시지를 어떻게 다른 누가 얻어낼 수 있다고 하겠습니까?
이 문제를 다행히도 해결한 것은 다름아닌 미트라 존엄형제단Respectables Frères de Mithra (재건) 이 한림원 대의원회에 참여할 자격을 얻었던 때였습니다. 미트라 존엄형제단 (재건) 은 "존재한 적 없는 자들"과 마찰을 빚은 적 없을 뿐만 아니라 매우 친밀했는지라 혈액점에 관하여 꼭 필요했던 문헌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이것을 미트라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사이의 해묵은 갈등을 무릅쓰고 아주 크나큰 친절을 발휘하여 제게 건네주었습니다. 귀중한 도움을 얻은 덕에 저희는, 동물 시체 두 구가 똑같은 종이라면 인두로 마법 상징을 정교하게 찍음으로써 무형의 연결고리를 구축할 수 있음을 발견해냈습니다.
실험은 성공을 거두었습니다만 숨김없이 말씀드리면, 목숨을 갓 거둔 시신의 내부 장기를 배열해 제대로 된 메시지를 써넣는 과정은 몹시 어려웠습니다. 들어보지 못한 언어를 배우지 못한 문법으로 구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였습니다.
이 마지막 난점은 저희 기술자인 로냐 자작이 해결해 냈습니다. 우리 문자 체계의 문자·숫자에 대응하는 복합적 키 체계를 고안하고 이에 맞춰 희생 동물의 내장에 금속 핀을 꽂고 장기를 서로 이어줌으로써, 동물의 내장 속에 메시지를 짜넣는 과정이 놀라우리만치 용이해졌습니다.
장점술 코드표 또 한 질을 만들어 분해한 채로 여러분께 막 송달했으며, 첨부한 소책자에 조립 방법과 이용법을 밝혀두었습니다. 이론상으로는 SAI의 과학자 중에서 원정에 참여하는 분들이라면 벌써 제게 방법을 배우셨을 겁니다.
누벨올랑드에서 우리가 어떤 동물종을 마주칠지 모르고, 또 선박이 유럽에서 실어가는 가축에도 수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장점표는 인간의 시신을 기본으로 설정했습니다.
누벨올랑드 원정에 참여한 가브리엘 베른Gabriel Verne 여단장의 수기
공화력 13년 프뤽티도르 9일
행운의 여신은 나를 무슨 원대한 계획의 도구로 삼으려는 걸까. 내가 한갓 보병 대위에서 제국 특이한림원 사령관 겸 교관으로 진급하는 것은 끝없는 영광의 새 발의 피일 뿐이라는 듯이, 나를 직접 만나볼 테니 불로뉴의 진영까지 찾아오기를 바란다고 황제께서 몸소 말씀하셨다. 황제께서 보고 싶어하는 사람이 귀족 장성도 아니고 위엄 넘치는 연대의 부유한 연대장도 아니고 제국군의 적당한 장교도 아닌 나 같은 한낱 중대장이라니. 그리고 바로 그 점에서 내가 얻은 이 엄청난 행운, 드카메크뤼작 님 이야기를 안 할 수가 없다. 이분께서 내가 이탈리아 원정에서 숱하게 용맹을 떨쳤으며 특이학에 소질이 넘친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으니. 내가 스네펠스Sneffels 한가운데로 잠깐 원정을 떠났다가 성공리에 돌아온 것도 그분께 깊은 인상을 남겼으리라고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나는 황제와 그 사령부의 앞에 앉아, 프랑스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들이 내 눈앞에 모여 내뿜는 광채를 홀로 견뎌야 했다. 보무당당하시며 지엄하신 꼬마 하사께서는 지루한 일장연설을 늘어놓지 않으셨다. 나는 허례허식을 생략받고 특별한 직함으로 어떤 원정대의 총사령관 자리를 임무가 끝날 때까지 얻게 되었는데, 황제께서는 그 원정이란 것이 무엇인지 바로 말씀하지는 않으셨으나 임무를 완수한다면 나를 특별한 보상으로 특이체 일을 전담할 사단장으로 올릴 것이라고 똑똑히 강조하셨다. 그리고는 뒤이어 참모들에게 이집트 원정을 두고 생각하던 바를 나누셨다. "용기가 부족했던 탓에 우리는 실패할 수밖에 없었소." 아! 오직 프랑스인의 황제만이 이러한 평가를 자신에게 감히 스스로 내릴 수 있으리라. 황제께서 곧 덧붙이셨다.
"총사령관, 그리하여 당신을 누벨올랑드 원정대장으로 임명하겠소."
그렇게 나는 장군 진급예정자이자 야심찬 원정대의 대장이 되었다. 야심이 커다랗기 그지없어 비상식적이기까지 해 보이는 원정이다. 그러나 터무니없음은 겉보기일 뿐, 한 남자가 유럽의 군주들을 두려워하는 마음에 치기 어리게 결정된 원정이라 넘겨짚는다면 크나큰 착각이다. 한림원에서 발견해낸 와류에 힘입어 황제께서는, 영국의 식민지 뉴사우스웨일스를 차지하고 이집트에서 거둔 실패를 만회하며 무엇보다 "은자물지"라 하는 무지개뱀을 손에 넣고 그 특이체를 근원부터 다룰 수 있기를 염원하셨다. 그러고 나서 황제께서는 내게 명하시어, 이번 원정에 참여할 "원정사단"을 이루는 한림원 인원 1만 명과 특수 분견대를 신중히 이끌어 카디스Cadix에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3일까지 도착해 빌뇌브Villeneuve 제독의 함대와 합류하도록 하셨다. 1개 사단을 이끌고 한 달만에 그곳까지 가라니, 내가 나폴레옹이라도 되어야지 해낼 수 있을 텐데!
육군은 오늘 불로뉴의 진지를 떠났다. 프랑스인의 용기에 걸맞은 열정을 담아, 꼬마 하사를 선두에 당당히 앞세운 채로. 그리고 이제 나는 저 남쪽 땅에 프랑스의 깃발을 꽂으러 떠날 마음의 준비를 마쳤으니, 멈추지 않고 영광이 자리잡은 곳으로 나를 이끄는 행운의 여신을 오직 찬양할 뿐이다.
아! 내가 은퇴하여 재향군인이 되어 마르트Marthe와 지방 먼 곳에 살며 손자녀석에게 들려줄 경이로운 이야기가 얼마나 모이게 될지!
공화력 13년 프뤽티도르 11일
드디어 프랑스 원정대의 톱니바퀴가 돌아가기 시작했다. 드카메크뤼작 님께서 축하하는 말씀을 보내주시고 또 황제께서 선택하신 바를 칭송하셨으니, 나도 황제를 저절로 칭송할 수밖에 없었다. 드 탈레랑de Talleyrand 님도 하인을 보내 축하 인사를 전했는데, 주의를 당부하는 기색이 은연중에 묻어났다. 장관님을 존경해 마지않기는 하지만 솔직히 그 이야기를 귀담아듣지는 않았다. 어떤 말, 어떤 군대를 동원하더라도 황제의 운명에는 감히 대적할 리 없을 테니까. 드카메크뤼작 님은 얼마 안 되어 한림원장으로서 나를 초대하여 장교들을 소개해주고 병력을 점검하여 한림원 최정예 병력을 선발해주셨다.
또한 함대의 부제독 달시d'Arcy를 만나보게 되었다. 한림원의 사관생도였는데 내가 승진한 것과 비슷한 사정으로 황제의 성은으로 진급했다고 한다. 황제께서 명령하신 바로는 함대가 도착지에 하선할 때까지는 달시 부제독이 원정대를 이끌게 되었다. 토를 달 이유는 없다. 이 청년 신사는 믿을 만해 보이고 자신감의 불꽃이 타오르니까.
내일은 파리 한림원의 보병 및 기병 부대를 열병할 예정이다. 황제께서는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위험이 부닥칠지 알 수 없으므로 원정군을 지원군 없이 승리를 쟁취할 최소한의 규모로 편성하기를 바라셨으며, 그런 점에서 보·기·포 3군을 전부 동원하도록 지시하셨다. 그래서 10일 후에 라페르La Fère까지 가서 한림원이 포병학교에서 갓 편성한 제1·제2포병연대에서 몇몇 중대를 데려올 작정이다. 무지개뱀이 한림원 생각대로 특이체의 근원이라면 전통적 화포는 방해만 될 테니까. 그 동안 달시 부제독은 군마·건초와 화포를 나를 수 있게 상선을 징발하기로 했다. 병력 징집이야 그렇게 아주 까다로운 임무는 아니지만, 그 병력을 카디스까지 데려가려면 생각할 거리가 훨씬 더 많아진다. 황제께서는 우리가 카디스까지 방데미에르 23일까지는 도착할 수 있다고 낙관하고 계신다.
공화력 13년 프뤽티도르 12일
라페르까지 직접 찾아갈 시간이 없는지라, 한림원에서 보낸 장교 평가서에만 의존해서 포병학교에서 두 연대 각각의 1중대를 선발하게 되었다. 카디스에는 방데미에르 27일에 도착할 수 있다고 한다. 까딱하면 누벨올랑드까지 포병 없이 항해해야 할지도 모르는 아주 위태로운 상황이다. 그래서 승인 하에 동원령을 내려서 포병대가 장비를 제일 효율적으로 운송하는 데 필요한 군마를 최대한 징발하려 하고 있다. 기한이 이렇게도 촉박하니 머지않아 일기 쓰는 시간도 아깝다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공화력 13년 프뤽티도르 13일
기쁘게도 육군 동부군에서 함께 강행군에 나서준 덕에 채비가 더욱 빨라졌고, 또한 한림원에서 보내준 부하들이 하나같이 의무를 걸출히 다하려고 열의에 충만하다. 우리 군대의 모습도 윤곽이 그려졌다. 황제께서 다른 원정을 떠나시면서 한림원의 으뜸 보병연대 2개를 데려가셨는지라 우리는 남은 4개 보병연대, 즉 대략 6천 명을 움직이게 됐다. 제7연대가 지금 한창 편성 중이고 출발할 때면 준비가 다 끝나 있을 테고, 한림원장님께서는 제8·제9연대를 또한 막 편성 계획 중이시다. 또한 황제께서는 한림원에서 정성껏 훈육한 부대에 더하여 다른 연대에서 우리 원정단으로 병력을 또 내려주셨다. 평범한 군사이지만 경험이 풍부하고 충성스러운데다 이탈리아나 이집트의 특이체를 조금이나마 교육받은 인력이다. 특히 유격병이며 각종 경장비 부대들이 누벨올랑드의 사나운 밀림 속에서 틀림없이 쓸모가 매우 클 테고, 또 용기병 200명이 한림원 병사로 이루어진 기병대를 수월히 보충해줄 전망이다. 또한 위관급 장교들을 만나는 자리에서 영관급을 여러 명 소개받았는데, 장교들이 하는 말로는 하나같이 매우 용맹하고 임무에 충실하며 상륙하고 나서는 더욱더 그러할 것이라고 한다. 길어야 이틀이면 원정대가 카디스로 떠나게 될 것이다. 검토 과정도 속도를 더하고 장교들과 만나는 자리도 순조롭게 이어지고 있으니, 이제 남은 건 수송 계획을 짜고 전투공병과 가교병을 보충하는 정도겠지.
공화력 13년 프뤽티도르 15일
예상대로 지난 이틀간 일기 쓸 새가 없었다. 원정대는 12,000명 규모에 포병대와 공병대까지 갖춘 채로 완성되었다. 이틀씩이나 잠을 못 잤더니 얼굴에 벌써 피로가 역력하지만, 누벨올랑드 원정이 어떤 영광을 선물할지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힘이 다시 솟는다. 라마니유Lamanille 씨를 필두로 한림원 학자 대표단을 만나봤다. 다들 누벨올랑드뿐만 아니라 섬 전체에 널린, 매우 순수하기 그지없는 특이체들을 발견할 수 있다며 기대를 감추지 않았다. 그 중에서도 최고의 열망이라면 단연 하나, 두 눈으로 직접 무지개뱀을 보는 것이었다. 대표단 모두들 성실하고 유능해 보이는지라 이 사람들을 걱정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이들은 니콜라스 플라멜 호, 한림원을 위해 특별히 진수되었다는 그 프리깃함을 타고 낭트로 최대한 빨리 갔다가 나중에 우리 함대에 합류할 예정이다.
오늘이 바로 출발하는 날이다. 다들 머나먼 이역까지 어서 도착하고 싶어서 안달이고, 하루에 10리그3도 넘게 주파할 수 있다는 기분이다. 그 열의는 앞으로 펼쳐질 긴 여행길에 아주 필요하니 환영할 따름이다. 더구나 피레네 산맥을 넘을 땐 더욱 필요하겠지. 이번 여름이 끝나면 제반 조건이 좀더 피기를 바란다. 한편 지금 사람들이 벌써 나보고 "장군님"이라 부르면서 그 단어가 딱 한 사람을 가리키는 줄 매우 강조하고, 또 출발하기 전에 연설 한번 펼쳐주기를 기대하고들 있다. 아! 역시 나폴레옹이라도 한 명 더 있어야 하는데! 사기 진작시키기는 전술전략처럼 배우는 걸까, 아니면 천부적인 재능일까? 곧 알게 되겠지.
9월 2일 ~ 10월 7일 기간의 일기는 편의상 본 문서에서 생략하였다. 해당 일기를 열람하고자 한다면 문서 은자물지/05-F 참조.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6일
드디어 카디스에 도착했다. 우리 사람들, 뭐랄까 용감함 그 자체인 이 사람들은 규율이 유럽에서 견줄 바가 없다. 그 피레네 산맥을 넘어왔는데도 여전히 사기도 대담함도 꺾어질 줄 모른다.
에스파냐 사람들은 경계가 많다. 우리 원정대를 맞아들이니 유쾌하지 않은 기색이다. 우리가 그곳의 도시를 공략해야만 했다면 귀찮은 일이었겠지만, 다행히 그쪽에서 사정을 눈치채고 도시의 항구 앞에 우리를 머무르게 해주었다. 당연하겠지만 이것 때문에 리냐드4불만을 들었다. 먼길을 행군하느라 쌓인 피로를 풀어주지도 않고, 고작 화물 집산지에서는 우리 앞에 놓인 길을 통과할 준비도 제대로 못한다면서.
이틀 뒤면 우리를 태워줄 함대를 앞에 두고 우리는 잠을 청했다. 일부 적화(敵禍)보다 물이 더 무섭다는 사람도 있었지만, 대다수가 이토록 크나크고 웅장한 전열함대를 바라보며 감탄해 마지않았다. 스페인 사람들은 항구에다 4층 갑판선 한 척을 갖다놓았는데, 듣기로는 대포가 130문짜리이며 이름은 산티시마 트리니다드(Santisima Trinidad) 함이라고 한다. 우리 전함과 프리깃함으로 중군함 10여 척, 그보다 많은 범선들과 브릭brick들, 그리고 갖가지 운송선들이 합류했다. 이 말도 안되는 전력은 달시 부제독이 데려온 것이다.
함대의 달시 부제독과 나는 부상테르Bucentaure 함에서 빌뇌브 제독을 만났다. 제독은 이름도 없는 두 사람이 이렇게나 높은 계급장을 단 모습을 보고 놀라워하는 마음을 숨기려 들지 않았지만, 우리가 제국 특이한림원에 속한 것을 알고 정중한 태도로 임해주었다. 제독은 몇 가지 경고를 짚어주었는데, 표면적으로 동맹 상태인 프랑스-스페인 관계에 산재하는 긴장, 그리고 선원들이 경험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었다. 정보원을 풀어 조사한 바로는 영국 함대에 함선은 고작 6척뿐이라고 한다. 그러나 제독은 이렇게 우리 함대가 수적으로 압도하는데도 우위를 차지하지 못할지도 모른다고 두려워했다. "넬슨"이라는 그 이름 하나가 우리 함장들에게 거짓 없는 공포로 스며들어오고 있었으니까.
뒤이어 바로 다음 회담으로, 여전히 부상테르 함 위에서 참모장과 우리 장군들, 그리고 에스파냐 장군들이 모였다. 에스파냐군이 벌써 20여 일을 꼼짝도 못하고 지원해줬는데 이제 와서 같이 길 떠나자고 설득시키기가 빌뇌브 제독으로서는 쉽지는 않았다. 에스카뇨Escaño 장군은 지금 기압이 한껏 낮아졌다며 폭풍이 몰아닥칠지도 모른다면서 어깃장을 놓았지만, 빌뇌브 제독이 한마디로 물리쳤다. "이 항구에서 한껏 낮아진 것은 그대의 용기뿐이오." 에스파냐군은 이 말에 감히 대답하지 못했고, 곧 출항을 준비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7일
천만다행히도 포병대 4개 중대가 카디스 항 코앞까지 도착했다는 소식을 드디어 받았다. 포병대 없이는 누벨올랑드로 출발할 수조차 없다. 병사들도 이제야 안심한 기색이다.
항해 과정에는 이곳으로 올 때만큼이나 강행군을 펼칠 예정이다. 병사·선원·기병 모두 다, 와류를 건널 때까지는 항구와 전열함 12대, 프리깃함 4대, 기타 각종 배들을 촌음을 아껴 가며 오가야 한다. 이렇게 많은 화약이며 탄환이며 교환부품 (한림원에서 제공한 무기는 블랑Blanc 씨가 만든 부품교환식 소총이다) 을 배에다 실어본 적은 없었다고 선원들이 그런다. 한편 원정대 기병과 포병은 달시 부제독이 징발한 상선을 타고 갈 예정이다.
황제께서는 우리의 진짜 목적이 스페인 사람들의 귀로 들어가면 긴장만 돋울 수 있으니 알리지 말라고 명령하셨다. 현재 이들은 우리가 이탈리아로 간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와류니 누벨올랑드니 하는 건 전혀 모른다. 대체 어떤 표정을 지을까, 함대 코앞에 와류가 열려 있는 모습을 보면? 하기는 제일 경험 많은 선원도 그저 초록빛이 뻥 하고 대차게 폭발한다고밖에 묘사하지 못했다. 적어도 영국놈들도 똑같은 처지겠지.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8일
한림원 대표단이 오늘 아침 항구로 들어왔다. 볼수록 놀라운 프리깃함 니콜라스 플라멜 함 덕분에 카디스로 오기 전에 두 번이나 영국 함선을 따돌렸다고 한다. 함대가 채비를 모두 마치고 언제든지 떠날 수 있는 모습을 보고서는 다들 매우 기뻐했다.
병사부터 적재된 물자와 한림원 대표단까지 원정대가 기한에 맞춰 전부 모이다니, 원정대의 앞길에 더할 나위 없이 밝은 징조다. 엄습하던 넬슨의 그림자도 이제는 그냥 하찮아 보인다. 합의한 대로 와류로 들어갈 때까지 달시 부제독에게 지휘권을 이관했다. 한 시간 뒤에 나는 참모장과 함께 뒤마누아Dumanoir 준장이 모는 르포르미다블Le Formidable 함에 타고, 달시 부제독은 랭동타블L'indomptable 함을 기함으로 삼을 예정이다. 한 시간만 지나면 드디어 누벨올랑드로 떠난다. 신비에 싸인 섬과 그곳의 특이체를 정복하기 위하여. 이제 프랑스 공화국을 위협할 수 있는 자는 더 이상은 그 미미한 제독 넬슨이 아니리라.
뒤마누아 준장이 방금 알려왔다. 영국 함대 16척이 북서쪽에서 우리를 쫓아온다고 한다.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29일
마침내 오랫도안 기다려온 그날이 왔다. 와류는 보통 15시에 트라팔가 곶 남서쪽에서 열린다고 하는데, 다만 영국놈들이 전진하는 모습이 불안해지는 것만은 어쩔 수가 없다. 군함의 속도와 와류가 나타날 시각을 감안할 때 이른 오후쯤 되면 결국 충돌할 수밖에 없을 텐데, 우리 원정의 운명이 넬슨군의 운명에 달려 있게 되다니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하지만 행운의 여신이 우리 병사와 참모와 나를 이 배에 실어 누벨올랑드로 가는 길에다 놓은 목적이 우리를 수장시키려는 것이라 믿지는 않는다. 이제 트라팔가 해전이라 이름붙을 이 전투가, 영광스러운 누벨올랑드 원정을 향한 디딤틀이 되리라.
공화력 14년 방데미에르 30일
넬슨을 이겼다. 깃발에 담긴 그 "잉글랜드는 모두가 각자의 의무를 다할 것을 기대한다"라는 메시지처럼 영국군의 결의는 단호했지만, 우리 군함 12척, 프리깃함 5척, 그리고 상선들은 모두 와류를 건너는 데 성공했다. 이제는 돛을 활짝 펼쳐 누벨올랑드로 가는 일뿐이다.
그 간악한 섬나라 놈들이 늘상 그랬듯이 역사를 자기네 손으로 주무르고 트라팔가 해전에서 승리를 챙겨가리라고 자포자기하고 있었는데, 오늘 승리한 것은 결국 우리였다.
황제 폐하께 너무나 송구하지만, 내 안에서 양심이 외치고 있다. 이것을 승리라고 자축하기는 부끄럽다고. 트라팔가 해전은 전혀 영광스럽지 않았고, 미쳐 날뛰는 혼란스런 바다 위로 철탄과 나무가 우지끈 부서지는 소리가 어우러지는 와중에 우리 군의 용기는 산산조각나버렸다. 10투아즈(toise; ∴ ≒ 20m)짜리 파도가 부딪쳐오는 와중에 우리는 배를 전혀 조작할 수가 없었고, 그 와중에 와류에서 내뿜는 바람을 맞아 마스트가 부러진데다 넬슨은 여전히 우리 전열을 무너뜨리려 했다. 누군가는 넬슨이 전투 중에 전사했다고도 한다. 누군가는 무사히 영국으로 돌아가 프랑스 제국에 복수의 칼을 갈기 시작했을 거라고도 한다. 결국은 우리 전열을 무너뜨리려 했던 정도를 넘어서 정말로 무너뜨려 버렸으니까. 그러나 넬슨이 결국 우리가 와류를 넘는 것까지 막지는 못했다. 저편에 남아준 빌뇌브 제독과 휘하 함장들의 용기에는 오직 고마울 뿐이다. 또한 에스파냐 동지들에게도, 전혀 영문을 모를 와류가 느닷없이 나타났는데도 악마처럼 맞서 싸워주고 심지어 산티시마 트리니나드 함이 10여 투아즈 넘는 파도를 숱하게 맞아 전복되고도 싸움을 이어나가준 점이 고마울 따름이다. 이들의 희생이 유가치했는지는 이제 우리에게 달렸다.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1일
뉴사우스웨일스 남부 해안이 보인다.
- 은자물지 -
여기서는 용맹한 프랑스군이 전능한 무지개뱀을 찾아 누벨올랑드 땅을 나아가며, 진기하며 치명적인 동물과 불경한 토인들, 그리고 간악한 영국 족속들이 가져다온 끊임없이 닥쳐오는 위협에 맞서 싸운 내용을 밝혀적는다.
누벨올랑드 원정대 박물학자 오귀스탱 랑게의 수기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3일
전투에 전투의 연속! 애초에 눈에 안 띌 수도 없는 우리 함대는 누벨올랑드 해안이 보이지마자 영국 국기를 휘날리는 브리그선 한 대를 빠르게 지나쳤다. 이 조그만 배는 무슨 혈기가 넘쳐올랐는지 주저하지 않고 우리 쪽으로 대포를 몇 방 쏘았지만, 금세 우리 프리깃함들의 압박을 받고 항복하고 말았다. 포성이 주위 몇 리그 밖까지 또렷이 들렸나 보다. 저 조그만 식민지 포트잭슨에서 우리가 도착한 모습을 보고 분위기가 확 달아서 그 커다란 만 전체를 방어하는 데 나섰던 걸 보면.
니콜라스 플라멜 함이 전장에서 멀찍이 떨어져 있었는지라 (덕분에 과학위원들이 아퀼라Aquila 제독에게 고마워한다) 우리는 전투 상황을 모두 다 지켜봤다. 만의 오른쪽, "우현"에는 조그만 보루가 돌담도 쌓지 못한 채로 서 있었다. 엄폐물이라곤 고작 나무줄기 몇 둥치 둔 채로 바다 쪽으로 대포 10여 문을 내놓고 있었는데, 우리 공병들마저도 저딴 보루는 대체 누가 설계했냐고 가열차게 욕할 정도였다. 우리 선단이 그 보루를 함포를 쏟아부어 몇 시간 동안 포격했다. 니콜라스 플라멜 함도 와류포를 이용해 참여했는데, 주 포대를 혼란에 빠뜨린 건 물론이고 그 지독한 소음 때문에 우리들 몇 사람 고막이 함께 날아갈 뻔했다. 나만 아니라 과학자들은 다들 좀더 섬세한 방법을 이용했으면 하는 눈치였지만, 달시 부제독의 명령은 법령에 준했다. 황제께서 손수 내리신 지시가 그 권위를 뒷받침했다. 부제독은 혈기왕성한 젊은이다. 물론 교육을 많이 받았으며 한림원 출신 이상적인 인재고 드카메크뤼작 님 같은 분이 황제께 추천한 인물이다. 하지만 교육을 그렇게 많이 받았어도 군인의 본성은 숨길 수가 없는가 보다.
항구에서 포성이 멎자, 이제 우리가 만을 장악했구나 생각했다. 그런데 그때 만의 양쪽 끝 지점 사이에서 거대한 물벽이 솟아올라 보이지 않는 거대한 힘에 떠받쳐져 공중에서 우뚝 섰다. 식민지 사람 중에 영국 왕립재단 기적술사가 있었던 게 분명하다! 우리 함대가 물벽에다 대고 포탄을 몇 발 쏴 봤으나, 몇 미터 나아가지도 못하고 이내 꼬르륵 가라앉을 뿐이었다. 이를 본 베른 장군은 조각배를 내려 띄우고 정예병을 모아 별동대로 나섰다. 별동대가 해변까지 노를 저어가는 사이에 함대는 물벽 너머 레드코트들이 기다리는 곳으로 다시 발포했다. 아마 식민지에서 그 밖에 다른 주둔군은 없었을 테니까. 별동대는 상륙하자마자 일제공격을 받았으나, 영국군은 너무 일찍 발포했던 탓에 피해를 그렇게 많이 입히지 못했다. 베른 장군 오랜만에 땅을 밟아서인지 눈에 띄게 흥분해서는 바로 돌격을 명령했고, 적군이 미처 재장전하기 전에 적진으로 들이닥쳤다. 백병전이 잠깐 벌어졌다가 레드코트들이 허겁지겁 후퇴해 도시로 도망쳤다. 해변을 점령한 것이다.
이윽고 지원병이 행동을 개시했다. 특히 포병대가 앞장섰다. 아까 그 보루가 항복하지 않고 고집스레 버텼는지라. 포격이 한 시간이나 더 이어지다가 마침내 바다 쪽 능보가 무너지고, 이번에는 2,000명 부대가 무너진 곳으로 돌격해 재빨리 보루를 장악했다. 얼마 가지 않아 물벽이 내려앉았다. 기적술사를 생포한 모양이었다. 마침 해가 저물어서 오늘은 마을 공격은 자제하기로 했다. 길은 농성군이 더 잘 알 테고, 우리도 밤을 이용해서 교두보에다 사람들을 내리는 쪽이 나을 테니까. 만에는 아직도 영국군 프리깃함이 네 대 남았는데, 여기 발이 묶여버린 만큼 내일은 분명히 저 깃대에 프랑스 국기가 휘날릴 테다. 마침내 우리도 니콜라스 플라멜 호를 떠날 수 있게 됐다. 설계는 정말 잘 한 배였지만 바다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한테는 너무 위험하게 움직이는 물건이어서 말이지.

