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라 경연 리뷰
Didic
처음 리뷰할 글은
무림재단 http://scpko.wikidot.com/wulin-foundation
by Salamander72
입니다
무림 세계 카논으로 쓰인 글인데
집단 명칭을 하나하나 다 바꾼게 인상 깊더라고요
romrom
변칙과 정상성 사이의 선을 사파와 정파로 그어놓은게 신박했습니다
Didic
첫 탭 내용도 (가짜라고 해도) 흥미로웠고요
romrom
운암정 마교 유니버스를 보고 만든 아이디어라는게
어이없었죠
Didic
괜히 희미하게 쓴 걸 보면 작가도 그걸 알았던거죠
한자를 사용하거나 테마를 통해 분위기를 바꾼 것도 눈에 띄었네요
romrom
확실히 재단에 무림이라는 장르는 시도되지 않았던 만큼
이건 후속작이 나와도 좋아보입니다
단체명도 적절하게 바뀌었고
Didic
신박한 주제니까 좋겠네요
romrom
클리셰도 확립된게 무림이니깐
그럼 다음 작품으로 가볼까요?
Didic
잠시만요
글 자체에서 설정은 세밀하고 잘 드러나는데 스토리가 드러나지 않는 게 조금 아쉬웠습니다
romrom
설정 사이에 살짝 언급되긴 하는데
잘 나오진 않네요
Didic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romrom
작품을 통한 암시가 경연의 일부인 만큼
아주 아쉽습니다
Didic
그쵸
다음은
정신분석학부 허브 http://scpko.wikidot.com/department-of-psycho-analysis
by Navla
입니다
romrom
아 이거 재밌었죠
분석심리학부 허브의 서식을 토대로
Didic
특이하게 유일한 구라부서였죠
romrom
설정이랑 대략적 작품들을 나열했습니다
  • 그러나 프로이트는 자신의 이론이 초심리학이라 불리는 것에 극히 반감을 가지며 SCP 재단과의 협업을 거절하였다. 이에 재단은 무력을 통해 그의 꿈 분석에 관한 자료를 탈취하였고, 프로이트에겐 기억소거제가 투여되었다.
프로이트가 심리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끌어올리려고 시도했었는데
그게 여기서 잘 표현된 것 같아요
아마 초상이라는 개념 자체를 거부했었겠죠
Didic
그런 점이 세밀해서 좋네요
아니면 반대로 그런 초상조차 과학으로 만들려고 했을지도 모르겠네요
romrom
이제 탭을 좀 둘러보자면
존재학부처럼 부서가 여러 학과로 나뉘어졌거든요
심리학 전반기 - 후반기를 다루는 것인데
리비도 - 데스트루도 두 개로 나뉘어져있어요
Didic
그쵸
romrom
학과 분위기가 서로 반대되는게 참 재밌습니다
인원들 이름도 보면
다 레퍼런스가 있거든요
Didic
리비도쪽은 코미디로 가고 데스트루도쪽은 진지하게 쓴 거 같네요
다만 철학적인 요소가 개그 요소에 비해서는 적게 느껴져서 아쉽긴 했습니다
romrom
허브에 철학적 요소를 끼워넣으려면
확실히 독자층이 갈라지니까요
Didic
단기적인 어필을 위해서는 개그가 잘 먹히기는 하지만
생각할만한 요소가 좀 적었어요
그나마
  • SCP-7132-KO: 죽음에 이르는 병
  • 내가 나에 대한 모든 걸 포기하는 그 순간 찾아오는 왠지 모를 편안함.
