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번역하다가 신경쇠약에 걸릴 것 같습니다 (…)
"신경정신"과 "병리약학", "컴퓨터, 전산 및 소프트웨어" 의 번역을 도와주실 분을 찾습니다.
원문은 여기입니다. http://www.scp-wiki.net/technical-words
이거 번역하다가 신경쇠약에 걸릴 것 같습니다 (…)
"신경정신"과 "병리약학", "컴퓨터, 전산 및 소프트웨어" 의 번역을 도와주실 분을 찾습니다.
원문은 여기입니다. http://www.scp-wiki.net/technical-words
사정상 번역이 늦어진 점 사과드립니다. 늦은 마음에 급하게 번역해 오역이 심할 수도 있습니다. 다소 강한 의역이 필요한 부분들은 일단 자제했으나 허가시 강한 의역을 써서 재번역하겠습니다.
upload vs download vs transfer
The difference between "upload" and "download" is as subtle as the prefix of each word: upload implies that you are send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you are working on to another location, while download implies you are taking it from another location to your own. The terms "upload" and "download" are most commonly used in networking situations (such as from a server or the general internet). With attached devices such as external hard drives and "USB keys", the term transfer is more commonly used (as in "the data was transferred to the external hard drive") although this is personal preference. With optical media, such as CDs, DVDs and Blu-Ray, the term "burn" is used for putting data on the disc.
업로드, 다운로드, 전송
업로드와 다운로드 사이의 차이는 각 단어의 접두사만큼 미묘하다. 업로드는 당사자가 작업하는 곳에서 다른 곳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의미이고 다운로드는 다른 곳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는 뜻이다. 업로드와 다운로드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분야(서버나 일반적인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쓰인다. 개인적인 선호이지만 외장 하드드라이브나 USB처럼 외부 장치들의 경우에는 전송이라는 단어가 많이 쓰인다(예 : 데이터가 외장 하드드라이브로 전송되었다.). CD,DVD,블루레이 등의 광학적 장치에서는 ‘굽다’ 라는 표현이 디스크에 데이터를 옮긴다는 의미로 쓰인다.
Hardware Terminology
The "CPU" is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it does all the processing/thinking. RAM means "Random Access Memory" and acts as a form of short term storage for running programs - when the PC loses power, the data in RAM is generally lost (it is known as "volatile memory"). The HDD is the "Hard Disk Drive" - it is usually the traditional spinning magnetic platters style (what you would have in most PCs), but can also be used to describe SSDs (or Solid State Drives), which are made using "flash" memory (similar to USB sticks and SD cards, but on a much grander scale). HDDs and SSDs are not volatile, and retain the data stored on them when power is lost. HDDs are extremely susceptible to shock damage, while SSDs are not. The "motherboard" is the large system board, which contains the various ports and bridges. The PSU (or "Power Supply Unit") is essentially an AC to DC converter. USB stands for "Universal Serial Bus" and is used for connecting external drives and peripherals. The term "tower" usually refers to the shape of the stereotypical computer, but can colloquially refer to the whole package. A monitor or screen is the display device - these are generally made from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 these, too, are fragile.
하드웨어 용어
CPU는 중앙처리장치를 의미한다. 이것이 모든 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한다.
RAM은 단기기억장치를 의미한다. 이것은 실행중인 모든 프로그램들의 데이터들을 짧은 시간동안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PC의 전원이 꺼지면 RAM안의 데이터들은 모두 사라진다(그 때문에 휘발성 메모리라고 불린다.).
HD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의미한다. 이것은 자기를 띤 회전하는 플래터로 만들어져 있다(통상의 PC에 사용된다.). 어떤 PC들은 플래시 메모리로 만들어진 SSD(USB나 SD카드와 비슷하지만 훨씬 큰 규모이다.)를 사용하기도 한다. HDD나 SSD는 비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져도 저장하던 데자이터를 잃지 않는다. HDD는 외부 충격에 아주 약하지만 SSD는 그렇지 않다.
메인보드(주 회로기판)은 중심적인 회로기판으로 여러 포트(주: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만든 단자)들과 브릿지(주:본체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 연결하기 위한 부분)들을 가지고 있다.