막 차지했을 당시의 시드니(Sydney) 시. 시메옹 라발레(Siméon Lavallée) 그림.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4일
새벽부터 달시 부제독과 랭동타블 호가 만으로 진입해 영국 프리갓함들을 포격했다. 실력인지 우연인지 한 척이 삽시간에 폭발해 바다 위 불기둥으로 바뀌어버리자 나머지 배들도 객기가 푹 꺾여버렸다. 한편 이와 동시에 어제 하선한 5천 명쯤 되는 우리 부대가 도시로 전진하고, 조그만 보루의 잔해 가운데 주둔한 포병대가 이번에는 육지를 겨누고 포격을 준비했다. 영국군은 도시를 둘러싸고 참호와 갖은 해자들을 준비해놓았지만 우리 대포를 듬뿍 얻어맞고 한 30분쯤 총격전을 벌인 끝에 점령당했다. 수많은 레드코트들이 이때 항복했지만 아직도 도로에는 바리케이드가 주루룩 깔리고 복병이 드글거렸는지라 도시로 조금씩 나아가야만 했다. 바리케이드를 모두 걷어낸 다음 기병은 도시 곳곳으로 흩어져 도망자를 생포하고 보병은 민가를 집집마다 수색하며 뜻찮게 놀래킬 사람은 없는지 점검했다. 마지막 전장은 총독 관저였는데, 방어 태세를 얼추 구축해두긴 했지만 곧 우리 군에게 박살나버렸다. 정오쯤에 이 땅의 주인은 우리가 되었다. 왕립재단에서 진정한 군인을 보내지 않은 모양이다. 웬만하면 명예를 바쳐 목숨을 찾는 데 바쁜 형벌부대 병사로 가득했으니.
그리고 마침내 포성과 총성이 멎었다! 탄연이 흩어지고 화약 냄새가 식민지 땅에서 가셨다. 프랑스 삼색기가 곳곳에 게양되었다. 이제야 함대도 만에다 배를 정박할 수 있었다. 트라팔가에서 생겼던 일을 생각하면 땅바닥을 밟을 수 있어서 감사한 사람은 나만이 아닐 테다. 하선을 재개하면서 진지도 같이 꾸렸는데, 애석하게도 바닷가에는 대포와 군마가 과학기구보다 더 많이 내려와서 붐볐다. 베른 장군이 추정하기로 진지를 세울 때 누벨올랑드 땅 깊숙히 들어가서도 보급을 원활히 받을 환경을 구축하려면 최소 일주일은 걸린다고 한다. 장점표는 벌써 준비를 마쳐 놓았고, 또 영국인 하나가 여태까지 숨어서 단도를 꼬나쥐고 사람들 목숨을 앗아가단 걸 잡아서 낙인을 찍어놓고 우리가 도착했다는 징표로 파리로 보낼 예정이다.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5일
베른 장군이 설득력을 충분히 발휘한 덕분에, 여기 있던 죄수들은 들판과 밭에서 노동을 계속하는 쪽이 허튼짓 했다가 1만 프랑스군이 기운차게 휘두르는 총검에 찔리는 쪽보다 낫다는 점을 납득했다. 우리도 어쩔 수가 없다. 와류를 건너오는 그 짧은 순간을 거쳐서 아직 멀쩡하게 남은 식량도 있긴 있다만은 고작 며칠치밖에 안되고, 결국은 현지 조달이 필요한 시점이 올 테니까. 그래도 영국놈들이 식민지 곳곳에다 경작지를 만들어 놔서 망정이다.
또 죄수들 중에 왕립재단 기적술사도 있었는데, 욕설을 마구 퍼부으며 타의 추종을 불허하리만치 우리가 이겼다는 사실에 역정을 냈고, 우리가 목적지 울루루Uluru까지 도착하면 파멸을 맞이할 것이라며 막 소리쳤다. 우리 군을 무슨 저주가 내린다는 말로 겁주려던 모양이지만, 이 불쌍한 사람은 우리 군이 군기 빠져서 미신이나 믿는 리냐드가 아니라 제국 특이한림원의 전사인 줄 몰랐나 보다.
베른 장군은 또 우리한테 병참 임무를 맡기며 탐험을 떠날 때 보급이 빵빵하게 출발하도록 준비해 달라고 말했다. 동료 기술자들도 다들 불려가서 원정대가 머물 보루와 요새를 설계하고 있다. 원정대장은 실용주의 성격이 정말 대단하다. 섬 서쪽의 특이체와 싸우다 후퇴할 때를 대비해 포트잭슨에서 견고히 자리잡을 기반까지 준비하고 있으니까. 또 무슨 일이 생길지 누가 알까?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6일
어제 제기된 질문 하나 때문에 과학자들이 골치를 썩였다. 이 섬에 사는 동식물의 성질을 우리가 실험하지 않고 밝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결국 실험에는 기니피그가 필요한 법인데, 다들 믿는 대로 생물들이 적대적 성질을 띤다면 거기에 걸맞은 피험체를 찾아다닐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논의한 끝에 과학위원회는 아주 예외적인 합의에 이르렀다. 영국 죄수들에게 그 역할을 맡기는 것이었다. 남은 것은 베른 장군을 설득하는 정도다.