이 부분이 가장 철학적이겠네요
romrom
개구라 자체가 워낙 압축된 어필을 필요로 하는지라
철학적 요소를 넣지 않은게 좋은 전략이었다고 봅니다
아마 공식 부서 허브였다면
이 부분이 마이너스 요소가 되었겠지만요
Didic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세인트리히 시리즈 http://scpko.wikidot.com/saintlich-series
by Didic
입니다
romrom
자 어서 셀프리뷰를
Didic
누가글인지모르겠지만너무잘썼네요
romrom
네 이만 마치겠습니다
Didic
romrom
다음으로 넘어가죠
농담이고…
Didic
헉헉
romrom
나무위키같은 형식으로 소개하는게 재밌었어요
아마 전에도 저런 나무위키 - 리브레 위키같은 형식을 사용하던 요주의 단체가
Didic
그래서그런지 다른 글과 다르게 유달리 푸는 설정이 많죠
romrom
하나 있었었죠? 다섯 덕의 대도서관이라고
Didic
그쵸
romrom
그게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Didic
나무위키처럼 작성해서 그런지 가짜링크수는 글 중에서 가장 많은 거 같네요
romrom
가짜 링크도 보면 재밌는 점이
일부 캐릭터는 문서가 없습니다
image.png
Didic
그쵸
romrom
개구라 경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필들을 모아놓은 듯한 작품이었어요
이제 전 말할게 없음
Didic
확인해보니까 링크 수가 58개네요
romrom
ㄷㄷ
Didic
아마 가짜를 다 써야한다는 룰이 있었다면 이 글은 추억이 되었을 겁니다
romrom
그런 룰은 없지만, 후속 작품 작성은 제한이 없으니
위키가 자동차 동호회에 팔리기 전에는 누군가 58개를 다 쓰지 않을까요
Didic

제가먼저자동차동호회랑연락을해보겠습니다…
그럼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마약소녀 허브 http://scpko.wikidot.com/druggirlshub
by Physique
입니다
아마 지난 별경작인 펜타닐 화이트에서 영감을 받고 만든 거 같아요
romrom
펜타닐 화이트 이후로 농담으로만 나오던 마약소녀 시리즈가
나와버렸네요
Didic
근데 내적인 마약소녀의 서사가 탄탄해서 재미있더라고요
단순히 개그물로 가지 않았던게 좋았습니다
romrom
작가가 그림 실력이 있었더라면
팬아트도 나올 수 있었을 것인데
아쉽습니다
마약소녀 전원 총집합 파노라마같은게 있었다면
멋졌겠네요
Didic
그렇겠네요
romrom
그래도 창작물 속의 창작물이라는 테마로 멋지게 마무리한 것 같습니다
Didic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스시버스 허브 http://scpko.wikidot.com/sushiverse-hub
by Agent_Wanderer
입니다
스시블레이드가 세상을 지배한 카논인데
내용이 전달하는 게 적어서 아쉬웠습니다
romrom
솔직히 말하자면 스시블레이드 장르의 특징은
사람, 동물, 총, 트럭, 레일건 등등이
일상적으로 스시로 사용된다는 점에 있어요
이게 가장 강력한 유머 포인트거든요
Didic
그쵸
romrom
그런데 그런 세계관에서 우리의 일상이 스시가 된다고 한다면…
그리 큰 변화는 아닐 것 같습니다
특히나 독자에게는 말이죠
독자는 언제나 뇌절이고, 모두가 스시에 집착하는 부분만을 바라보게 되거든요
결국 똑같은 작품인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는거죠
Didic
그렇겠네요
romrom
앗 저 현생 이슈 때문에
8:30에 가야할 것 같은데
Didic
romrom
그 때 못 끝낸 작품들은
파트 2에서 리뷰하죠?
Didic
그러죠
romrom
그럼 빨리 다음 작품으로 가보겠습니다
Didic
다음은
유진의 상실 http://scpko.wikidot.com/lost-yujin
by thd-glasses
입니다
romrom
유진의 상실 http://scpko.wikidot.com/lost-yujin
by thd-glasses 입니다
?
따따블상실 ㄷㄷ
Didic

느려
romrom
아무튼 이 작품을 보자면
독자에게 감정을 전달하는 방식을
설명문에 집중함으로서 보완했어요
연작이나 요주의 단체에 대한 설명은 거의 없지만
산문시같이 멋들어지게 씀으로서 설명 자체만으로도 재밌었습니다
Didic
아마도 감성적인 면을 부각해야 하니까 전문가적인 서술이 분위기를 해칠 수 있다고 판단한 거 같네요
전달하는 서사도 좋았죠
개그나 설정을 부각하는 다른 글과 다르게 감정을 부각하는 전술이 잘 먹혔다고 생각합니다
romrom
저거 하나만으로 정신분석학부 허브랑 박빙을 뜨는걸 보면
확실히 강력하네요
공동 1등이죠 아마?
Didic
지금은 그쵸
하지만 지금 경연이 점수가 되게 박빙이라서
다른 글에게 금방 역전당할 수 있죠
1등이랑 2점차인 게 한 5개는 될 겁니다
romrom
천KO로 유입이 엄청 나온 다음 열린 경연이라
점수 격차가 역동적입니다
아마 다음에 열릴 모든 경연도 이럴 것 같아요
Didic
위키의 글 실력이 상향평준화되고 있다고 생각해도 되겠네요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한국어 평행우주 http://scpko.wikidot.com/list-of-parallel-universes-ko
by TimidChild
입니다
romrom
제가 생각했던 "신박한 허브" 중 하나는
요주의 단체 목록, 카논 목록 허브같은거였어요
그거랑 가장 가까운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Didic
다만 각 우주가 그렇게 창의적이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romrom
이사나기 후나키 우주나
좀비 아포칼립스 정도가 끌렸네요
Didic
차라리 우주 하나를 진득하게 설명하는 것도 나쁘지 않았을거라고 봅니다
romrom
단편 아이디어로는 매력적이지만, 긴 공동창작을 하기에는 부적합한 것들도 많아서
아쉬웠네요
Didic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모두가 모른다 허브 http://scpko.wikidot.com/everyone-do-not-know-hub
by dododom
입니다
romrom
아마 가장 처음 작성 완료된 초안이었죠?