PSU(파워서플라이)는 간단히 말해 직류/교류 변환기다(인버터)이다.
USB는 국제적 전송 기준을 뜻한다. 외부 장치들과 연결하는 데 쓰인다.
본체(주:타워라고 되어있었지만 문맥상 본체라고 번역)은 전형적인 모습의 컴퓨터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구어체에서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전체를 통틀어 가리킬 수 있다.
모니터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하는데, 대개 LCD(액정)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것들도 충격에 취약하다.
Software Terminology
The Operating System is the layer between the raw hardware and your applications. The most common ones are Windows, Mac OS X and Linux. A program is a file containing compiled code that is run on the CPU and interfaces with the OS to do meaningful work (such as read data, process pictures, etc). Encryption is where data is changed to obscure its original state. This is generally done by encryption algorithms such as Blowfish, and should be reversable. Non-reversable "encryption" is better described as a cryptographic hash (which outputs a fixed length string of bytes), commonly used for password storage and file integrity verification.
소프트웨어 용어
OS(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있는 소프트웨어다. 제일 흔한 운영체제는 윈도우즈, 맥 OS X와 리눅스다.
프로그램은 입력에 따라 CPU로 의미있는 작업(예를 들면 데이터를 읽거나, 그림을 보여주거나)을 하고 OS와 상호작용하도록 컴파일(주:명령어들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것)한 코드를 넣은 파일이다.
암호화는 원래의 의미를 알기 힘들게 하는 작업이다. 이것은 대개 Blowfish와 같은 암호화 알고리듬에 의해 행해지며, 해독할 수 있게 되어야 한다. 비가역적인 암호화는 비밀번호와 보안 절차에 사용되는 암호학적인 해시(고정된 길이의 문자열을 내놓는 것)이다.
Things to Avoid
Computers are not magic. Software is not magic. If there is an ancient/otherwise alien computer, it is very unlikely we can instantly decode anything - since not only would we have language barriers and need a sort of Rosetta Stone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but we would have to figure out the architecture of the computer and the method that it stores things to get any data off it anyway. Without any readable manuals or instructions, a completely unknown computer system is a very large paperweight. Remember that, like most things that have specialists on the site, making up random junk as part of your computer-based SCP will not fly well, and you will get downvotes for it. If you are at all unsure with terminology or opinions on how plausible something is with technology, please ask people who know these things! (Please see Expert Witnesses for those that do.)
컴퓨터는 마법이 아니다. 소프트웨어도 마법이 아니다. 만약 고대나 외계인의 컴퓨터가 있다 하여도, 우리가 즉시 그것을 디코딩(주:해독) 할 수 없다. 우리가 언어의 장벽에 막혀서 로제타석 비슷한 것이 필요한 데다가, 그 컴퓨터의 구조를 알아내어 어떻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지 알아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읽을 수 있는 설명서나 안내서가 없다면, 알 수 없는 컴퓨터 시스템은 아주 거대한 고철덩어리(주:원 뜻은 문진입니다. 그러나 이쪽이 더 적절한 것 같아서 이렇게 번역했습니다)일 뿐이다. 기억할 것은 이 사이트에 그 방면의 전문가들이 많은 소재를 이용해 당신이 만든 무작위적인 쓰레기 같은 컴퓨터류의 SCP는 대접받지 못하고 다운보트를 받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용어에 대해 헷갈리거나 기술에 대해 어떤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견을 원한다면 이것에 대해 아는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라(원하는 사람들은 [[전문가의 증언]]을 보시오.)
수고하셨습니다.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a one-way ticket to Stumptown은 무슨 의미로 쓴 건지 모르겠네요.
Stumptown은 나무 밑둥 or 그루터기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짐작하셨겠지만 다운보트를 받아 땅바닥에 때려박힌다는 뜻 같습니다
뒷북같지만, 변형력stress은 전공하면서 들어본적이 없는 단어고, 현장에서나 전공 서적 등에서나 전부 '응력應力'으로 사용하고있습니다. 괜찮다면 변형력 대신 응력으로 변경하고자하는데, 괜찮을까요?