D-1의 골상도면.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7일
죄수 몇 명을 데리고 제국 특이한림원에서 권한 골상(骨相) 연구 절차를 실행했다. 이 죄수들의 두개골을 몇 시간에 걸쳐 계량해 보니 베른 장군에게 설명해줄 만한 과학적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 있던 영국놈들은, 물론 비겁한 녀석들만 골라져서 추방된 녀석들이지만, 두뇌 발달 수준이 표준 인간보다 훨씬 떨어졌으며 흑인보다 아주 약간 나았다. 눈두덩에서는 우둔하다는 티가 훤히 드러나고 뒷머리에서는 반골 기질까지 엿보인다. 이들을 앞으로는 퇴화자Dégénérés라는 계급으로 묶을 작정이다. 이놈들한테 노동을 시키려면 잡일이나 맡기든가 한림원 학자의 실험 대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최선일 듯하다. 어차피 할 줄 아는 것도 그것밖에 없으니까들.
공화력 14년 브뤼메르 15일
지휘권이 공식적으로 달시 부제독에게서 베른 장군에게로 이양되었다. 아름다웠던 이양식에서는 장교들이 각자 가장 좋은 옷을 차려입고 나와서 원정대가 포트잭슨에서 출발하는 것을 기념했다. 진지에는 함대와 선원들을 남겨두기로 했다. 이 진지는 이제 명실상부 알찬 군사도시가 되었는데, 일각에서는 벌써 캉 나폴레옹Camp Napoléon이라고 부르고 있다. 죄수들도 나름 쓸모를 다해주고 있다. 장점표 역할을 맡기기에도 손색이 없고, 원정군이 내륙으로 깊숙히 들어갔을 때 우리 군과 진지 사이에서 물자를 조달하는 데도 이용하기 충분하다.
하지만 물자 이야기는 이쯤 하고, 여기 뉴사우스웨일스 (이것도 새 이름으로 바꿔야 할 텐데) 는 정말 멋진 땅이다! 자연이 때묻지 않았고 각종 동식물이 몇백 종은 넘으며, 주변은 드넓은 초원 아니면 빽빽한 밀림이다. 벨루아 추기경마저도 이곳을 감히 에덴 동산에 견주고 있다. 시원한 물이 풍부하며 과일나무와 갖가지 동물도 도처에 많으니, 보급선이 몇백 리그까지 길어지더라도 식량을 조달할 걱정이 없어 보인다. 불명의 생물종이 이렇게나 많으니 동료들도 나도 다들 표본을 채집하고 분류하고 하면서 오랜 시간을 보낼 듯하다. 원정길에 마주친 생물 중에서 가장 특이한 것만 골라 기록해도 나중에는 신비한 생물 베스티아리[bestiary] 한 권이 나오지 않을까.
야단법석 소리도 빽빽하다
누벨올랑드 안내서
또는
프랑스군 누벨올랑드 원정 당시
관찰 및 연구 내용 일람
원정대 특이과학위원회 (라마니유 위원장) 저, 망소 감수 및 교정, 드카메크뤼작 한림원장의 축복에 힘입어 나폴레옹 황제 폐하의 명으로 기획.
1장 : 누벨올랑드의 식물상
제국 특이한림원 박물학자 및 생물학자 오귀스탱 랑게 및 조셉앙투안 드몽바르Joseph-Antoine de Montbard 저

요새고무나무 단면도. 안에 보병이 들어갔다.
Ficus castrum
통명: 요새고무나무(ficus forteresse)
요새고무나무는 고무나무순의 일종으로, 생리적으로는 Ficus elastica와 별반 다르지 않으나 나무마다 공기뿌리들이 한데 모여서 속 빈 목질 구체를 이룬다. 이 구체는 지름이 약 3m에 이르며, 가끔씩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틈을 열고는 한다. 지나가는 토인이 우리 군을 피해 도망가던 중 이 나무의 "요새" 속에 몸을 숨긴 사례가 적어도 한 번은 있다.
이 나무의 특징으로는 형태가 특이한 점 이외에도 공격을 받지 않는다는 점이 있다. 자세히 말하면, 이 나무는 자신에게 가하는 모든 에너지를 근처의 임의의 위치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도끼로 이 나무를 찍으면, 도끼는 분명히 나무와 접촉하지만 나무에는 도끼에 찍힌 표시가 남지 않으며 도끼에 찍혀서 입는 충격은 다른 물체나 공기 중 등 임의의 위치에서 대신 나타난다. 다른 종류의 충격을 가하거나 불로 지지더라도 결과는 똑같다. 문제는 이 나무들이 대체로 서로 가까이 자란다는 점이다. 즉 도끼를 단 한 번 찍더라도 그 충격이 다른 나무로 옮겨가고 또 그 충격이 다른 나무로 전달되며 무한정 이어진다. 이런 현상 때문에 벌써 여러 사람을 잃은 관계로 향후에는 이 무시무시한 파문을 각별히 주의하기로 하였다.

문어초. 멀리서 본 모습.
Juncus incirrina
통명: 문어초(plante-pieuvre)
문어초는 누벨올랑드 원정 초기에 우리가 마주쳤던 토종 식물로, 수많은 군인들이 Juncus incirrina를 만나 그 적의를 경험한 바 있다. 문어초는 줄기가 평균 높이 4m이며, 줄기 끝에 크기 2m짜리 노란 꽃을 피우고 줄기를 따라 촉수잎이 주렁주렁 달려 있다. 줄기에는 껍질이 없으나 녹색 외피가 있는데, 탄력성이 높아 어떤 날붙이를 갖다대더라도 이 외피를 뚫을 수가 없다. 노란 꽃은 관형(管形) 꽃대에 월계수 잎을 닮은 크기 1m 꽃잎이 달린 형태인데, 꽃대 속에는 생식기관이 있으며 또 매우 달고 영양분이 풍부한 모종의 천연꿀을 분비하는 기관이 있다. 곤충이나 새 등 수많은 동물들이 이 꽃과 복합적인 방식으로 공생하는데, 그 범위가 어디까지 미치는지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한편 가장 특이적인 점으로, Juncus Incirrina에게는 움직이는 부속지가 달려 있는데 마치 강력한 촉수처럼 기능하며 사람 한 명쯤은 가볍게 들어올릴 수 있어 초식동물을 방어하는 역할을 맡는다. 당연히 문어초의 표본을 채취하는 것부터 쉽지 않았는데, 문어초가 촉수가 미치는 범위 이내에서 이물질을 감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포병들의 증언에 따르면 이런 문제는 12파운드짜리 포탄을 쏟아부어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 중에 하나일 뿐이라고 한다.
문어초는 누벨올랑드 토인의 성소 가장자리에서 흔히 보인다. 토인들은 피해를 최대한 줄이면서 문어초에게 다가가는 방법을 알며, 성소를 지키는 용도로 문어초를 활용하는 듯하다.

신화란요정이 아침에 잎을 연 모습.
Nymphadora cambaceres
통명: 신화란요정(新和蘭妖精, nymphe néo-hollandaise)
신화란요정은 키가 2 ~ 3m에 이르는 대형 화초식물이다. 해가 뜨면 잎을 열어 두껍고 투실한 줄기를 내놓는데, 이 줄기는 인간 여성의 몸매처럼 굽이져 여성의 신체를 흉내낸 모습을 취하며 맨 끝에 꽃잎 불그스름한 커다란 꽃을 달았다. 줄기는 아침에는 초록색을 띠지만 햇빛이 밝아질수록 장밋빛으로 물들며 여성의 신체와 더욱 비슷하게 바뀐다.
문명인이 이렇게 뻔하게 생긴 함정에 빠지기는 어려워 보일 수 있으나, 신화란요정의 꽃은 매우 강력한 향기를 30m가량 범위까지 발산하며, 이 향기는 지금까지 우리 원정대원의 최저변 본능을 후각 자극으로 순식간에 뒤흔들어놓았다. 이 향기를 맡은 자는 곧 인간 모양 줄기를 껴안고자 한다. 이 줄기는 표면상에 모종의 물질을 분비하는데, 표본을 채집해 분석한 결과 세 가지 물질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째 물질은 향기가 특히 강렬한데, 아편 같은 진통제처럼 작용하여 피영향자의 고통이나 피로를 완화한다. 둘째 물질은 강력한 접착력을 띠어 피영향자를 줄기에 붙들어 놓는데, 이때 피영향자는 다시 떼어낼 수 없으며 해가 저물고 신화란요정이 잎을 다시 닫을 때까지 꼼짝없이 붙들려 있는다. 마지막 물질은 강력 소화액으로, 이내 피영향자를 옷과 살을 녹이기 시작하며 먹어치운다. 다음날 아침 신화란요정이 다시 잎을 열면 피영향자는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는다.

뇌이끼 표본.
Muscus retiolus
통명: 뇌이끼(mousse cérébrale)
Muscus retiolus는 장장 몇 주 동안 논의를 거쳐서야 특이체 식물로 분류되었다. 이 이끼는 지하에서도 지상에서도 자라나는데, 침입성과 내구성이 높을 뿐 겉보기에는 딱히 특이적인 점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 이끼의 어떤 "가지"는 길이가 몇 킬로미터는 된다고 추정된다. Muscus retiolus 개체들은 서로 이어져 광대하고 매우 복잡한 연결망을 누벨올랑드 전역에 갖춘 것으로 보이며, 이들이 실제로는 단일 개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뇌이끼는 정신감응 능력을 띠는 신경절을 형성하는데, "가지"들을 거쳐 신경절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누벨올랑드의 수많은 식물들이 뇌이끼를 거쳐서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다. 마치 토인들이 식물의 "영혼"을 거쳐서 의사소통한다고 했던 말과 같다. 이 신경절들은 또한 "대화자"의 특성에 맞추어 적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다수 원정대원이 식물을 밟고 지나갈 때 고통에 찬 신음소리가 머릿속으로 불쾌하게 들려왔다고 밝힌 바 있다.
II장: 누벨올랑드의 동물상
과학한림원 박물학자 발타자르 데클랭Balthazar Derklen 저

포획된 꿈잡이타란툴라 개체.
Selenocosmia oneiriphagia
통명: 꿈잡이타란툴라mygale attrape-rêve
꿈잡이타란툴라는 울루루 주변의 삼림 가장 깊은 곳에 서식하는 거미형 생물이다. 거미를 닮았으나 다리의 개수가 다양하고 비정상적이며, 이따금 홀수일 때도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큰 개체는 몸길이 약 80cm, 다리 개수는 49개에 이른다. 크기 역시 개체마다 다양하며, 대다수 개체는 몸길이 약 20cm 정도이다.
꿈잡이타란툴라는 그 어떤 먹을거리도 먹지 않으며, 적어도 물질적 영양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추정된다. 이 거미는 실을 분비해 두꺼운 거미집을 치는데, 이 실은 아직 정체가 전혀 규명되지 않은 물질과 에테르에서 나왔다고 추정되는 비물질 명주실로 이루어졌다. 이 명주실은 검은색이며 빛을 전혀 반사하지 않고 모두 흡수한다. 색깔이 검은데다 매우 가는 탓에 이 실은 숲속의 응달에서 분간해내기 어렵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숲속을 돌아다니다 보면 거미집에 쉽사리 걸려들 수밖에 없다. 하지만 거미집에 걸리더라도 몸이 붙잡혀 움직이지 못하거나 얼굴이 불쾌한 실에 얽매이지는 않고, 대신 의식하지 못한 채로 거미집을 그냥 통과한다. 혹은 거미집이 신체를 통과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후 거미집을 통과한 자는 부분 기억상실증을 겪는다. 영국인 죄수를 사용해 확인한 결과, 명주실에 머리가 닿는 사람은 거미집을 지나가는 순간에 생각하던 것을 즉시 잊어버린다. 이 과정은 마치 생각이 거미집에 걸리듯이 이루어지며, 실제로도 생각이 걸려버리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현상은 원정대원 여러 명이 목적지나 목표, 자신의 신원 따위를 잊어버리는 등 이상행동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했다.
울루루의 원주민이 드물게 범죄를 저지른다면 모종의 의식으로서 꿈잡이타란툴라가 사는 숲을 떠돌아야 한다. 해당 인물은 자신의 범죄나 자신이 숲을 떠돌게 된 이유를 생각하기 마련이므로, 숲 속에서 생각이 정화되어 나중에 다시 돌아올 때는 새사람으로 취급받아 동료들에게 다시 받아들여진다. 다만 우울한 기분 때문에 자발적으로 숲으로 들어가는 사람도 있다. 어떤 사람은 돌아오지 못하기도 하나, 토인들은 별로 개의치 않는다.

관찰된 강구루 개체.
Macropus rufus
통명: 강구루gangourou
강구루라고 부르는 이 포유류는 설치류와 개와 노루가 기묘하게 뒤섞인 듯이 생겼다. 키 2m 이상인 두발동물이고 구부러진 뒷다리에 긴 발톱 달린 발이 있으며 뜀뛰면서 움직인다. 또한 토인들과 똑같은 원시적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데, 다만 언어 능력은 다소 떨어진다. 이 동물은 자신을 강가루gangarou 또는 강구루라고 일컫는다. 거대한 꼬리는 이따금 크기가 몸길이에 맞먹고는 하는데, 엄청난 괴력을 발휘할 수 있다. 강구루는 이 꼬리를 이용해 서로 싸우거나 나무를 때려서 과일을 땅에 떨어뜨린다. 배에는 피부와 털로 이루어진 큰 주머니가 달려 있다. 보통 새끼를 담아 나르는 데 쓰지만, 자연에 있는 과일·베리·수정조각 등을 그러모아서 울루루로 날라 토인들에게 나눠주기도 한다.
이들은 분명히 SAI-001가 온순한 집사로 창조해서 추종자들에게 봉사하도록 시켰을 것이다.

관찰된 빛내미금조 개체. 벼슬의 빛깔은 화가가 가까이 있었기 때문이다.
Maenura incandescens
통명: 빛내미금조(-琴鳥)oiseau-lyre incandescent
빛내미금조는 Maenura novaehollandiae의 기묘한 친척으로, 정말 우아하기 그지없는 새다. 우선 깃털이 매우 아름다운데, 꽁지의 특이성에 견주면 새 발의 피일 뿐이다. 빛내미금조의 후미에는 커다란 깃털 2개가 우뚝 솟아 이름처럼 수금(手琴) 모양을 이루었고, 그 사이에는 기묘한 기관이 떠 있으며 새가 가는 곳마다 항상 따라간다. 이 기관은 다면체 모양을 띠는데, 이를테면 팔면체, 십면체, 십이면체 등이 있으며 암컷은 조금 더 복잡한 모양을 취한다. 이 기관은 스스로 천천히 회전하며 불명의 에너지를 발산한다. 기관 중심에는 에너지 구체가 들어 있다.
한편 빛내미금조는 머리에 색깔이 다양하게 바뀌는 벼슬깃을 달았다. 벼슬깃의 색깔은 멀리서 보면 하얀색과 파란색이지만, 사람이 접근하면 점차 초록색, 노란색, 빨간색, 검정색 순서로 바뀐다. 이 색깔은 자신이 느끼는 위협의 등급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빛내미금조가 위협을 더 크게 느낄수록 꽁지에 떠 있는 기관은 빠르고 혼란스럽게 회전하는데, 벼슬깃이 검정색을 띠면 기관의 윤곽선이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기관 속 구체 또한 에너지를 갈수록 더 강렬하게 발산한다. 우리 사람들이 너무 가까이 다가가면 이 새는 크게 폭발해 버린다. 아무리 신중하게 관찰하는 사람이라도 이때는 앞을 잠시 보지 못하는데, 이윽고 시야가 다시 적응을 되찾으면 새를 공격한 사람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다. 우리 물리학자들은 베베르Vébert의 실험으로 미루어 이 현상을 일시적 속임수로 판단하는 중이다.
빛내미금조는 이 섬의 다른 동물이나 토인을 겁내지 않으므로, 우리 대원들은 이 새를 유념해서 피해 다니고 있다.

