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 위키에 문의한 결과, 프리웨어 게임이라 번역 허가가 따로 필요없다고 합니다.
다만 먼저 올라온 한글 번역이 있었다기에 그 한글판을 만든 유저에게 문의하니 마음껏 수정해도 된다고 하는군요.
번역한 개별 파일은 이 페이지에다가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공식 위키에 문의한 결과, 프리웨어 게임이라 번역 허가가 따로 필요없다고 합니다.
다만 먼저 올라온 한글 번역이 있었다기에 그 한글판을 만든 유저에게 문의하니 마음껏 수정해도 된다고 하는군요.
번역한 개별 파일은 이 페이지에다가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프리웨어라는 게 "허가가 따로 필요없음"과 일대일 대응 관계가 아닐 텐데요…;
확실히 수정변경이 자유로운 건가요?
그러고보니 프리웨어는 영리적 배포가 안되는군요.
근데 저쪽에선 프리웨어라고 하던데… 일단 자유롭게 수정/배포해도 문제는 없다고합니다.
현재 한국어판 페이지도 위키에 작성되어있고요.
정리하자면, "프리웨어"란 공짜로 주는 건 다 프리웨어라고 합니다.
재편집 및 재배포가 가능한 건(완전히 제한이 없는 건 아니죠. 원작자 표시, 비영리, 동일조건변경허락 등등의 제약이 달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마다 라이선스가 또 다를 겁니다. 자유 소프트웨어의 GFDL이라던가, 백괴사전이나 위키백과의 CC(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등등. 이 둘이 교집합이 크지만, 서로 같음은 아니라서요.
예컨대, 양병규 씨가 만든 압축 소프트웨어 "빵집"은 공짜로 배포되니 프리웨어지만, 누군가 빵집을 좀 고쳐서 자기 이름 걸고 배포하면 그건 저작권 위반인 거죠.
그냥 노파심에 여쭤 봤습니다. :) 저쪽에서 문제가 없다고 하면 괜찮은 거겠죠.
docRAND2.jpg 에서 "input booth"를 "입력 부스"라고 하셨는데, 현재 한국 위키 번역은 "투입 칸막이"입니다.
수정하셨군요. 그런데 너무 귀찮게 해 드리는 게 아닌지 걱정됩니다만;;;
"통상질환의 백과사전"보다 "통상질환 백과사전"이 더 자연스럽지 않을까요?
수정했습니다. 조언은 얼마든지 환영이니 귀찮게 한다는 생각은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폰트 선정 등의 이미지에 대한 의견이 있으셔도 연락주세요. 이미지를 손댈 때마다 채팅방에 들어가서 다른 분들의 조언을 구하고 있긴 하지만 SCP 좋아하시는 분들께서 의견을 더 주시면 좋은 일이니까, 귀찮을 거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토론란에 남겨주시거나 채팅방에 녹차라떼란 사람이 접속해 있을 때 얘기해 주세요. 특히 실수 지적 환영합니다. 번역을 복사해 집어넣다가 주석으로 들어간 숫자를 같이 넣거나 같은 문장을 두 번 복붙하거나 경고판 여러 장에 실린 SCP들이 죄다 173번이라거나(…) 뭐 그런… 실제로 이런 부분에서 실수가 많아서^_T
doc860.jpg 에서 "이상의 격리 절차는 불필요하다"가 혼자 왼쪽에 있어서 따로 노는 것처럼 보입니다. 오른쪽으로 당기는 게 어떨까요?
프로그래밍 유저들 접속률이 낮은 관계로 일단 프로그래밍쪽은 장기적으로 보류합니다.
번역 및 이미지 작업은 대부분이 끝났으니 자잘한 수정을 거친 뒤에 프로토타입으로 내놓아도 상관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