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락연구회 세미나: 포은가락집 텍스트의 가락적 해석
芳遠先唱何如歌 | |||||||||||||||
태 | 종 | 대 | 왕1 | 께 | 옵 | 서 | 먼 | 저 | 읇 | 프 | 시 | 니 | 라 | ||
如此亦如何 如彼亦如何 | |||||||||||||||
이 | 런 | 들 | 엇 | 더 | ᄒᆞ | 며 | 져 | 런 | 들 | 엇 | 떠 | ᄒᆞ | 료2 | ||
城隍堂後苑 頹圮亦何如 | |||||||||||||||
萬 | 壽 | 山 | 드 | 렁 | 츩 | 이 | 얼 | 거 | 진 | 들 | 엇 | 더 | ᄒᆞ | 리 | |
吾輩若此爲 不死亦何如 | |||||||||||||||
우 | 리 | 도 | 이 | ᄀᆞᆺ | 치 | 얼 | 거 | 져 | 百 | 年 | ᄭᆞ | 지 | 누 | 리 | 리 |
儒者芳遠卽方正 | |||||||||||||||
대 | 왕 | 께 | 옵 | 선 | 선 | 비 | 시 | 니3 | 점 | 디 | 아 | 니 | ᄒᆞ | 시 | 니 |
言律作風唱歌樂 | |||||||||||||||
읇 | 프 | 신 | 玉 | 音 | 이 | 퍼 | 지 | 매 | 바 | 라 | 미 | 노 | 래 | 하 | 고 |
月光到來作雲霧 | |||||||||||||||
달 | 비 | 치 | 절 | 로 | 비 | 쳐 | 室 | 內4 | 구 | 르 | 믈 | 잣 | 도 | 다 | |
音律到達客之杯 | |||||||||||||||
옥 | 음 | 가 | 락 | 이 | 포 | 은 | 의 | 잔 | 에 | 다 | 하 | ||||
一酒爲卽葛根茶 | |||||||||||||||
술 | 을 | 츩 | 차 | 로 | 밧 | 고 | 아 | 노 | 미 | 라5 | |||||
圃隱答唱丹心歌 | |||||||||||||||
이 | 어 | 포 | 은 | 션 | | 이 | 답 | 가 | 하 | 여 | 읇 | 노 | 라 | ||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 |||||||||||||||
이 | 몸 | 이 | 주 | 거 | 주 | 거6 | 일 | 백 | 번 | 고 | 쳐 | 주 | 거 | ||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 | |||||||||||||||
白 | 骨 | 이 | 塵 | 土 | 되 | 여 | 넉 | 시 | 라 | 도 | 잇 | 고 | 업 | 고 | |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 | |||||||||||||||
님 | 향 | 한 | 一 | 片 | 丹 | 心 | 이 | 야 | 가 | 쉴 | 줄 | 이 | 이 | 시 | 랴 |
圃隱倒盞後完唱 | |||||||||||||||
그 | 리 | 읇 | 고 | 서 | 盞 | 을 | 어 | 퍼 | 노 | 턴 | 즉 | ||||
盞卽虛虛但不酌 | |||||||||||||||
입 | 도 | 대 | 지 | 안 | 코 | 서 | 도 | 차 | 한 | 방 | 올 | 없 | 더 | 라7 | |
兩方無言中離別 | |||||||||||||||
一 | 言 | 半 | 句 | 두 | 말 | 업 | 시 | 방 | 을 | 나 | 서 | 갈 | 라 | 질 | ᄊᆡ8 |
芳遠密命殺圃隱 | |||||||||||||||
대 | 왕 | 께 | 옵 | 서 | 치 | 라 | 시 | 매9 | 四 | 명 | 이 | | 차 | 가 | 니 |
善知殺手但不避 | |||||||||||||||
션 | | 이 | 미 | 리 | 알 | 고 | 도 | 피 | 하 | 지 | 아 | 니 | 하 | 미 | 라10 |
[[footnoteblock]]
페이지 내역: 2, 마지막 수정: 14 Feb 2023 1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