포획된 보초해파리 개체.
Scyphozoa vigilis
통명: 보초해파리méduse sentinelle
보초해파리는 누벨올랑드에서 만나볼 수 있는 가장 독특한 생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초해파리는 몸길이 총 15cm로 몸체가 반투명하고 유연하고 아래위로 길쭉하며, 크게 "머리"와 "다리" 두 부위로 나누어진다. "머리"에는 원형 기관이 2개 달려 있는데 마치 귀에 견줄 수 있듯이 기능하여 기적학적 흐름과 그 변동을 감지할 수 있다. "다리"는 고리 하나를 두고 머리와 이어졌으며 끝에 조그만 관형 기관이 여러 개 모여 종형 화관 모양을 이룬다. 이 기관은 기압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고 추정되는데, 이 덕분에 Scyphozoa vigilis는 다른 물체의 존재와 자신의 위치를 매우 정밀하게 탐지할 수 있다. 보초해파리는 앞을 보지 못하지만 이 기관 덕분에 자유롭게 움직여다닐 수 있다.
보초해파리는 움직여 다니는 모습 역시 매우 특이한데, 바다의 보통 해파리처럼 공중을 떠다녀 움직이며 바람을 타고 움직이고 싶지 않을 때는 다리를 수축함으로써 이동한다.
마지막으로 가장 현저한 특성이 하나 있는데, 이 특성 때문에 Scyphozoa vigilis는 보초해파리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울루루 토인들도 이 특성을 적극 이용한다. 각 개체는 모종의 수단을 이용해 동종 개체들과 멀리서도 소통할 수 있는데, 이 때문에 어떤 개체가 침입자를 탐지하면 삽시간에 그곳으로 100여 마리 보초해파리가 모여든다. 그러고 나서 보초해파리들은 침입자에게 달라붙어 빠르게 움직임을 제압한다. 이 과정에서 보초해파리 몇 마리 또한 죽는데, 이것이 급속 화학 작용을 유발하여 보초해파리 시체가 분해되어 아주 두꺼운 가죽마저 녹이는 강산을 내놓는다. 이때 침입자가 죽는 과정이 차마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 매우 고통스러운 관계로, 몇몇 불운한 사건을 겪으며 우리 사람들은 보초해파리를 매우 경계하는 중이다. 한편 울루루 도시를 탐험한 사람들에 따르면 어떤 곳으로 가더라도 벽 너머까지 보초해파리로 가득 차 있었다고 한다.
III장: 울루루 도시
제국 특이한림원 수학자 및 측량기사 및 교수대장[敎授隊長] 루이마리 드볼리외Louis-Marie de Beaulieu 저, 동일 인물 삽화
필자는 이 글에서 굉장하기 그지없었던 울루루 도시에서 머무르며 관찰했던 모든 것을 최초 증언록으로서 밝혀적을 것이되, 우리가 파리로 돌아가면 필경 《울루루 도시 개요(Précis sur la cité d'Uluru)》라는 수필을 다시 써야 할 것이다.5 필자가 도시계획에 재주는 없으나 동료 기사들의 조언에 힘입어 이 글에서는 도시계획 비슷한 도구를 활용해 이 도시가 얼마나 고도로 발전했는지 방법론적으로 연구할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렇게 생긴 기념비들이 들판 여기저기 세워져 있는데 농부들은 이것을 두려워하는 듯하다. 여기서 발산되는 강력한 기적학 에너지와 상관이 있을까?
울루루 도시와 그 주변 지역이 있는 땅은 드넓고 비옥한 평원인데, 북쪽의 커다란 호수에서 수많은 물줄기가 발원해 이 땅을 가로지른다. 필자는 여기서 3개월을 머물렀는데도 다른 원정대원과 마찬가지로 이 평원의 넓이를 아직 짐작할 수가 없는데, 거리 감각도 왜곡되고 이곳의 규모도 평범한 정신으로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할 만큼 광대한 탓이다. 하지만 확실한 것만 말해보자면, 밭이라든가 가지각색 경작지가 도시를 둘러싸고 동심원을 이루는데 면적이 도시보다도 훨씬 더 넓다. 경작지에서는 여러 토인들이 고되게 일하는데, 유럽에서 돈 있는 사람이 특권층이듯 여기서는 특이체를 지니는 사람이 특권층이다. 토인 농부들은 우리가 차마 비교하지 못할 관개시설을 이용할 뿐, 그 밖에는 프랑스 농부와 별반 차이가 없다.

도시의 최외곽 건물들. 황폐화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상태를 목격한 우리 측 인원들이 더욱 큰 불안감을 호소했다.
우리는 경작지 원을 여러 개 가로질러 가며 도시로 걸어갔다. 원주민들은 우리가 길 밖으로 나오지 않는 한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따금 우리 군인이 원주민의 음식을 훔치려다 공격받은 적은 있었지만. 이윽고 울루루 도시의 출입구까지 도착했는데, 도시는 성벽을 세워놓지 않았다. 도시는 크게 볼 때 반구와 피라미드를 접합한 모양처럼 생겼는데, 도시 정중앙에 있는 가장 높은 건물이 그 모양의 꼭대기를 이루었다. 이 거대한 도시의 발치에 서서 그 모습을 올려다보면 가장 용감한 군인조차 현기증과 불안감, 욕지기를 느끼고 만다. 최외곽의 건물은 덜 특이적으로 생겼으나 안으로 들어갈수록 돌이 얽히고설킨 모습이 혼란스럽고 불합리해지는 탓에 미처 익숙해지지 않는다면 인식하기조차 어렵기 때문이다. 최외곽 건물들은 유럽에서 세우는 건물과 퍽 비슷하게 생겼는데, 다만 한결 소박하고 목재라고는 문도 창문도 없어 마치 기념비 돌 하나만을 깎아서 만든 일체식 도시 같은 모습이다.

도시 첫째 겹 구역의 내부. 황폐화된 곳도 있으며 도시계획의 흔적은 티끌도 없다.
이상하리만치 항상 토인들에게 무관심한 영국 수비대놈들과 약간 실랑이를 벌이고 나서 도시와 적당히 떨어진 곳에 진지를 세웠다. 보이는 풍경이 누가 봐도 불쾌했다. 그래도 동료 기사들과 정예병들의 도움에 힘입어 이윽고 우리는 도시로 진입했다. 들어가서 보니 도시는 얽히고설킨 다리와 기둥과 아치가 수백 개 뭉쳐서 만들어진 커다란 건물 하나 같았다. 거주구역 외곽을 지나 계속 들어가니 건물이 종횡을 가리지 않고 놀라우리만치 복잡해지고 기이해져서 원래 머릿속에 들었던 가로(街路) 감각이 금세 아무 쓸모가 없어졌다. 더러 무지막지한 돌이 여기저기 놓여 있는데, 돌에는 프레스코화가 그려져서 신화 속 은지물지의 영광을 찬양하고, 또 조각이 새겨졌는데 인간이 얼마나 하찮은지 표현하는 듯하며 이따금 기괴하고 대개는 성가시게 생겼다. 도시는 몇째 겹 구역인지를 막론하고 온통 매우 어둡다. 광원이라면 꺼질 줄 모르고 타오르는 커다란 횃불들이 있고, 또 뭐랄까 특이적인, 뭐라 설명 못할 빛을 내는 가로등이 있는데 직접 보면 다른 세계에서 왔나 싶어진다. 아무튼 이상의 이런저런 이유 때문에 도시로 들어오면 10분만에 두통이 도져버린다. 주민들은 자기 하는 일에만 몰두하는 채로 무심하게 돌아다니지만.

도시 중앙에 가까운 구역. 한결 단순하고 비교적 질서정연해진 모습이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무한하리만치 복잡한 울루루의 광경을 계속 보자니 동료들도 나도 뭐랄까 열정에 가까운 매력을 느꼈고, 얼마 안 가 몇 번씩이나 도시를 들락거리고 말았다. 매번 전에 왔을 때보다 중앙에 더 가깝게 들어가야만 한다고 느껴졌다. 슬슬 우리가 도시의 창조자가 발휘하는 천재성에 익숙해질 만하면 더욱 복잡한 건물이 또다시 눈앞에 나타났다. 특히 수도 체계가 인상 깊고 효율 높았는데, 로마 수도교도 견주어놓고 보면 볼품없어 보일 정도였다. 숱한 폭포들이 종횡으로 아치를 지나 흐르는데 그 모습이 복잡하면서도 정연하여 마치 울루루 도시의 혈관계처럼 보인다. 도시는 너무 춥지도 너무 덥지도 않다. 중앙으로 들어갈수록 도시에서 특이적이며 초자연적인 본성이 더욱 두드러지는데, 비현실적 각도며 상상 이상의 형태며 온통 비유클리드적 도형 천지다. 벨리도르Bélidor의 특이수학 이론6과 정확히 일치하는 광경이며, 그렇게 위대한 사람이 현대인에게 망신을 줄 절호의 기회다.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이 도시로 와서 비현실적 경이를 목격한다면 자기가 얼마나 우둔했는지 깨닫고 창피해질 테다.

비유클리드적 돔. 비현실적 도형의 일례.
시간이 지날수록 울루루는 점점 더 유기적 개체로 느껴졌다. 도시는 보이는 꼴은 물질일 뿐이고 딱딱해 보이며 무질서하지만, 기능은 빈틈 한 치 없이 정밀하고 내부 조직은 면밀하기 짝이 없다. 더불어 우리는 갈수록 도시의 심장부로 다가가고 있었다. 돌은 하나로 뭉쳐 가고 아치는 크기가 다리 전체에 이르며 불결한 무질서함과 시간의 손을 탄 황폐함은 자꾸만 생기롭게 바뀌어 간다. 그렇게 놓고 보니 무심하게도 터널을 덧없이 지나다니는 저 토인들은, 마치 박물학자들이 인체 속에 산다고 말하는 극미동물과 같다 싶어졌다. 토인들이 저 무질서한 도시를 바라보면서도 무감한 표정을 짓는 데 뭔가 더 중대한 공통의 이유가 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우리가 이 산 도시의 심장으로 다가갈수록, 파수꾼들이 점점 더 우리를 주목하고 있었다. 마치 극미동물이 외부 물질의 침입을 받을 때 반응하듯이.
중앙에 이르고 싶었다. 이르러야만 했다. 그러나 우리가 더욱 가까이 가면서 토인들은 점점 더 우리를 눈여겨보기 시작했다. 여태까지 보여줬던 태도와 놀랍도록, 위험하리만치 달랐다. 그러나 우리는 가야 한다는 일념으로 움직였고, 그러면서 따가운 시선은 점점 더 쌓여만 갔다. 결국에 이 유령 같은 토인들은 자기 가던 길에서 나와 우리 앞을 막아섰다. 한 명, 두 명, 이윽고 십여 명. 그때 발길을 돌려야 했을 테지만, 아직 우리가 찾아보지도 못한 그 심장이 부르는 소리가 토인들이 보내는 경고보다도 더 컸다. 그러나 모르는 사이 토인들이 우리 몸을 떠밀고 있었다. 잠시 지나가는 일이라고만 생각했지만 이내 더 세게, 토인들이 우글우글 빽빽하게 우리 주변으로 들러붙고, 우리는 밀쳐지고 얻어맞고, 혼란스런 와중에 세 명이 없어져 버렸다. 나중에 초병이 도시 입구 앞에 혼절해서 누워 있던 우리를 데려왔다고 한다. 세 명은 결국 돌아오지 못했다.
그 후 베른 장군이 도시로 다시 들어가지 말라고 명령하면서 우리는 울루루의 심장을 보고자 하는 집착을 단념하고 말았으나, 이 글을 비어 울루루 도시가 평범한 도시에 견주어 무궁무진하게 복잡다단함을, 그리고 이 도시를 창건한 자가 신에게 필적하는 천재임을 다시 한번 증언하는 바이다.
4장 : 누벨올랑드의 토인
제국 특이한림원 인류학자 롤랑 귀베르Roland Guibert 저
지금까지 누벨올랑드 토인을 인류학적으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야만 토인과 울루루의 지극히 문명화된 토인 사이에는 뚜렷하게 선을 그어야만 하겠다. 이 둘은 외관이 비슷한 만큼 인종으로 따진다면 당연히 똑같은 족속이겠으나, 문화적 차이가 워낙 큰 탓에 설마하니 둘을 혼동할 여지를 주고 싶지 않다.

해안족 의술사.
야만 토인은 아프리카의 흑인과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여, 피부색이 어둡고 안면각이 작고 코가 크고 납작하며 눈과 머리칼이 갈색을 띤다. 하지만 또 구별되는 점으로는, 피부가 검은색까지 이르지는 않고 이따금 아메리카 인디언처럼 붉은색을 띠며 또 머리칼이 곱슬거리지 않는다. 키는 우리 유럽인보다 약간 더 크지만 몸집은 원시적 생활 때문인지 더 조그맣다. 대개 옷을 입지 않거나 허리옷 한 장만을 걸친다.
야만 토인의 문화는 원시적 수준에 그치지만 특이체와 밀접하게 얽혀 있다. 이 섬의 무수한 부족들을 통솔하는 정부라든가 대형 기구 같은 것은 없으나, 은자물지를 숭배하고 특이체와 공존하는 것은 어느 부족이나 마찬가지다. 토인의 문화이자 종교 양상으로는 기묘한 춤이나 원시적 음악 같은 것이 있고, 또 토템을 중심으로 삶이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토인들은 토템을 열과 성을 다해 보호하려 하며, 토템을 지키고자 총검으로 뛰어들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개 토템이 놓인 장소부터가 첩첩산중의 아름다운 빈터인데다 식물들이 토템을 충분히 보호해 준다. 토인들로서는 자연에게 유리한 진형이라는 귀중한 선물을 받은 셈이다. 혹은 토템이 주위 환경에 간섭해서 방어하기 더 좋은 조건을 만들어냈을는지 모르지만. 토템은 실로 놀라운 물체이다. 본인이 주위 간섭 능력을 추측해볼 만큼이나 기적학적 에너지를 활발히 방출하기도 하지만 토인들의 삶에서 더 핵심적인 역할을 맡기도 하는데, 이 토템은 뇌이끼를 매개로 토인들이 동식물 같은 "축생들"과 초보적으로나마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토인 중에 다른 이들과 외따로 떨어져 사는 의술사라는 자들이 있는데, 이들은 전 생애를 바쳐서 물질적·정신적·신비적 시련을 거쳐 가며 은자물지에게 다가가려 한다. 의술사는 어떤 수정 결정들을 두고 모종의 힘의 근원으로 여겨 그 한복판에 들어가서 지내는데, 이 결정이 다름아닌 신의 선물이라고 믿는다. 이 땅의 보석에 무시 못할 기적학적 능력이 잠재되었다는 말이 사실이라 하겠다. 또한 의술사는 독버섯으로 만든 음료형 환각제를 먹고 최면 상태에 빠져 일종의 존재차원인 몽환시(Temps du Rêve)로 들어간다고 하는데, 은자물지와 선조들의 영혼이 이곳에 산다고 한다.
이상은 야만 토인 이야기였다. 울루루 토인의 경우, 생김새가 야만 토인과 별반 다르지 않으나 문명화된 정도가 판이하게 다르다. 토가나 튜닉 같은 옷을 입는다는 사실 하나만 봐도 알 수 있다. 울루루에는 사회 체계가 그럴듯하게 잘 갖추어져 있으며, 마치 흔히 알려진 도시국가들과 비슷하다. 그러나 실제 국가로 발전하는 기색은 없다. 사회 체계가 있으나 지도자는 없으며, 경찰 조직이 만들어지지도 제자리를 지키라고 환기하지도 않는데 토인들이 알아서 자리를 고수한다. 농부는 밭에서 무뚝뚝하리만치 근면하게 일하고, 도시인은 자기 하는 일에만 열중한다. 더군다나 그 일의 목적이 무엇인지 짐작할 근거도 없다. 우리가 이 대도시에서 수많은 토인들을 주욱 지켜봤는데도 이들의 관심사를 도통 파악할 수가 없었으며, 이들이 도시에서 맡는 일도 공업이나 상업이 아닌 듯하다는 것 (교역이란 것을 할지?) 말고는 밝혀낸 것이 없다. 작위나 명예, 금전 같은 개념은 토인에게 생소하며, 그런 개념들을 알려주더라도 중요하게 여기지 않으리라 생각해도 무방할 듯하다.
대체 울루루 토인들은 어떤 족속일까? 이 웅대한 도시를 수도원 삼아 승려처럼 살아가며 은자물지를 숭배하는 데만 전념하는 것일까? 인류의 모종의 비밀을 깨우친 나머지 도락도 이기심도 버려두고 자신들만의 공공선에 몰입하는 것일까?
더군다나 의사소통이 안되는 탓에 야만 토인과 울루루 도시 토인이 어째서 서로 다른지 규명해내기도 요원했다. 온 섬 전체에 은자물지가 영향력을 떨치는데 어떻게 이렇게도 둘이 달라졌을까? 왜 무지개뱀은 창조주의 권능으로 토인 부족마다 도시를 만들어주지 않았을까? 어느 것 하나 밝혀진 것이 없다. 아마도 은자물지가 자신의 계획을, 그리고 누벨올랑드 사람 중에서 자신의 시종을 선택했던 방법을 우리에게 설명해주려면, 정신기적술계의 힘을 빌려야 할지도 모른다.

