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석하실때 'Document ███' 형식을 뒤바꿔서 '███ 문서'로 번역하시는 경향이 보이시는데, 그냥 '문서 ███'라고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숫자가 앞에 들어가면 오히려 더 어색해져요.
Document ███, 또는 Document # ███가 있을 때, 여기서 ███ 내지 #███를 "~번"으로 해석한 결과입니다.
[문서 n]과 [n번 문서] 중 어느 게 더 일반적일까요? 저는 판단이 잘 서지 않습니다. 유저 분들의 의견을 기다리겠습니다.
- stairwell: 계단통. 건축 용어랍니다. 건물에서 비상계단과 같이 계단만 있는 구역을 가리키는.
- platform, landing: 층계참. 중간에 꺾이는 계단에서 계단과 계단 사이의 공간.
- flight: 층계(=계단 한 묶음). 여기서는 13 steps = 1 flight each flight has been a consistent 13 steps.
- step: 계단 한 칸 한 칸.
오호, 올라왔군요. 제가 올리려고 했습니다만, 첫번째 사진에 얼굴이 생겼다가 없어졌다가 하도록 만드는 법을 몰라서 때려쳤었지요.
원문 페이지 소스를 그대로 가져오면 되는 일 아닙니까(…)
지금 보면 얼굴이 보인다는 분들도 계신데, 저는 죽었다 깨도 안 보입니다(…)
엔하 설명에 따르면 접속 장소에 따라 다르니까 안 되는 사람은 걍 포기하라던데…
제가 한번 원문 파일을 비교해서 볼께요. 솔직히 한번 본 적은 있는데요. 원본 파일 보니 파일은 위에 올려진 2개 뿐이더군요.
문제는 이미지 파일을 보아하니 http://themenwhostareatgoat.se/scp/ [087.png] width="300px" 이어야 하는데
image http://themenwhostareatgoat.se/scp/ [087.py] width="300px" 로 되어있네요. 수정했습니다.
물론 py로 되지만 본부에서도 png로 사용 중이네요.
아시겠지만 http://themenwhostareatgoat.se/scp/ 주소에 들어가면 087에 첨부된 파일들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얼굴을 보고 싶다면 face.png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근데 정말 문서 내에서는 어떻게 봤는지는 저도 며느리도 모릅니다(…..)
아니면 작성자가 재때 재때 파일 소스를 남 모르게 바꾸고 있거나
원문 소스가 잠겨 있으니 문제지요. 열려 있으면 진작에 옮겨왔지요.
지금 보니까 여기 사진에서는 안 보이는 사진만 올라와 있군요.
오른쪽 아래의 + Options 누르시고 Page Source 누르시면 동결 페이지도 소스 나오게 되어있습니다
![]() |
|
Figure A: Still frame taken from video footage of Exploration I |
---|
원문 소스도 이게 다입니다.
(+ 학교에 오니까 얼굴이 보이는군요.
사진 B는 "참고"가 맞겠지만, 탐사 보고서를 보라는 것은 다른 문서를 보라는 것이니 "참조"(see)가 맞지 않나요?
원래 있던 첫번째 사진이 호스팅 사이트에서 더이상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아 깨졌습니다. 본사에서도 아래 링크로 교체되었으니 수정해주세요.
다음과 같은 소스를 문서에 옮겨 주셨음 합니다. 문서가 잠겨있는 이상, 이렇게 까지만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div style="float:right; margin:0 2em 1em 2em; width:300px; border:0;"]]
|||| [[image http://scpfoundation.org/087/rf.php width="300px"]] ||
||||~ ^^사진 A: 탐사 I의 비디오 영상에서 골라낸 정지 영상^^ ||
[[/div]]
소스 바꿔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clude component:heritage-rating]]
[[include component:image-block name=http://scpfoundation.org/087/rf.php|caption=사진 A: 탐사 I의 비디오 영상에서 골라낸 정지 영상]]
페이지 잠겨있어서 이미지 소스 바꿔달라고 포스트 쓰려했는데 이미 한번 요청된 상태군요. 그것도 무려 1년 전에
조속히 수정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