Didic
제게 가장 처음일걸요?
romrom
원래는 진짜 작성할 연작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앗 그렇군요
Didic
아닌가
함 보고 오겠습니다
romrom
우선 이 작품은
필버슨 증후군이 대부분의 사람에게 전파된 세상을 다룹니다
Didic
제게 처음이 맞네요
romrom
다들 사피르같이 된거죠
Didic
부서진 가장무도회를 색다르게 바라본 게 인상 깊었죠
romrom
이건 진짜 쓰여도 재밌을 것 같은데
가짜 링크가 대략 15개를 넘는 상황에서
엄청난 스불재가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Didic

그래도저보다는적으니작성하실거라믿습니다!!!
romrom
네네 dododom님 지금 이의 없으시다면
작성 동의로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idic
동의 감사합니다
romrom
아무튼… 참 기대되는 세계관이었습니다
정부 소유 정상성 단체는 뭘 하고 있을지도 궁금하네요
Didic
그렇네요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또 하나의 우로보로스 http://scpko.wikidot.com/ouroboros-ko
by 2018
입니다
romrom
재단의 아이들이라는 평의회 클론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인데요
개인적으로 메탈 기어 시리즈의 무서운 아이들 계획이 생각나서 재밌었네요
네이밍도 노린 것이겠죠?
Didic
그렇겠네요
근데 제가 이 글이랑 이어지는 글은 안 봤어서
잘은 모르겠습니다
romrom
대충 737KO는
O5 평의회가 전혀 예상 못 한
변칙개체에 의해 살해당한다는 이야기입니다
Didic
글쿤요
romrom
더 하실 말씀 있으신가요?
Didic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여기서 끊을까요?
romrom
없으시다면 나머지는 파트 2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Didic
그럽시다
수고하셨습니다
romrom
내일 동시각에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Didic
그럼 그때 하죠
romrom
ㅇㅋ
갑니다
Didic
New Messages
Didic
@리뷰 참여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파트 2 첫 리뷰 대상은
2026 SCP재단 한국어 위키 신년시상 정리본 http://scpko.wikidot.com/2026-year-end-awards-ko
by Canonkart
입니다
우선 유일한 구라경연글이라서 특이했고
동시에 테마도 화려해서 눈길이 갔지만
romrom
타임라인 구문을 사용한 점이 눈에 띄었네요
메타적 작품 중 하나인 것도 재밌었습니다만
작품 하나하나를 암시만 하고 끝나는게 아쉬웠습니다
Didic
각 수상작의 장점을 너무 추상적으로 말해서 진짜 대단하다는 느낌이 안 든게 아쉬웠네요
romrom
메타-허브라면 선정 과정이라던지, 해프닝이라던지 그런걸 넣었다면 재밌었겠지요
Didic
그런 구라에 대한 구라글도 좋겠네요
Playlist01
후반 심사위원 말투가 갑자기 바뀐게 아쉬웠는데
전체적으로 맘에 들었던 글이었습니다
Didic
아니면 작가들이 미래에 쓸 글을 수소문해서 자기예언적 구라수상글을 써도 재미있었겠네요
그럼 스토리도 탄탄하게 소개할 수 있었을테니까요
romrom
독자 공감대를 얻기도 쉬웠겠군요 그렇다면
아쉽습니다
하지만 충분히 재밌어요 글 자체는
Didic
소개 방식은 흥미롭긴 했죠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romrom
ㄱㄱ
Playlist01
ㄱㄱ
Didic
다음은
SCP 더 컹커러 http://scpko.wikidot.com/the-conquerer-of-scp-ko
by POI_Damgi
입니다
무협재단처럼 세계관을 완전히 바꾼 구라글입니다
romrom
아 이거 재밌었습니다
04K기지 논스톱, 닌자 엣시피 슬레이어, 깨액 허브 류의
미친 병맛 개그 글이죠?