연구 대상: SAI-001 | 환영/생물/현상 |
학명: Oxyuranus Caelestis | 유형: 실증된 우주적 존재 |
제국 특이한림원 주요목표: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연구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포획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길들임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설득해 협력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영국군의 마수에게서 보호

토인의 그림에서 등장한 SAI-001. 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린 질산은 복제화.
목격사항: SAI-001은 누벨올랑드의 토착인이 창조신으로 숭배하는 특이적 생물체로, "은자물지"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SAI-001은 흔히 "무지개뱀"이라 불리는데 이는 뱀의 형상을 취했기 때문으로, 마치 SAI-022와 비슷한 대형 뱀의 모양을 지녔다. 그러나 우리 관찰자에게 따르면 이처럼 비교하는 것도 적잖이 어정쩡한 표현이라고 하는데, 이 생물체는 우리 세계 바깥의 여러 존재차원에 복잡다단하게 걸쳐서 존재하고 있어 자세히 묘사하기 어려우며 더구나 인간의 정신 및 감각으로는 보이는 모습에 적응하기조차 버겁다고 한다.
전반적으로 SAI-001의 자세한 일반적 형태, 이를테면 신체나 눈, 얼굴, 송곳니, 비늘 무늬 등은 수많은 시공간에 겹쳐서 존재하는 탓에 인간이 관찰하면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기분을 유발한다. 시간이 갈수록 관찰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며, 몇 분이 지나면 관찰자는 거북한 느낌을 참지 못한다.
SAI-001은 일부분만 우리 세계에 속하는데다 신체의 일부든 전체든 자기 마음대로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관찰하기는 매우 어렵다. 다만 이 생물체를 멀리서 바라본 사람들에 따르면 크기는 최소 길이 5리그, 너비 1아르팡 길이 12km, 너비 70m에 이른다.
라마니유 박사 비고: 여러분, 구 단위계에서 미터법으로 옮겨가기 어렵다는 점은 저도 이해합니다만 참고 나아가실 수밖에 없습니다. 적어도 과학적 표현에서라도요! 진보하는 프랑스 제국을 만들어 나가고 싶잖습니까. 이제는 현대 시류에 적응을 합시다 좀!
특이사항: SAI-001은 실증된 우주적 존재로, 초권능hyperpotente적이고 초과학hypersciente적이며 본질이 우리 현실세계를 초월한다. SAI-001은 모든 우주적 존재차원에 걸쳐서 존재한다. 이 존재차원들은 크기가 무한하다고 추정되는데, 서로 겹치거나 외따로 고립되거나 하면서 공존하며 모든 차원이 모여 SAI-001의 표현으로 "대전체(Grand Tout)"를 이룬다. SAI-001의 신체는 마치 각자 다른 존재차원에 놓인 고리들의 묶음처럼 받아들일 수 있다. 이 중에서 우리 세계에 있는 고리는 울루루 사원도시의 중심에 항상 머물러 있는데, 처음부터 도시는 이 고리를 중심으로 세워졌다. 유일하게 능동적으로 출현하는 SAI-001의 부위는 머리로, 고리를 이리저리 넘어다니며 다른 존재차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울루루의 명문(銘文)에 따르면 SAI-001의 머리는 이전에 나타났던 바 있는데, 구체적으로 출현 연도는 서기 410년, 1314년, 1666년, 1789년이라고 한다.
SAI-001은 두 존재차원 사이의 경계를 변조시켜, 한 차원에 있던 어떤 요소를 다른 법칙에 지배되어 그 요소가 생겨날 리 없는 다른 차원으로 옮김으로써 특이체를 생성해낸다. 역사적 문헌에 따르면 SAI-001은 고의로 특이체를 별정한 장소 및 시간에 생성하기도 하며, 특정 인물이 이 특이체를 받아 특정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한다. SAI-001의 의도는 현재 불명이다.
대화 일지:
공화력 14년 플뤼비오즈 21일, 원정대는 SAI-001과 최초로 접촉하였다.
원정대 소속 과학자이자 황홀경 상태 및 사이코스타시아psychostasia 전문가인 그리스인 안트로프사리모브(Anthropsárimov) 씨가 자신이 최면 상태로 돌입해 영혼 상태로 SAI-001과 대화를 시도할 것이며 원정대가 가져온 정신기적술계를 이용해 대화 내용을 다른 인원에게 기록 및 감독시키겠다고 제안했다.
정신기적술계(psychothaumatographe)는 한림원 과학자들이 개발한 특이적 장치로, 마비된 환자의 정신을 읽을 수 있다. 원래 원정대는 영국인에게 사용하거나 토인들이 자기 족속의 풍습에 어떤 비밀이 있는지 털어놓지 않을 때 사용할 목적으로 정신기적술계를 가져왔다. 해당 기계를 일부 개량하여 안트로프사리모브의 생각을 구별해 이름으로 지정하도록, 무지개뱀에게서 나온 외부 생각을 번호로 지정하도록 설정했다.
안트로프사리모브는 몸에 정신기적술계를 연결하고, 무지개뱀에게 접촉할 수 있도록 누벨올랑드 의술사가 먹는 향정신성 버섯·뿌리 혼합물을 섭취해 최면 상태로 돌입했다. 이어서 한림원에서 아프리카 부두술사와 누벨올랑드인의 의식들을 기반으로 설계한 특수 소환술을 실행해 SAI-001을 안트로프사리모브의 정신으로 불러들였다. 무지개뱀을 부르는 의식에는 하얀 사람을 제물로 바쳐야 했는데, 이 때문에 토인을 희생시키는 것은 포기하고 대신 죄수 중에 퇴화자-29을 사용했다.
대화 시도는 성공리에 끝났다. 이하는 대화 내용을 정신기적술계로 기록한 글이다.
안트로프사리모브가 누워 있다. 4분 후 최면 상태로 돌입한다. 정신판독장비가 조정된다. 최면에 빠진 정신 상태가 혼란스러운 탓에 정신기적술계의 정신력 눈금이 마구 흔들린다.
11분 후에 접촉이 개시된다.
SAI-001이 여기서 하는 말은 종말론적 상황으로 해석된다. "깨어남"이란 언젠가 미래에 존재와 비존재의 경계가 모두 소멸하는 상황을 지칭한다고 보인다. 조건절이 아니라 단순미래로 표현했음을 감안할 때 이 상황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는 뜻으로 추정된다.
특이한림원이 파악하는 자료 중에서는 SAI-001이 언급한 "와귈"이란 것의 존재를 확증하거나 이것이 세계를 창조하고 인류 문명을 발달시키는 데 참여했다는 내용이 없다. 더 광범위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
안트로프사리모브는 무의식적 광란 상태에 빠져 몸을 마구 요동치다가 게거품을 물고 기도가 혀로 막혀버렸다. 이 과정 도중에 대처할 수 있었던 인원은 없었다.
우주의 색채 모델:

