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고 보니 저 인식표 구석에 엘더사인(…)이
떡하니 박혀있네요
옐로사인은 덤
'이 가시들은 겉보기에는 키틴질처럼 보이지만, 석탄과 상당한 구조적 유사성이 있으며, 인간 DNA가 포함되어 있다.(원문: These spines appear superficially chitinous and, despite showing strong structural similarities to coral, contain human DNA.)'(40번 주석)
coral이 석탄으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SCP 재단 한국어 위키의 대화방 부관리자입니다.
고도로 비밀스러운 이 단체에 대해 일반 대중은 그 존재조차 전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 가지 예외는 부서진 신의 교단으로, 부서진신은 사르킥을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있다. 일부 사르킥교도들은 유기적 변형에 의해 변칙적 존재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보통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초월하고 있다. 질병은 외경의 대상이 되며, 발견된 사르킥 사원들은 임파선 가래톳과 종양 따위를 공물로 바치고 있었다. 사르킥 숭배는 전염병은 축성(祝聖)이며, “약한 자를 도태”시키는 수단이자, 범속한 이들을 정화시키는 것이라고 믿는다. 때문에 그들은 전염병의 확산을 적극적으로 도모한다.
이들은 매우 비밀스러우며, 일반 대중은 그들의 존재에 대한 어떠한 직접적 지식도 없는 것으로 보인다. 유일한 예외가 부서진 신의 교단으로, 교단은 사르킥을 종말론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다. 질병이 숭배의 대상이 되며, 사르킥 성지들에서는 부풀어오른 임파절이나 자라난 종양이 봉헌된 것이 발견되기도 했다. 사르킥 종교집단은 전염병을 “약한 것을 솎아내고” 범속한 이들을 정화하는 축성이라고 생각하며, 그렇기에 전염병을 적극적으로 퍼뜨리려고 시도한다.
역자님이 편집 과정에서 동일한 내용을 중복으로 기재하신 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원문에서 개정된 부분과 번역 지적을 같이 올립니다.
개괄:
Grand Karcist의 번역 말인데, 계급의 이름이므로 위대한 카르시스트보다 최고(위) 카르시스트가 적절하지 않을까 합니다.
(사진) variations of the seal (and its individual symbols)
이 인장의 변형(및 단일 상징 자체)
단일 상징보다 각 문양들로 번역하는 게 직관적일 것 같습니다.
Adherents practice ritual cannibalism, human sacrifice, corporeal augmentation, thaumaturgy, dimensional manipulation, and the formation of pacts with otherworldly entities.
신도들은 식인 의식, 인신공양, 신체개조, 기적행위thaumaturgy, 차원조작을 일삼는다.
밑줄친 마지막 부분이 빠져 있습니다.
Organic manipulation has allowed certain Sarkicites to achieve anomalous states of being, transcending the physical limitations of baseline humans.
특정 사르킥 교파에서는 생물학적 신체개조가 허용되며, 이는 인간의 물리적 한계를 초월하여 변칙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함이다.
일부 사르킥교도들은 유기적 변형에 의해 변칙적 존재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보통 인간의 신체적 한계를 초월하고 있다.
첫번째는 오역이고, 마지막 문장이 두번째 문단 중간에 잘못 들어가 있습니다.
Sarkic shrines have been discovered with offerings of swollen lymph nodes and tumorous growths.
발견된 사르킥 사원들은 임파선 가래톳과 종양 따위를 공물로 바치고 있었다.
정확히 오역은 아니지만 사원이라는 주어 뒤에 타동사인 바치다가 붙어 사원이 temple로 해석되지 않고 문장이 어색해진 감이 있습니다.
its followers generally poor (if self-reliant),
그 추종자들은 대개 궁벽한 생활을 하고(자급자족이 가능할 경우)
궁벽하다라는 단어는 사전에 '매우 후미지고 으슥하다'라는 뜻으로 나오는데 다른 단어로 대체하는 게 좋아 보입니다. 또 self-reliant는 자립적이라는 뜻에 더 가깝지 않을까요?
It is the right of the Sarkite to guide and cultivate organic matter.
유기물질을 인도하고 일구는 것은 사르카이트의 권리이다.
Sarkite를 다른 부분에서는 사르킥교도로 번역하셨는데 이 부분만 사르카이트로 나와 있습니다.