Didic
엄청난 뇌절력을 보여준 글이었죠
Playlist01
개구라 투고작 중에서 제일 재밌게 읽은 글인데
romrom
뇌절에 뇌절을 거듭하는걸 아주 잘 즐겼어요
팬아트도 있습니다 다른 탭을 보시면
Didic
다만 제가 읽기에는 너무 글이 길어서 좀 지치긴 했습니다
Playlist01
04K기지 논스톱보다 더 뇌절인 글이 존재할 수 있었단 걸 깨달았음
romrom
잘 보면
Didic
특히 등장인물 소개에서 글이 길다는 걸 느꼈던 거 같아요
romrom
저게 논스톱 소속작입니다
조용하네요
다음 작품으로 갈까요?
Playlist01
화면이 멈춘 줄 알고
폰 껐다 켰는데 아니었다니
Didic
다음은
What If…? http://scpko.wikidot.com/what-if
by Chris nix
입니다
Playlist01
개구라 경연 글 중에서 제일 괜찮게 봤던 글입니다
Didic
평행우주 글과 비슷하게 진행되는 글입니다
romrom
초기 투고작이었죠?
Didic
그쵸
romrom
마블 왓이프를 모티브로 했는데
세계관만 나와서 아쉬웠지만… 그래도 재밌었습니다
Playlist01
읽으면서 상상하는 재미가 있던 글이었어요
Didic
다만 그 양이 많고 세계관 전체를 바꾼다기보다 어떤 선택을 바꿈으로써 바뀐 세계관에 주목하고 있었죠
romrom
전에 나왔던 한국어 평행우주 목록과 비슷했네요
Playlist01
만약… 즈소가 SCP-963을 착용했다면…? 이 부분이 좀 이해가 안되는데
romrom
그런 만큼 소개가 길었어도 재밌을법 합니다만
Playlist01
저걸 착용하면 즈소 몸에 브라이트 박사의 영혼이 들어가는게 맞나요?
Didic
그러나 역시 너무 다양한 세계를 소개하다보니 소재의 강렬함이 깊게 남지 않아서 아쉬웠습니다
Playlist01
아니면 더 목걸이에 브라이트 대신 즈소 연구원의 영혼이 담긴건가
romrom
즈소의 영혼이 담기는거겠죠?
Playlist01
그렇구나
저 부분이 제일 흥미롭네요
즈소가 복제된다니…
Didic
그럼 다음으로 넘어갈까요?
Playlist01
좋습니다
romrom
ㄱㄱ
Didic
다음은
프로젝트 제로테스 신입 관리자 안내서 http://scpko.wikidot.com/project-zero-tas
by Playlist01, LR0725
입니다
romrom
자 어서
자추를 할 시간을
드리겠습니다
Playlist01
저거 6일동안 쓴 글임
romrom
영업 멘트 부탁드릴게요
Playlist01
단지 자캐딸똥글이 쓰고 싶었습니다…
글에 비추가 박혀도 괜찮습니다…
romrom
아하
좋습니다 어서 비추를
Didic
romrom
농담이고
Didic
기대해주세요
Playlist01
무무슨
romrom
림버스컴퍼니 비슷한 글이네요
Didic
농담입니다
romrom
재단 버전의 림버스도 나름 멋지지 않을까요
로고 미제작도
구라로 훌룡하게 승화시켜
Playlist01
로고 미제작은 사실
romrom
감명깊었습니다
Playlist01
생각을 못했음
Didic
저에게는 초반에는 느낌있었지만 후반으로 갈수록 내용을 단편적으로 소개하는게 아쉬운 글이었습니다
Playlist01
글을 다 쓰고 투고하고 나니까
로고를 안 만든걸 깨달았읍니다
사실 이 글은 저보다 엘알님이 더 수고하셨음
투고기간 5일 남았을때 공저를 요청했었거든요
PW-8은 엘알님이 혼자 쓰신겁니다
제가 건들지 않았음
romrom
네 노예 징집
잘 들었습니다
Didic
지금 보니까 PW랑 PM이랑 섞여있는데 의도인가요?
Playlist01
M은 남자
Didic
아하
Playlist01
W는 여자에요
별 이유 없음
개인적으로 인물 소개를 완벽하게 해내지 못해서 아쉽긴 하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Didic
뭐야왜윤이연남자에요???
병약미소녀어디갔음
Playlist01
병약미소년캐를 넣고 싶었을 뿐
Didic
Playlist01
암튼 쓰면서 즐거웠어요
romrom
남자벌레맨은 좀
귀하군요
Playlist01
히키코모리 플소랑 병약미소년 제비꽃은
언젠가 작품에 꼭 넣을겁니다
romrom
그럼 리뷰 끝인걸로 알고
집으로 들어가겠습니다
Didic
수고하셨습니다
Playlist01
수고하셨어요



🈲: SCP 재단의 모든 컨텐츠는 15세 미만의 어린이 혹은 청소년이 시청하기에 부적절합니다.
따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