"노란 가리개가 노란 특이체를 가리다": 우주의 색채 모델 해설도.
다른 세계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존재채원도 존재하지 않는다.단지 우리가 자신이 사는 우주의 전부를 느끼지 못하고, 그저 아주 작은 일부분만을 느낄 뿐이다. 시간과 공간과 물질이라는 개념은 우리를 둘러싸는 세상을 우리가 인식할 줄도 모른다는 사실을 증거할 따름이다. '우리가 이해하지 못함'은 '이상함'이 아니라 그저 '우리보다 자유로움'이다. 그리고 다른 무엇도 아닌 "특이체"라는 개념은 단언컨대 최악의 착각이다.
우주는 마치 백색광과 같다. 백색광은 무수한 색깔들이, 제각기 유일하면서도 동시에 이웃 색과 서로 닮은 색깔들이 모여서 이루어진다. 이 색깔은 서로 나란히 놓여서 스펙트럼을 이룬다. 무지개를 생각해도 좋다. 이 스펙트럼 속에서 우리는 특정 색만을, 우리 자신의 색깔만을 인식할 수 있다. 나와 아주 비슷한 색깔을 인식하는 사람은 나와 거의 똑같은 세상에 살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우리 세상이 빨간색을 띤다고 하면, 우리에게는 각자 여러 가지 빨간색만이 보일 뿐이며 색깔 사이에 서로 별다른 차이는 없다. 세계에는 빨갛지 않은 색도 있을 테지만, 우리의 인식 능력은,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은 그 색을 눈앞에 두어도 색맹이나 다름없다.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듣지도 만지지도 향기를 맡지도 못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다른 무수한 이들 역시 우리를 보거나 듣거나 만지거나 향기를 맡지 못한다. 절대다수가 그럴 수밖에 없다. 결국 만인은 우주적 색맹이다.
그러나 예외가 있다. 어떤 사람은 우리 세상의 빨간색을 넘어서 다른 색까지 도달할 수 있다. 혹은 동물이나 식물일 수도 있다. 가장 특이적인, 영원히 사는 것만 같은 식물은 우리 너머에 있는 차원으로 뿌리를 뻗어 영양분을 얻는다. 나아가 어떤 개체는 좋든 싫든 그 여과지들에서 벗어날 수도 있다. 우리가 특이체라고 부르는, 우리가 생을 바쳐서 잡으러 다니는 그 개체들은 우리와 색깔만 다르지 결국 우리와 똑같은 세상에 산다. 우리가 그 색깔을 인식하지 못할 뿐이다.
그 특이체들의 위에 SAI-001이 있다. SAI-001은 절대자이고, 동시에 세상의 모든 색깔을 띠기에 무지개뱀이라 불리며, 색을 깨우치지 못한 자들의 상황을 온전히 이해한다. SAI-001마저도 수많은 색깔들 때문에 행동이 가로막힌다. 무한한 권능을 품었으면서도 특정한 장소와 시간과 우주에 머물 때는 전지전능해지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치 차력사에게 보석 세공을 내맡기는 일과 같다.
그러나 같은 요령으로 SAI-001은 여과지를 조금이나마 들어올릴 수 있으며, 자기 뜻대로 특이체를 나타나거나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대전체 속에 동시에 공존하는 무한한 대상들 중에서 존재시킬 것을 고르고, 그 대상을 물질로 받아들일 자를 누구로 삼을지 고르면 그뿐이다. 과거 내내 그랬으며 미래에도 그럴 테다. SAI-001이 우리 세상을 설계했다고는 감히 필자가 확언하지 못하나, 그럼에도 하나 장담한다면 SAI-001이 색을 칠함으로써 이 세상은 단색에서 다색으로 변모했다는 것이다.
CXIIIB 요원, 암호명 "생제르맹 백작"
92호 정탐 보고서
방토즈 13일
왕립진기명기연구재단(Royal Foundation for the Study of Curiosities and Phantasmagoria)은 지금 매우 격앙되었습니다. 몇 개월 동안 누벨올랑드와 무지개 계획Rainbow Plan의 일은 오리무중에 빠져 있었습니다만, 오늘 관리자경 플린터슨(Flinterson)이 버킹엄으로 불려갔습니다. 돌아왔을 때는 경쟁심 때문에 몹시 흥분해 있었습니다. 돌아오자마자 왕립재단 오만 곳에 "그 땅을 찾아와, 찾아오라고!"라는 말이 울려퍼지더군요. 조지 3세는 아예 백지위임장까지 써 주면서 왕립재단이 그간 보유하던 특이기술을 총동원해 프랑스군을 꺾고 SAI-001의 통제권을 되찾으라고 명령했다고 합니다.
넬슨 장군은 트라팔가에서 죽었다고 가장하기로 한 모양입니다. 그리고 어느 때보다도 복귀할 의지를 불태우고 있습니다. 믿으셔도 좋습니다. 저야 죽지 못하는 사람이니까, 죽은 척하는 방법은 다 꿰고 있거든요. 넬슨은 비행전함 6척을 모아 "공군"이라는 함대를 조직했습니다. 기함은 HMS 헨리 퍼시Henry Percy 함으로, 제독기로 그 유명한 "잉글랜드는 모두가 각자의 의무를 다할 것을 기대한다"라는 말을 내걸었습니다. 각 군함은 그냥 무장이든 변칙적 무장이든 모두 완비했습니다. 탑재한 함포는 평범하게 생겼습니다만, 함포로 쏠 포탄 50여 개는 아무리 단단한 물질이라도 버터 자르듯이 꿰뚫을 수 있으며 한번 날아가면 땅바닥으로 몇십 미터는 파고들어서야 겨우 멈춥니다. 일전에 우려했습니다만 레저렉션Resurection 포는 탑재하지 않았으니 괘념치 않아도 좋겠습니다. 그 대신 헬리오스Helios 포가 관리자경의 직접 요청으로 헨리 퍼시 함의 돛대에 설치되었는데, 이게 어떤 물건인지 정보를 제대로 입수히자는 못했습니다.
제가 편지를 쓰는 지금 넬슨의 공군은 벌써 선수를 곧장 울루루로 돌려 출발했을 것입니다. 베른 장군님께 알려주십시오. 비행전함은 40일이면 세계일주를 절반은 이뤄낼 수 있습니다. 프랑스군이 영국군의 침공에 대비할 때까지 한 달 빠듯한 시간밖에 남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안타깝습니다만 어떤 감독관경이 슬슬 저를 의심하는 듯합니다. 지난주에 실험 중에 제 옆에 있던 벽이 우수수 허물어졌는데 제가 그냥 멀쩡하게 빠져나오고 말았습니다. 의심을 안 살 수가 없겠군요. 여기 있으면서 영국 소식은 계속 알려드리겠습니다만, 오컬트 전쟁이 수습되는 대로 다시 불러주시기를 요청드립니다.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죽은 척하겠습니다. 늘 만나는 그 자리에서 뵙겠고요.
생제르맹 백작 올림
- 초월사형 -
여기서는 나폴레옹 1세 황제 폐하와 제국 특이한림원이 고통스럽게 결정을 내려, 무지개뱀의 가늠조차 어려운 힘이 조지 3세의 사악한 손아귀에 떨어진다면 문명세계의 자유와 행복이 위협받을 것을 우려해 뱀을 처단하기로 결심한 일을 밝혀적는다.
제국 특이한림원
자문평의회 긴급회의록
공화력 14년 방토즈 15일
——누벨올랑드 원정이 계속되고 있다. 한림원 과학자들이 현장으로 동행해 연구한 바에 따르면, 특이체 SAI-001 "은자물지"는 초월적이고 영리한 생명체이며 전능한 능력을 자중하면서나마 활용하여 기적학적 흐름을 분배하고 다른 특이체를 출현시키거나 없앨 수 있다.
처음에 제국 특이한림원에서는 SAI-001을 길들이는 방안을, 혹은 지능을 확인하고 나서는 매수하는 방안을 구상해 불가침의 동맹을 구축함으로써 프랑스 시민에게 제4차 오컬트 전쟁의 승리와 초상세계를 좌우하는 힘을 얻고자 도모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영국의 적도들 또한 SAI-001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조지 3세의 왕립재단은 은자물지를 사로잡으려는 욕심에 미쳐 불신의 알비온Perfide Albion 군대를 부려 누벨올랑드로 보내 우리 군대와 맞붙이려 한다. 갈등의 불씨가 꺼질 줄을 모른다.
누벨올랑드 원정대장이자 황제 폐하의 남쪽 땅 대리인인 가브리엘 베른 장군은 진군해 다가오는 영국 함대를 우려하였으며, 영국에게 저 특이체에게 다가갈 기회조차 주지 않도록 제국 특이한림원이 SAI-001을 쓰러뜨리기를 희망하고 있다.
해당 의견을 실제로 실행한다면 무지막지한 파급효과를 낳을 것이며, 긍정적으로 수용된다면 1705년 12월 29일 난장판 봉기(Jacquerie de la Pétaudière)로 창조주 대파면(Grande Révocation Démiurgique)이 발생한 이래 프랑스 시민에게 최대 영향을 끼치는 오컬트 활동으로 역사에 남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국 특이한림원은 주요 파트너 및 자문역에게 투표를 요청했다.
자문역 투표 결과:
대 산헤드린의 카발라La Kabbale du Grand Sanhédrin: 반대
"당신들의 질문을 유물l'Artefact께 전했다. 내려주신 대답은 '안된다'이다. 그러므로 카발라는 반대하는 입장에 선다."
인본주의신사회: 찬성
"이 생명체는 갖가지 현실 층위를 오가는 길을 통제하니, 마치 세관이 변덕을 부려 인간이 가능성의 최대치에 이르지 못하게 막는 것과 같다. 미래는 저 존재평면 너머에서 우리를 기다린다. 우리가 저 특이체를 박제해야만 '더 나은 인간'으로 가는 다리를 놓을 수 있다면, 그렇게 실행에 옮길 수밖에!"
프랑스 연금술사 연합L'Union des Alchimistes de France: 찬성
"프랑스 연금술사 연합은 뱀의 몸을 띠고 현실을 초월하는 이 생명체가 정상 자연에 없는 이형(異型) 물질로 이루어졌다고 믿기 충분하다고 여긴다. 특히 우리는 여태까지 존재가 증명되지 않았던 오팔라이트Opalite, 일부 송장 도롱뇽의 피에서만 극미량 발견되는 액체황 등을 예상하고 있다. 이 생명체의 물질 현현 능력을 감안해볼 때, 우리가 이 뱀을 죽여 정복할 수만 있다면 그 시체가 수많은 물질과 지식을 담은 광산이 되어 우리가 마침내 대작업을 실현하고 또 무수한 학문을 크게 도약시킬 것이다."
사후세계 탐험가 협회La Société des Explorateurs Post-Mortem: 반대
"여기 모인 평의원 여러분께 주지시켜 드리겠다만 우리 모두는 여러분이 '뱀'이라고 일컫는 이 생명체의 능력이 어디까지 미치는지 완전하게 알지는 못한다. 우리는 이 뱀이 전능하며 또 지금까지 우리 쪽에서 만나보았던 숱한 영(靈)들이 하데스의 왕국을 오가는 일 같은 것을 조장함을 기꺼이 인정한다. 그러나 이 뱀이 뱃사공이라기에는 오히려 장벽에 더 가깝지 않은가? 이 장벽을 함부로 치운다면 지옥이 우리 땅으로 쏟아져나올 뿐이다."
새로 선택받은 이를 위한 왕당파 마법사 연맹La Ligue des Magiciens Royalistes du Nouvel Élu Légitime: 반대
"영국이 그 짐승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별 문제도 아니다. 참된 왕께서 언젠가는 현현하시어 프랑스 왕국에 빛을 다시 비추고 내외의 모든 압제를 일소하시리라. 우리는 보나파르트의 미친 전쟁과 신성한 모든 것을 파괴하려는 완고한 고집에 부역하기를 거부하는 바이다! 그래! 그래 나 진심이다! 뭐 왜? 저주 받아서 15세대까지 물려주고 싶어? 덤벼 봐! 덤비라고! 아. 아. 잠시만 아."
이[異]인도 회사Le Comptoir des Indes Exotiques: 반대
"여러분, 잠시만 여러분. 물론 영국의 행태는 우려스러우나, 공포 때문에 저 동물을 길들이고 이용할 수 있다면 얼마나 막대한 이익을 손에 넣을 수 있는지 잊어버려서는 안된다. 잊을 수도 없고! 저 동물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 이상이다. 경이롭고 이색적인 잡동사니를 뽑아내면 우리 제국은 전세계 암흑시장을 손에 쥐고 흔들 수 있다. 본인가 마틴, 콜린스 & 드레이크Martin, Collins & Drake나 랄랑디에Lallandier 사 같은 각종 회사에서 잘 아는 소식통들도 이 생물체를 살려서 복종시키면 얼마나 많은 재산이 쏟아지는지 다들 확언해 주었다."
종교심과 기묘에 반대하는 반교권주의자협회La Société Anticléricale Contre la Religiosité et l’Etrange: SACRE: 찬성
"처음부터 끝까지 합리적인 부분이 없군! 실존하는 현실은 하나뿐이며 그 현실은 내가 밟는 땅이요 내가 숨쉬는 공기! 지금 날조하는 소리가 진짜건 헛소리건, 물론 헛소리겠지만, 그 뱀은 파괴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절대적으로 기억을 지울 수밖에 없다. 우리 주위의 진실이 절대적이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그 망상이 이미 우리가 도려내야 마땅한 암덩어리니까!"
금기고대학회La Société Savante des Antiquités Interdites: 찬성
"우리는 벌써 이집트를 넬슨에게 내줬다. 넬슨한테! 우리가 그곳에서 어떤 금기의 유물을 얼마나 가져왔는지, 하물며 그곳에 어떤 경이가 아직도 남았을지 이루 말할 수 없다. 똑같은 짓을 반복할 이유는 없다."
미트라 존엄형제단 (재건)Les Respectables Frères de Mithra (Réformés): 찬성
"우리의 검이 저 뱀의 옆구리를 가르고 우리는 피의 폭포에 온몸을 적시리라. 우리 형제들은 산속에서 솟구쳐 나와 우리 적의 목숨을 모두 끊으리라. 그 뒤에 우리는 태양을 정복하리라. 깊은 곳에 처박힌 너, 하늘은 쳐다보지도 말아라!"
교황대리 장바티스트 벨루아 추기경: 찬성
"교황성하께서 저 뱀을 일소해야 함을 언명하셨다. 그 어떤 생명체도 하느님 아버지의 권능에 감히 맞먹으려 들 수 없으며, 황제 폐하께서 우리를 보호해주시는 한 프랑스 제국과 폐하께 불상사가 닥칠 일도 없다. 가담항설로 저 뱀이 옛날에 하와를 타락시킨 그 뱀이라는 소문이 들려온다. 그 말이 사실일 리야 없겠지만, 사실이 아니더라도 그 뱀을 멸하기로 선택한 우리를 더욱 확고히 다짐시켜 줄 뿐이다."
제보당 특수사냥단La Compagnie Chasseresse Spécialisée du Gévaudan: 찬성
"분명히 말씀드린다. 나도 다른 사냥꾼도 그렇고 우리는 초상적 생명체 중에서 사람을 멀쩡히 살려 두거나 재앙을 간접적으로라도 일으킬 낌새가 없거나 하는 녀석을 단 한 놈도 못 봤다. 길들지 않은 동물은 위험하다, 이것이 이 바닥의 순리인 법. 누구보다 익숙한 우리가 나서야 한다. 군대는 손 까딱할 필요조차 없다. 우리 사냥꾼들을 보내고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값만 쳐 달라. 우리는 온 세상이 질투하리만치 꼭꼭 숨겨둔 솜씨로 저 뱀을 유인하고, 단검 한 자루 들고 몸뚱이를 타고 올라 눈을 터뜨리고 머리로 들어가 속을 죽죽 파내면 된다. 쉽지."
부서진 교회의 열한번째 로지La Onzième Loge de l'Eglise Brisée: 의견 없음
로지 대표자는 자신이 '살덩어리'의 미래에는 무관심하며 따라서 현재의 정세에도 걱정하는 바가 없다고 밝혔다.
희귀동식물학회La Société Savante des Faunes et Flores Introuvables: 반대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희귀생물 중에서도 가장 독특하다. 아종도 종도 속(屬)도 아닌, 그야말로 '총체'에 걸맞은 존재, 그저 존재하는 것만으로 자신의 분류를 충족한다. 이 세상 자체와 나이가 같을지도 모른다. 이 생물을 우리는 연구해야만 한다. 해부구조와 화학구조와 행동을 알아내 우리의 기존 지식과 견주어 보고 귀중한 정보를 끌어내 생명과학과 오컬트학의 지평을 넓혀야 한다. 한 번 이해한 존재는 다스릴 수 있는 법이다. 또한 연금술사 연합이 말했듯이 이 생명체에게서 나오는 물질이 얼마나 유익한 결과를 품을지는 미처 짐작할 수도 없다. 이런 불가사의를 헛되이 날려서는 안된다."
브레스트의 생 제롬 특수정신병원L'Asile pour Aliénés Particuliers Saint-Jérôme de Brest: 의견 없음
아르티자무르 원장은 "군에서 이 녀석 때문에 식인부대를 만들어제낄 만큼이나 이 녀석이 인간의 이해능력에서 벗어난 것도 아니면" 별 관심 없다고 밝혔다.드루이드 지혜의 458대 계승자 앙리 샤프로Henri Chaprot, 458ème réceptacle de la Sagesse Druidique: 반대
앙리 샤프로, 일명 샤를빌의 족제비Belette de Charleville는 은비학적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회의 서기는 해당 발언 및 주장을 적을 방법을 찾지 못했다.
투표 결과, 찬성 7, 반대 6으로 SAI-001이 적도의 손아귀에 떨어지기 전에 먼저 이 생명체의 위협을 일소하기로 결정하였다. 격리 자문가Confineur Réferent와 논의한 바 이 결정을 실행하려면 단순파괴하는 것이 최선의 방책으로 보인다. 구체적 방안은 제국 특이한림원 기사들의 재량에 맡긴다. 필요한 방법은 무엇이든 동원해도 무방하다.
엘리자베트 데크랑통.
제국 특이한림원이 마침내 특이체 SAI-001의 존재를 일소시킬 방법을 구축해냈음을 기쁘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이 방법을 고안해낸 사람은 아주 명석한 마리엘리자베트 데크랑통Marie-Elizabeth Des Crantons 양입니다. 데크랑통 양은 우리 기사들 중에서 여공으로 6년 동안 재직하였으며 또한 초자연본질이론 박사 섬 보셰토Seme Boschetto 교수 밑에서 수학하고 있습니다.
데크랑통 양이 이전부터 주장하던 바의 요지는, "기준현실", 즉 우리 세상이 속하는 현실에는 고유의 색깔·색조·맛 같은 것이 있으며, 이론적으로 그 색을 특이체에게 칠해주면 나중에는 특이적 성질을 잃어버린다는 것입니다.
저희는 2년 전에 몇 가지 실험에 착수해 "정상성의 잉크"를 제작해냈습니다. 정확하게 말씀드리면 이 잉크는 에테르에서 추출한 유체 생성자인데, 이 속에 우리 세계의 특성, 즉 "색깔"이 담겨 있으며 정상외의 표적에 쏘아 사용합니다. 마치 오징어가 먹물을 쏘는 원리와 같습니다. 최초 실험 단계에서 데크랑통 양의 이론의 실효성을 입증해냈습니다만, 에테르 유체를 생산해내는 방법과 유체의 방향을 통제하는 방법 때문에 어려움에 부닥쳐 연구가 교착 상태에 빠졌습니다.

데크랑통 폭탄. 초상기술의 집약체.
그러나 금번에 무지개뱀이 발견되며, 그리고 뒤이어 우주의 색채 모델이 대격변을 겪으며 이 방법이 얼마나 유익하고 또 유용한지 급속도로 조명받을 수 있었습니다.
서둘러 데크랑통 잉크 연구를 재개한 결과 밝혀진 바에 따르면, SAI-0947와 SAI-1148를 알맞게 조합하면 잉크의 생산 고리를 유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 고리를 거쳐 데크랑통 잉크를 기하급수적으로 축적시켜 놓으면, 적당한 특이적 수단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잉크를 원래 유래했던 에테르 속으로 순식간에 주입시켜 그 반발을 이용해 알려진 우주 전체를 칠할 수 있겠습니다만… 일단 학자들의 이야기로는 이 데크랑통 폭탄은 4분의 1초도 걸리지 않아 우리 세계의 색깔을 우주 스펙트럼 중에서 가장 눈부시게 바꾸어줄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결과로 우리 세계는 우주에게서 찰나의 시간 동안 도려내어지고 맙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우리 존재평면에 겹쳐진 다른 평면의 존재를 말끔히 도려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황제 폐하, 이것이 바로 저희의 초월사형(Guillotine Transcendantale) 계획입니다.
이제 저 신에게 프랑스의 분노를 맛보여줄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SAI-001에게 죽음을 안길 수 있는 무기를 얻었습니다. 누벨올랑드 원정군이 가져간 특수 대포만 있으면, 적어도 저 뱀을 늦추거나 주의를 돌리라고 저도 우리도 모두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마침내 저 뱀굴 속으로, 여섯째 대륙의 중심에 자리잡은 울루루 도시로 발을 내딛을 수 있습니다. 남은 것은 저 뱀이 굴 속에서 머리를 내밀도록 꾀어내 줄 미끼뿐입니다.
그러나 유감입니다만, 여기서 희생이 필요합니다.
물론 미끼를 온 세상 어떤 곳에 놓더라도 저 생명체는 울루루에서 불쑥 튀어나올 테며, 그때 폭탄을 터뜨리기만 하면 우리 군사가 능히 저놈의 탐욕을 격리해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저 뱀의 의도나 가치관이나 정신기체를 모르는 이상, 정말로 뱀을 충분히 유혹해내려면 미끼를 둘 곳은 뱀의 코앞 말고는 없습니다.
그리고 이런저런 이유로 저 뱀이 원하는 것은 항상, 인간에게 새로 특이체를 내려주는 것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특이체를 대량으로 희생시키는 것, 저 뱀의 노력의 산물을 파괴하는 것만이 뱀을 꾀어낼 유일한 길이라고 여겨집니다. 정확히 어떻게 그것을 실현할지 아직 저희도 모릅니다만, 뱀의 눈앞에서 소멸시킬 특이체들을 무력으로든 술수로든 한데 충분히 모아놓으려면 황제 폐하께서 베푸시는 힘이 필요합니다. 제국 특이한림원에서 보유하는 특이체 중에 그다지 중요치 않은 스무남은 개를 내놓을 수 있습니다만, 나머지는 지적·군사적 가치가 매우 높아 함부로 파괴하지 못함을 폐하께서도 이해해 주시리라 믿습니다. 뱀이 우리에게 눈을 돌릴 만큼 특이체들에게 충분히 큰 손상을 입히려면 수많은 특이체를 쌓아두어야만 합니다.
올바른 결정을 내려 주시리라 믿어 마지않습니다. 프랑스를 위해서, 이 세계를 위해서.

[좌우로] 마법사, 무당, 요정, 발명가, 점성가, 주술사, 점술가, 사반신(四半神), 심령술사, 사후세계 여행가, 변신술사, 각질점술가, 기타 이성에 반하는 존재 소지자
제1회 기묘대박람회
우리를 보호하시는 나폴레옹 1세 폐하 후원,
장자크 드캉바세레스 대서기장 주관
플라상 시 마르스 광장, 제르미날 22 ~ 23일
오컬트 전문가 모두 환영
초심자도 마찬가지!
기묘대박람회 포스터. (클릭해서 번역 보기)
공화력 14년 제르미날 22일 무지개뱀 전투 보고서
제국 특이한림원 문인 장조르주 망소Jean-Georges Manceaux 작성

——오전 11시, 베른 장군의 참모장은 당혹감에 크게 빠졌다. 척후대에서 아직도 비행전함을 발견하지 못했으니 저 두려운 함대가 울루루 진지까지 하루 걸려 도착할지 한 시간만에 도착할지 전혀 모르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프랑스군은 커다란 초승달 모양으로, 달 안쪽이 뱀을 마주보도록 진형을 잡았다. 초승달 왼쪽 끝은 남서쪽으로 울루루 도시에 닿으며 보병대와 기병 중대를 집중 배치했다. 초승달 중앙은 도시 외곽도로 한가운데를 끊고 지나가며, 2개 포병중대를 이 도로 양편에 마주보고 배치했다. 마지막으로 북동쪽의 초승달 오른쪽 끝에는 저 특이체에게 가장 많이 노출될 자리이므로 척탄병과 가장 맹렬한 병사로 전열을 배치하고 좌익에 또 다른 기병 중대를 추가했다. 이렇게 무력시위해 봤자 은자물지에게 별다른 효과를 끼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한림원 기사들이 특이무기를 준비시킬 때까지 시간을 벌어주는 것만은 확실했다.
——프랑스군이 진형을 잡고 굳게 지키던 중, 11시 40분에 영국 비행전함이 북서쪽에서 등장했다. 더불어 영국 전열보병대가 공군 전함을 따라 육지에서 빠르게 행군해서 다가왔는데, 방금 막 하선해 진격한 듯하였다. 영국군의 전력은 1,000명도 채 되지 않는다고 추정되었으나, 비행전함 여섯 척이 전열을 갖춘 채로 대포 222문을 포열해 배치해 우리 전열에 겨누고 있었다. 우리 대포는 고작 16문이었다. 물론, 평범한 대포는 아니었다.