개념 설명 이후 원사르킥과 신사르킥의 차이점, 언어 등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문화&구조:
might be perfectly acceptable among certain Sarkic cults.
사르킥교도 사이에서는 완벽히 허용 가능한 일이 된다.
특정 종파에서는 완벽히 용인되는 경우도 있다는 인상을 살려주셨으면 합니다.
(위 문장 각주) nothing sacred, nothing taboo.
두려울 것도, 금기도 없다.
신성시되는 것도, 금기시되는 것도 없다, 입니다.
One is generally born into Sarkicism, with new blood introduced through careful selection.
이들 가문에서 태어난 이들이 대개 사르킥에 들게 되고, 새로운 피는 매우 신중한 선정을 거쳐서 수혈된다.
사르킥 교도들은 대개 가문에서 태어난 사람들(또는 모태신앙)이며, 새로운 혈족은 매우 신중한 선정을 거쳐서 받아들여진다는 뉘앙스로 보입니다.
The highest tier reserved for the prophet Ion and no other.
최고위 단계로 예언자 이온 외에는 누구도 이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
문맥상 이온에게만 주어진 계급으로 읽힙니다.
신화:
The Old God (번역은 옛 신들인데 원본은 단수네요) 아래부터 소네 알쿠 이전까지 내용이 추가되었습니다.
역사:
It is written that the words were meant for Lovataar alone and thus, never recorded.
그 말은 로바타아르에게만 의미있는 말이었기에 절대 기록되지 않았다 라고 책에는 적혀 있다.
로바타아르만을 위한 말, 기록된 적이 없다 아닐까요?
아디윔 제국이라는 용어가 없어지고 Kalmaktama 또는 the Deathless Empire로 대체되었습니다.
원사르킥:
솔로모나리The Solomonari의 조상들(각주)
이 부분 각주를 원문처럼 솔로모나리 뒤에 넣는 게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찾아보니 Solomonari는 Solomonar의 복수인 모양입니다.
신사르킥:
(사진) A likely invitation to the November 28, 1952 ceremony
(아디툼 각성회 신도의 시체에서 발견된) 1952년 11월 28일자 초대장.
그 날짜의 의식의 초대장으로 추정된다는 게 적절할 것 같습니다.
생물체: 생물체들을 나누는 형식이 바뀌었습니다. (SK-BIO Type 001 등)
원문 기준으로 1, 3, 7, (12) 22, 35번 각주가 추가되었습니다.
old-adytite-language의 내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고쳐야 합니다.
반대합니다. 애매랑어 (아디툼어)라는 작품 자체가 메타피지션이 작성한 작품도 아니고, Karcist라는 단어는 애초에 메타피지션 창작 단어도 아닌 바, 단어들이 정말 창작인지도 확인하지도 않고, 발음이 정말 애매랑어를 따르는 지도 알려진 바 없는데 바꾸자고 주장하는 것은 과하다고 생각됩니다.
교정 대상에서 카르시스트는 제외하겠습니다. 솔직히 얘기하면서도 카르시스트는 너무 많아서 어떻게 일일이 다 고치나 싶었는데 다행입니다
해당 고유명사가 애매랑어 음운과 맞지 않는 부분(예: z, i̮, ž, w는 애매랑어에 음운으로 존재하지 않음)이 있기때문에 신중히 살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Valkzaron은 Valksaran[발크사란] 어중의 s가 유성음화 된 것 아닌가 싶습니다("파열음과 치찰음은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이 된다." k 뒤에 나타난지라 이거랑은 좀 안 맞긴 합니다마는). 이 경우 'ㅊ'로 쓰는 것보단 현행대로 발크자론이라 쓰는 게 더 낫겠습니다.
Zend는 조로아스터교에서 가져온 것 아닌가 싶습니다. 아베스타어 zaʲnti ("interpretation" 또는 "as understood")가 축약돼서 Zend/Zand가 됐다네요. 영어 위백 참고
이 경우에도 현행대로 젠드라 쓰는 것이 좋겠습니다.
오지르모크, 워리에 대해선 고심해봐야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딱히 메타피지션이 본문이나 포럼에 어원 써놓고 그러진 않은 것 같아서…
Važjuma(Važ "오래된" + juma "신")에 대해선 찬성입니다.
참고로 ž 의 경우 에스토니아에서 /d͡ʒ/ 발음인 것을 확인해서 ㅈ을 유지했습니다.
추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