일단 위키백과의 해당 페이지에서는 변형력과 응력을 모두 인정하고 있지만, 전공자 의견이니 고민이 되는군요. 저는 일반 독자가 이해하는 데에는 변형력이라는 표현이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인데, 어떨까요?
위키백과의 변형력 문서에는 출처가 불분명하고, 심지어 본문에서는 변형력이 아니라 응력을 사용하고있습니다. 또한 중국어 위키백과, 일본어 위키백과의 문서에서도 변형력이라는 표기로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서만, 그것도 잘 사용하지 않는 단어로 보입니다. 다만, 국립국어원에도 등재되어있는걸 보면 그냥 실 사용은 생각도 안하고 밀어붙이는 단어같네요.
이는 구글 검색어 결과에서도 "變形力" 약 15,600개, "変形力" 약 15,300개, "변형력" 약 29,900개라는 점이 뒷바침하고있죠. 반면 응력으로 검색하면 "應力" 약 485,000개, "応力" 약 992,000개, "응력" 약 522,000개로 압도적입니다.
추가로, 글래시스님께서 변형력이라고하면 이해가 낫다고 하셨지만, 실제로 응력의 정확한 정의는 외부의 힘에 의한 변형에 대응하는 힘입니다. 응할 응(應)자를 사용하는 이유가 그것 때문이죠.
오히려 변형력이라고하면 변형을 가하는 힘이라고 착각하기가 대단히 쉬워지기 때문에, 변형력이라는 단어는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고봅니다.
변형력을 응력으로 고치고, 근처의 다른 용어도 실제 용어에 맞춰 수정했습니다. 추가로, 경도 부분도 번역해서 넣었습니다.
그리고 나노기술 중에서 이 부분을 어떻게 번역해야될지 몰라서 일단 저장하지 않았는데, 누가 의견 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nd while having a few million nanomachines working in concert could definitely fuck some shit up hardcore, they ultimately operate fully under the known laws of physics.
몇만개의 나노머신을 콘서트에서 돌리는게 하드코어를 완전 망가트릴 수 있겠지만, 결국은 알려진 물리법칙 내에서 작동한다.
비스무리한 말입니다.
음… 원문을 보고 왔는데, 나노기술 단락은 전체적으로 나노머신이 만능이 아니라는 점과 어디까지나 굉장히 작은 사이즈로 된 로봇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주 단순한 행동만 프로그래밍된다는 점 하고요. 대신에, 해당 문장 바로 앞 문장의 괄호에서 '여러 종류의 머신을 협력하게 할 수는 있다'고 단서를 달고 있군요.
해당 문장에서 콘서트는 이의 연장으로 보입니다. 즉, concert를 앞의 in과 붙여서 "in concert : ~와 협력하여"로 해석하는 거죠. 콤마 앞의 부분은 "fuck up : 일을 개판으로 만들다"에 초점을 둬서 해석하면 이렇게 되겠네요.
"수만개의 나노머신이 협력해서 뭔가(some shit)를 완전 하드코어하게 개판으로 만들어버릴 수는 있겠지만, 그것들은 결국 알려진 물리 법칙(을 따른다./에 따라 작동한다.)"
의역하면 "나노머신을 많이 써서 뭔 짓거리를 할 수는 있지만 그래도 그것들이 물리 법칙을 벗어나는 일을 할 수는 없다"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Fuck up —-가 뭔가를 개판내다, 같은 뜻이라면 그 뒤에 오는건 명사가 맞을거라 생각했지만.. 문맥상 저도 그렇게 읽히고요. 그래서 전자용어같은거라고 생각했는데.. 혹시 이공계열에서 하드코어라는 명사를 쓰는 일이 있나요?
그럴리가요(…) 하드코어에 딱히 다른 뜻이 있을거라고는 생각하기 힘든데요
뒤늦은 말이지만 전 fuck up이 fuck과 up 사이의 some shit을 명사로 받는다고 봤습니다. 하드코어는 그걸 꾸며주는 식으로 해석했고요.
브론스테드 라우리라고 치면 구글에 이 문서 하나밖에 안나옵니다;;;
브뢴스테드 로우리라고 변경했습니다
그리고 사실 산의 정의는 보통 루이스 산으로 정의하지만 원문에 이렇게 쓰여 있으니깐 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