"영국군이 공격합니다! 예 장군님, 다만 이번엔 하늘에서 옵니다!"
넬슨의 비행전함에 승선했던 드블랑지De Blanzy 기사의 의견:
당연한 소리겠지만 넬슨이 준비한 비행함대는 프랑스 원정대를 위태롭게 하는 최대 위험요소이므로, 내가 비행전함에 탑승해 관찰하고 생각해본 바를 이 글에 적고자 한다. 이 배는 본바탕은 평범한 74문 전열함이되 특이적 수단을 이용해 공중에 뜰 수 있도록 개조되었으며, 이 수단은 땅에서 관찰할 수 없는지라 우리로서는 이것만 파괴하기는 지극히 어렵다. 우리 12파운드 포는 땅에서 발사해서는 선체에 구멍 하나 낼 수 없으므로, 포병대에서는 깃대를 노리고 삭구를 부수며 돛을 찢어야 할 것이다. 일단 움직임만 묶어놓는다면 포병대에게 한층 쉬운 표적이 될 테므로 약점을 노리기 더 용이해질 것이다.
포병 1중대에는 그리보발Gribeauval 장군의 와류포가 있으니 함선의 갑판에 수직하게 배출 와류를 생성할 수 있다. 선체보다 비교적 약한 갑판을 포격해 함선을 더욱 제대로 헤집어 놓는다면 승무원들을 진살할 수 있으며, 운이 좋다면 하갑판의 포열까지도 공략할 수 있다.
2중대에는 드비유Deville 대령의 포탄이 여러 개 구비되어 있어 집중포화로 함선의 삭구를 부수고 깃대까지 닿을 수 있으니, 이 능력을 활용해 1중대가 긁어놓은 함선을 집중 공략하면 된다.
곡사포로도 함대의 선체를 공격해볼 수 있겠으나, 개수도 적고 사정거리도 짧은 탓에 영국 함대가 우리 전열에서 먼 곳에 계속 머무른다면 아무짝에도 쓸모없을지도 모르니 곡사포는 적군 보병대도 같이 견제할 법한 곳에 배치해야 마땅하다.
——비행전함이 순풍을 제대로 타고 위험하리만치 빨리 다가왔는지라 프랑스군은 급히 전열을 재배치해 훨씬 더 길고 북서쪽으로 더욱 구부러진 초승달 진형을 구축했다. 와류포가 우월한 사정거리를 앞세워 먼저 발포하여 영국 보병대를 처음으로 타격했다. 한편 우리 전열은 경보병처럼 성기게 재구성해 적군 전함들이 일제사격을 퍼부을 때 입을 피해를 최소화했다.
——이윽고 11시 50분, 우리 좌익의 2개 중대가 다가오는 영국 보병대의 우익을 공격하고자 진격에 나섰다.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사격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잠시 후 12시, 우리 군은 영국 비행전함이 어느 쪽으로 나아가려는지 확실하게 파악했다. 공군 함대는 우리 전열을 가로로 따라가면서 차근차근 폭격하려는 게 아니라, 전열을 세로로 꿰뚫어 반으로 갈라서 좌우 포열을 이용해 양측을 동시에 포격하려 하고 있었다. 넬슨은 자신이 즐겨 쓰던 전략을 이번에도 정석대로 들고 나오려 했다. 영국 보병대가 비행전함 뒤꽁무니를 종대로 주욱 따라왔던 것도 여기에 이유가 있었다. 베른 장군은 겁에 질린 듯이 넬슨이 생각한 것보다도 빠르게 길을 열었다. 초승달 전열이 반으로 갈라지자 공군 함대가 그 틈으로 곧장 밀려들어와 프랑스군의 양옆을 때리려 했다. 하지만 베른 장군의 진짜 의도는 도망치는 것도 포격에 옆구리를 내주는 것도 아니었다. 바로 전함 아래를 따라오던 영국군 종대를 공격해 함대가 포격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차지하는 것이었다.
——위험천만한 작전이었다. 우리 군이 영국군을 재빠르게 제압한다는 가정이 깔린데다 여차해서 늦어졌다간 우리 군이 전함에 깔릴 수도 있었고, 이미 전열을 산개해놓은 탓에 우리로서는 적들보다 불리한 입장에서 작전을 시작할 수밖에 없었다.
——이윽고 12시 30분경 비행전함이 코앞까지 다가오자 지휘관들은 패주를 가장하고 계획대로 영국군 전열 양측에서 물러나기 시작했다. 포병들은 포차를 마구 굴려 움직이면서 줄행랑을 치는 척했지만 그 와중에도 몰래 전함에다 조준점을 다 맞춰두었다. 기병대는 전함이 폭격하지 못할 만큼 거리를 충분히 벌려놓은 채로 영국군을 급습할 시점을 기다렸다.
——얼마 지나지 않아, 우리 군이 영국군 보병대에서 꽤나 떨어진 채로 아직 전함 양옆으로 평행하게 전열을 배치하던 도중 영국군이 첫째 공격을 개시했다. 대포 222문은 누구나 예상하던 바로 그 위력을 냈다. 그러나 우리 보병대는 패퇴하지 않고 산개한 채로 전함 양옆으로 전개하기를 이어갔다.
—— 한림원 학자들은 15분마다 퇴화자를 하나씩 사용해 가며 파리에서 지시가 내려지기를 절박하게 기다렸다. 12시 45분쯤 되어서야 오랫동안 기다렸던 전갈이 내려왔다. 데크랑통 폭탄을 곧 격발시킬 예정임, 플라상 시에 설치한 폭탄을 언제라도 폭발시킬 수 있음. 남은 건 우리 군의 준비뿐이었다. 물론 준비는 끝났다.
——잠시 후 12시 50분, 포격이 잇달아 이어지는 중에 우리 군은 슬슬 공세로 전환하려 했다. 그런데 바로 그때 무지개뱀이, 자신의 현실 깊은 곳에서 튀어나왔다. 기묘대박람회 자리에서 특이체를 파괴하는 작전이 소기의 목적을 이루고, 저 은자물지를 상당히 언짢게 한 모양이었다. 무지개뱀은 지금 벌어지는 전투에 어렴풋이 관심을 기울이려는 듯했지만 직접 간섭하지는 않았다. 즉시 우리는 파리에 데크랑통 폭탄을 기폭시키라고 연락했다.

무지개뱀 전투. 시메옹 라발레 (미쳐버림) 판화.
——그리고 바로 그때 지금까지 퇴각을 가장하던 포병대가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게 견인차에서 대포를 분리하여 영국군 전열의 머리를, 적군이 형성한 전열 주축을 한복판을 똑바로 겨냥했다. 첫째 포탄이 날아가는 길 거의 그대로 영국군 전열을 유린했다. 이어서 우리 기병대가 전열 사이사이로 침투할 차례였다. 미리 벌려둔 우리 전열 틈새 두 곳에서 모로Maureaux와 베르나르Bernard의 중대가 각각 치고 나왔다. 리냐드 역시 기병대가 충돌을 입히기만 마냥 기다리지 않고 총검을 앞으로 겨누고 돌격했다. 아무래도 비행전함의 포화를 몇 분 더 받아내느니 돌격을 감행하는 쪽이 낫다고 생각했나 보다. 그때서야 우리는 이런 위험천만한 전략이 주효했음을 깨닫고 감탄했다. 어느새 영국군 전열은 자기 병력이 있는 거의 모든 방향에서 공격을 두들겨맞는 것이었다.
——그런데 영국군의 선두 전열이 충돌로 뒤집어지고 전함 밑에서 난전이 벌어지던 와중, 드디어 은자물지가 우리 기술자들의 계획을 눈치챈 기색을 보였다. 기술자들은 경계를 갖추고 미리 몸을 숨겨 놓았으므로 은자물지는 대신 군인들에게 들이닥쳤다. 울루루 주위로 특이체가 수백 개체 등장했다. 그때부터 전투는 모든 맥락을 잃어버려서 도저히 어떻게 묘사해야 할지 모른다. 영국 함선끼리 서로 부딪혀 부서지고, 인간들은 총검을 괴물에게 돌리고, 어떤 곳에서는 아군도 적군도 두 배로 불어났다고, 난전 중에 왠지 사람 수가 늘어났다고 알렸다. 가장 섬뜩한 것부터 가장 황당한 것까지 세상 만물이 전장을 마구 휩쓸며 현실이 격렬하게 요동쳤다.
——그러다가, 모든 것이 멈추었다.
——전장이, 울루루 도시가, 누벨올랑드 땅이, 그리고 필경 우리 차원 전체가 모두 현실화되었다. 매우 현실화된 채로 있었다. 은자물지는 죽었다. 그 머리가, 특이적인 점이라곤 어처구니 없으리만치 크고 끔찍하게 생긴 것밖에 남지 않은 머리가 천천히 하늘에서 떨어졌다. 비늘로 뒤덮은 몸체의 흔적은 어디에도 없었다. 비현실적이리만치 천천히, 뱀의 머리는 느릿느릿 돌아가며 울루루 도시 위로 떨어졌다. 물컹하면서도 귀가 먹먹한 충돌 소리가 가득했다.
그리고 고요.
——은자물지는 이제 그저 시체가, 울루루는 기억 속 장소가 되었다. 토인들은 모두 달아났으며 과거의 위대한 모습은 흔적조차 남지 않았다.
——오늘, 제르미날 25일에도 사상자를 여전히 집계하는 중이다. 비행전함은 모두 파괴되었으며 넬슨 제독은 전투 중 전사했다. 살아남은 영국군 병사들은 공식적으로는 전쟁포로가 되었으나 실제로는 휴전협정을 맺은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집트 원정 때 영국이 프랑스군을 추방했듯이 조만간 이들도 영국으로 추방될 예정이다. 포트잭슨까지 가는 길은 멀겠지.
- 맺음 -
여기서는 무지개뱀 전투 이후의 문서들을 거두어적어 어떤 이익과 어떤 결과가 발생했는지 후세에 알린다.

연구 대상: SAI-001 | 환영/생물/현상 |
학명: Oxyuranus Caelestis | 유형: 사망/멸종한 종 |
제국 특이한림원 주요목표: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연구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포획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길들임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설득해 협력
-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대상을 영국군의 마수에게서 보호
프랑스인의 황제 나폴레옹 1세 폐하의 명을 받들어:
- 누벨올랑드 원정의 흔적을 일체 말소한다.
- 지리적 증거를 변조해 울루루를 자연생성된 산으로 가장한다.
- SAI-001의 머리는 당분간 경비대가 감시하며 사후에 어떠한 대규모 마법적 사건이 발생하지 않는지 주시한다.

舊 울루루 도시의 위치. SAI-001의 머리가 변질되어 통돌로 변한 사체만이 존재한다.
목격사항: SAI-001은 초권능·초과학적인 우주적 특이생물로, 누벨올랑드의 토착인이 창조신으로 숭배했으며 현재는 영국의 헤살과 이에 대응하고자 개시된 "초월사형" 계획의 결과로 제거되었다.
SAI-001의 머리는 현재 누벨올랑드 중앙의 전설상의 도시 울루루가 존재했던 자리에 있다. 해당 도시는 공화력 14년 제르미날 22일 SAI-001의 머리에 깔려 도시의 후예들과 함께 사라졌다. 이 머리는 높이 350m (5아르팡), 둘레 10km (2.5리그) 에 이른다. 머리의 물리적·생체적 구조는 안정과 불안정을 오간다.
특이사항: SAI-001은 비현실상의 괴수이자 여러 상태가 물질을 초월하며 중첩된 개체였으나, 드크랑통 폭탄으로 처치된 이후 대상의 머리는 생명을 잃고 기묘한 형태로 여러 물질을 오가며 현실일관성을 획득하려는 듯이 변화했다. 이하는 물질의 변화 과정을 정리한 표이다.
제르미날 22일 | 전투가 끝나고 울루루 도시를 깔아뭉갠 머리를 조사한 결과 약 2m (1투아즈) 길이 청동 비늘로 이루어져 있었다. 여전히 비유클리드적 형태를 유지하는 탓에 혼란에 빠지지 않고 보기 어렵다. |
제르미날 23일 | 머리의 단면에서 척추형 조직이 모두 8개 발견되었다. 맨 밑에 있었던 2개는 얼룩무늬 대리석으로 이루어졌다고 파악되었다. |
제르미날 24일 | 계속 머리의 단면을 조사하면서 이 생명체의 살이 일체 신경조직으로만 이루어졌음을 파악했다. 해당 신경조직은 짙은 녹색을 띠며 매우 강렬한 열을 발산한다. 소화계나 혈관계는 나타난 바 없다. |
제르미날 28일 | 척추형 조직이 사라지고 커다란 동심원형 뼈가 대신 생겨났다. 혈관계 또한 매우 복잡한 형태를 띤 채로 하룻밤만에 생겨났다. 혈관계를 발견한 것은 생명체의 상처에서 수은 몇백 리터가 흘러나올 때였다. |
제르미날 30일 | 14시경 생명체의 비닐이 얼음으로 바뀐 다음 한 시간 이내로 모두 증발했으며, 지켜보기 끔찍하게 생긴 내부구조가 드러났다. |
플로레알 3일 | 오른쪽 눈이 일종의 마그마로 바뀌어 눈구멍에서 흘러나오면서 붕괴해 내려앉았다. |
플로레알 7일 | 생명체의 해부구조가 안정화되어 우리 세계의 법칙에 합치된다. 석영 결정으로 된 매우 가는 도관계가 나타나고, 생명체의 내부조직이 상당량 선홍색 사암으로 바뀌어 매우 빠르게 풍화된다. |
플로레알 7일 | 최초로 머리의 꼭대기에 등반했다. 왼쪽 눈이 흑요석으로 이루어졌다고 파악되었다. |
플로레알 8일 | 왼쪽 눈구멍을 짧게 탐사한 결과 불명의 물질로 이루어진 뇌 형태의 구조체가 있었다. 이 구조체의 표본을 채취해 가짜 기원을 붙인 채로 프랑스로 이송했다. 탐사대원 1인이 불명의 이유로 사망했다. |
플로레알 12일 | SAI-001의 두개골이 일부분 침하했으며, 그 위에 있던 탐사대 숙영지와 탐사대원 6인이 같이 무너졌다. 비강 또한 같이 무너졌다고 추정된다. 머리의 내부 일부 영역이 휘발성 기체로 변환되었을 수 있다. |
현재 머리는 안정 상태로 들어섰으나, 표면이 빠르게 풍화되고 있다.
대화 일지:
거짓말을 했다. 우리는 안트로프사리모브 씨가 SAI-001과 실시한 대화 내용을 위조해 정신기적술계 상에 써넣었다. 이유는 아래에서 살필 수 있으나 줄여 말하자면, 해당 증언의 내용이 프랑스 제국의 미래를 문제시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초월사형 계획을 촉발시키는 계기가 될 만큼 매우 중대한 내용이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문학한림원Académie des Belles Lettres 회원들을 동원해 모략은폐국Division de Calomnie et de Dissimulation이라는 조직을 꾸리고 이들에게 대화 내용을 재작성시켰다. 사실 안트로프사리모브의 정신을 거쳐 출현한 뱀의 생각이 대화하는 방식은 안트로프사리모브의 발화와 별반 차이가 없을뿐더러 오히려 더 뚜렷했다. 모략은폐국이 위조한 보고서에서 표현된 뱀의 단속적인 문체는 이 생명체를 의도가 모호하고 불길하며 낯설어 보이도록 연출한 결과이다.
SAI-001이 현재 사망했으므로, 그리고 이 때문에 보고서를 재작성할 계기가 발생했으므로 원래 대화 내용을 공개하여 SAI의 더 높은 고위층에게 공개하고자 한다. 더 이상은 검열이나 위증 같은 해로운 짓을 빌어 행동할 필요가 없어지길 바란다.
여기까지 내용을 기록하고 나서 소금으로 안트로프사리모브를 강제로 깨웠다. 안트로프사리모브는 논의를 거친 후 자신이 SAI-001가 운명지은 대로 위에 언급된 특이체를 운반하여 영국군의 승리에 일조할까 두려워 자신의 목숨을 끊어달라고 명시적으로 자진 요청했다. 안트로프사리모브의 시체는 현장에서 소각되었다.
당시 대화에 참관했던 한림원 학자 8인이 집결하여 우리 제국의 계획이 운명 때문이든 은자물지의 탓이든 실패로 끝날 가능성을 비밀리에 검토했다. 나중의 일이지만 저 생명체의 계획은 결국 좌절되었으며, 이날에서 넉 달이 지나 울루루 전투에서 우리가 저 생명체를 파괴했으므로 무사히 안도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 정보가 여전히 황제 폐하나 제국 수뇌부를 공연히 놀래킬 수 있으므로 제국 특이한림원 바깥으로 이 소식을 절대 반출하지 않는 쪽이 낫다고 예상된다.
다만 적어도 향후 특이체를 영국에 출입시키는 과정에서 감시를 강화하였으며, SAI-001가 죽은 사실과 무관하게 10년 동안 감시 상태를 유지하기로 하였다. 그럼에도 이제는 모든 위협에서 벗어났다 할 수 있다.
울루루 도시의 일: SAI-001의 머리가 날이 갈수록 더 바스라지고 있으나, 지금 우리 능력으로는 머리의 밑을 굴착해 들어가기 어렵다. 우리가 울루루 문명에서 미처 추출해내지 못한 비밀들은 영영, 혹은 적어도 아주 오랫동안 사라져 버렸다. 다만 인류학계에게는 기쁘게도, 도시의 모든 주민이 죽지는 않았으며 사실 꽤 많이 살아남았다. 그러나 지금 토인들을 지켜보자면 몹시 애처롭다. SAI-001가 항상 애지중지하던 민족이었는데 그 뱀이 사라져버린 지금은 진정한 야만인이 되어버렸다. 사냥할 줄도 물을 찾을 줄도 마을을 세울 줄도 모른다. 아틀란티스 사람들이 이랬을까? 손이나 입도 쓸 줄 모르는 동물이나 마찬가지였을까? 마치 바벨탑에서 사람들이 흩어지듯이 토인들은 조그만 무리로 나뉘어 저마다 다른 방향으로 떠났다. 모든 것을 잃어버렸다고 슬퍼하지도 못한다. 이제는 무엇을 잃어버렸는지도 모르며 어떻게 슬퍼해야 하는지조차 모르므로. 오직 야만인 동족들 속으로 어울릴 뿐이다.
또 마찬가지로 SAI-001이 죽으면서 누벨올랑드의 동식물계 역시 퇴화했다. 울루루 주변에서 샘이 말라붙고 식물이 썩어들어갔다. 원정대 박물학자가 말하기로는 자연환경이 이만큼 빠르게 쇠퇴한다면 누벨올랑드 땅 전역이 머지않아 불모의 사막으로 변질된다고 한다. 특이성을 기반하여 세워진 이 땅의 모든 것에게는 특이성의 공급자가 사라져버린 만큼 이제 허물어질 일만 남았다. 가장 악착같이 적응하고 흉폭하기 그지없는 특이체만이 앞으로 살아남으리라.

광신과 기이를 거부하는 반교권주의자협회
공식연보
51호 - 2권
——친애하는 사크레SACRÉ 동료 여러분, 때가 왔습니다. 암흑시대의 종언이자 이성적 시대의 서막입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대결의 시대이기도 합니다.
참 어려운 시절입니다. 기독교는 노상에서 서민들에게 헛소리를 퍼뜨리고, 유태인은 초상사회 고위층 모든 곳으로 침습했습니다. 보나파르트가 저 오래된 베르사유 깊은 곳과 혁명군이 영국에서 훔쳐온 특이체들을 싹싹 긁어내서 세운 제국 특이한림원은 좋은 의도로 출범했다고는 하지만, 언제부턴가 그 간교한 대산헤드린의 카발라와 빌어먹을 랍비들이 끼어들어 무슨 정신 나간 공상일지도 모를 사상을 익힌답시고 오만 곳에 참견하고 있습니다. 그 매부리코 학자놈들의 불길한 입김 때문에 제국 각지의 한림원 기지에까지 히브리 문자가 붙어다닙니다! "코프Qof 기지", "레쉬Rech 기지", "헤트 기지"라니! 어떻게 되어먹은 세상입니까? 물론 유대인의 꿍꿍이는 한철일 뿐이고 20년도 안되어서 프랑스 기지들이 멀쩡한 이름을 되찾겠지만, 어찌됐든 지금 유대인이 우리 안에서 막대한 힘을 휘두르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다행히도 이제 유대인의 지배도, 그리고 믿음의 힘을 빌어오는 모든 기독교인의 지배도 일체 종말을 맞이했습니다.
환영의 물길Canal des Illusions이 이제 죽었습니다.
여러분은 SAI-001이나 무지개뱀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아실 텝니다. 이 특이체는 다른 것처럼 정신의 신기루로 존재하기를 넘어서서 인간의 정신 속에 다른 특이체를 한가득 생성하며, 더군다나 주술사나 도사라든가 기타 마법쟁이가 부탁하기만 하면 역시 그렇게 합니다. 마치 무기상과 같으며 그 행동거지는 정신 억압자와 철저하게 궤를 같이합니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가장 적합한 이론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 메슬리에Meslier 씨의 학설에 따르면, 무지개뱀이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두 세계를 잇는 다공질막과 같습니다. 막의 한쪽은 집단무의식, 인간 정신의 일체를 망라하며 집단환상을 생성하는 세계이고, 다른쪽은 아주 널따란 공간으로서 고립된 입문자 몇 명만 있어도 집단무의식의 전체를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환영의 물길이 죽었습니다.
그 말인즉 두 세계를 잇는 막이 사라졌다, 혹은 적어도 형해화되었다는 뜻입니다. 물길은 이제 끊어졌습니다. 어떠한 질서도 특이체를 다스리지 않으며, 어떠한 곳으로도 다시 특이체의 원천이 집중화하거나 통제되지 못합니다.
그러나 또한 나쁜 소식이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제국 특이한림원에는 새로운 보고가 빗발칩니다. 물길이 끊긴 뒤로 특이체들이 더 많이, 더 자주 튀어나오기를 그치지 않습니다. 이제 초자연세계를 다스리는 존재는 오로지 혼돈뿐입니다. 우리는 이전에도 그랬지만 지금도 특이체에게 어떠한 힘도 행사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여태까지 뱀에게 빌붙어 살아가던 마법사와 사제, 은비학자와 요술쟁이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분명히 알아두십시오. 그들은 새로이 방법을 획책할 것입니다. 황제가 열어놓은 몰이해의 빗줄기 속에서 결국에는 적응하고 말 것입니다. 그러나 그때는 우리 역시 진화할 것입니다. 이제는 세상 모든 곳에서 머리를 내미는 반계몽주의와 수치에 맞서 지난한 싸움을 치러나가야 할 시대입니다.
마침내 이성이 면류관을 쓰기를, 이성의 존엄함Sacre이 세상의 우두머리가 되기를!
파리 로지 회장
바르텔레미 제리코Barthélémy Jériqueau
추신: 여담입니다만, 저 괴수가 죽고 누벨올랑드 땅이 사막이 된 자리에서 우리 사절 파우스틸 씨와 실버스타인 씨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계곡을 발견했는데, 수많은 보석들이 갖가지 크기와 종류로 널려 있었다고 합니다 (오팔, 루비, 특히 사파이어 등). 두 사람은 곧바로 꾀를 내어 협동조합의 이름으로 이 땅을 재빨리 점유하고 광업시설을 세우는 계획에 착수했습니다. 파우스틸 씨는 광업에, 실버스타인 씨는 사업에 수완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여기서 새로 재원을 개발해낸다면 우리 협회는 좁아터진 생각으로 꽉 찬 저 한림원에서 떠나 독자적으로 운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불어 회원들의 과학 연구를 든든히 지원하고 다가오는 대결을 대비해 무장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인본주의자 총회에 올림
신사 여러분, 우리는 성공했습니다. 누벨올랑드 원정의 성공이나 실패를 언급하는 것이 아닙니다. 저마다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원정을 영광스런 승리로도 부산스런 패배로도 여길 테죠. 제가 말하려는 것은 좀더 근본적인 승리입니다. 비틀어서 말씀드리자면, "더 나은 인간Homme Meilleur"은 이제 불가피해지고 말았습니다.
드 쿠르빌 님은 분명히 천재셨지만 〈특이체 협정Traité de la Singularité〉9을 작성하실 때 근본적 요인을 누락하시고 말았습니다. 바로 저 무지개뱀 은자물지, 또는 훨씬 적확한 호칭으로는 "특이체의 관세사"가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 물론 드 쿠르빌 님은 신사회를 창립하시며 인간이 더 나은 인간이 되려면 특이교량에 더욱 많이 접촉해야 한다고 결론지으셨으며, 그 결론을 신사회는 그대로 과업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특이교량에는 숱한 의문점이 산적하였습니다. 대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어디서 오는 것인가? 어떤 법칙에 따라서 움직이는가? 그리고 저 은자물지가 발견되며 의문점은 더욱 커져만 갔습니다. 저 창조주 생명체가 자기 발톱 위에 더 나은 인간의 운명을 올려놓고 인류를 통째로 포로로 잡은 모습을 우리는 두려움에 빠져 목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런데 그때, 은자물지가 죽었습니다.
드디어 인간은 독립을 만천하에 선포했습니다. 이제야 인간은 특이교량을 통제할 수 있으며, 비로소 우리의 계획은 방향타를 제대로 잡았습니다.
그러나 저 무지개뱀의 손아귀에서 해방된 이는 인간만이 아닙니다. 특이체들 또한 모든 통제에서 이제 벗어나 버렸습니다. 특이체는 자신을 다스릴 법칙을 스스로 쓰고 있으며, 이 법칙을 다시는 가변하며 변화무쌍한 특정 의지가 거머쥘 수 없습니다. 현실 간의 교환은 이제 폭군이 다스리는 분야가 아닙니다. 사실 그 어떤 것도 더 이상 다스리지 못합니다.
다시 말해, 특이성은 이제 필연의 영역에 자리잡았습니다.
한림원과 왕립재단은 이미 전례 없는 변칙적 개체가 출현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드카르뱅 씨10에게 생긴 일은 한 가지 예시일 뿐입니다. 내일의 세상은 어제보다 더 특이적으로 변하고 또 끊임없이 다른 세상의 법칙을 들여올 터입니다. 그러므로 이제 인간은 개선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반드시 개선되어야만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특이성의 파도에 휩쓸리고 맙니다.
그렇기에 "더 나은 인간"은, 비로소 우리의 행복한 숙명이 되었습니다.
머지않아 우리는 제국 특이한림원의 일원으로 당당히 편입되리라고 단언합니다. 가장 망설이는 이조차도 전례 없는 승리 앞에서 이성에 입각해 판단하기를 바랄 따름입니다.
Lux Lucet In Tenebris

P.S.: "더 나은 인간"이 승리했음을 드베료De Berriot 파에게도 알려주는 것이 마땅해 보입니다. 그러면 한림원에서 베푸는 은혜를 마침내 받아들일 수 있겠지요.
1806년 6월 27일
파리
모로 기병중대장 귀하,
25일 보내주신 편지를 잘 받았습니다. 심각한 부상에서 하루 속히 쾌차하시기를 기원합니다만, 다른 것보다 한림원 내부체계를 설명해주신 말씀을 흥미롭게 여기고 있습니다. 이번 편지에서 이 주제를 다시 한번, 다만 더욱 솔직하게 언급하고자 합니다. 제가 귀하를 이토록 신용한다는 증표입니다.
황제 폐하께서는 책무에 짓눌려 하루하루를 바쁘게 보내시는 탓에, 그리고 아마 프랑스를 사랑하는 마음에 눈이 멀으신 탓에 특이체들이 이 세상의 정상질서에 어떠한 위협을 드리웠는지 잘 깨닫지 못하고 계십니다. 아무도 황제 폐하의 이러한 모습을 헐뜯을 수 없겠지만, 이런 상황을 인류는 납득하고 경계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특이적인 것은 특이적인 곳에 머물러야 합니다. 정치와 전쟁은 순전히 인류의 영역으로 되돌아가야만 합니다. 누벨올랑드의 사건에서 특이체가 확산되는 모습은 이미 충분히 위험했습니다. 특이적 무기가 증대되는 모습은 화약고 앞에서 횃불을 휘두르는 꼴 같지 않았습니까.
이번 제4차 오컬트 전쟁은 시종일관 매우 우려되는 추세로 흘러갔으며, 지상의 주권이 특이체의 문제를 놓고 얼마나 무책임한지 여실히 보여주었습니다. 그렇기에 이제는 훨씬 더 강대한 조직의 기초fondation을 반드시 세워야만 합니다. 제가 귀하께 말씀드리는 것은 모든 국가를 초월하는 특이한림원, 그 어떤 권력에게도 명령받지 않고 오로지 온 세상을 위해서 자신의 재량만으로 행동하는 기구입니다. 새로운 기구는 모든 행동을 애국심에 치우치지 않은 실용주의와 이성에 입각해 단행해야 합니다. 새 시대의 한림원은 지금의 온 세상 국가마냥 특이체를 자기 마음대로 휘두르기를 거부하고, 특이체가 어떤 해악도 끼치지 못하는 조건 아래에서 억류하기를 모색하며, 다른 세력이 특이체에 접촉하기를 차단해야 합니다.
무지개뱀 전투가 끝나고 인류가 목격한 공포가 아직도 가시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 왕립재단 또한 제 의견에 적극 동의하리라고 저는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래서 저는 감히 유럽의 연락책을 총동원해 영국·러시아·오스트리아·프로이센 등 각국 특이기구 대표자들에게 극비리에 접촉하여 협상을 꾸리고자 합니다. 귀하께서는 한편으로 한림원 내부에서 변화를 이끌어내기에 가장 이상적인 위치를 맡고 계십니다. 황제 폐하께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이것을 알리지 말아달라고 부탁드립니다. 드카메크뤼작 님과 그 주위의 측근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더 많은 프랑스 시민들을 위한 일이니만큼 귀하의 어떻게 판단할지 감히 의심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번 과업의 과정이라면 어떤 일이든 지지해드리겠습니다. 본인의 이름과 직함 또한 한껏 빌려드리려 합니다.
이렇게 일을 몰래 해치우는 임무를 조장하는 데 책임감을 느낍니다만, 귀하나 본인 같은 실용주의적 인물은 수효가 너무나도 적은 탓에 백주대낮에 돌아다녔다가는 프랑스의 적으로 취급받기 십상입니다. 그렇기에 저희는 이제 이성을 지닌 동료를 찾아나서야만 합니다.
기병중대장 귀하, 다시 한 번 우정의 표시와 전적인 헌신의 말씀을 전합니다.

제국의 시종장
베네벤토 공
옛날 옛적에, 적의에 찬 두 형제가 살았다.
혹자는 첫째를 리루Liru, 둘째를 쿠니야Kuniya라 일컬었다.
둘은 미지를 굴종시키고자 힘을 합쳐 다투었다.
하나는 눈이 멀고 하나는 앞을 볼 줄 몰랐으니
둘이 어떻게 무지개를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랴?
둘은 몰매를 집요하게 퍼부어 마침내 하늘에서
모든 신비의 뿌리를 뽑아냈으니, 바로 위대한 뱀이었다.
리루가 비프로스트를 움켜쥐고 그 꼬리를 으깨니
뱀의 머리가 떨어져나가고
울루루가 붉은 피로 뒤덮였다.
슬프도다!
무지개가 부서지고 여과지가 멍들며
모든 균열 사이로 색깔이 방울져 떨어지니
모든 도제가, 무당이, 부두 사제가,
이 모두를 알고 깨달은 모든 이가 저 파열을 마음속에 느꼈다.
수채화 가운데서 수많은 이가 들고 일어섰다.
무지개에게 다시금 대전체를 다스릴 힘을 돌려주고자.
뱀은 머리를 잃었고, 아무도 꼬리를 되찾지 못했다.
그러니 우리가 뱀을 위해 장님 나라의 애꾸가 되어 일어나리라.
그리고 우리는 앞으로 움켜잡을 무기를 따라,
즉 원래 뱀의 것이었던 무기로 말미암아
뱀의 손이라는 이름을 얻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