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ndbox.scp-wiki.kr/scp-3693
SCP-3693 "추신 - 거울로 보는것 같이 희미하게" 번역 비평 받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scp-3693
173의 숨겨진 여동생을 만나 보세요
SCP-3693 "추신 - 거울로 보는것 같이 희미하게"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scp-3693
SCP-3693 "추신 - 거울로 보는것 같이 희미하게" 번역 비평 받습니다
secure storage vault
보안 금고
013의 번역인 '보안 금고'를 따랐습니다.
Despite being visible through closed eyelids,
감긴 눈꺼풀을 통과하여 볼 수 있음에도,
통해->통과하여
can be acted upon physically
물리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무래도 움직이는 조각상이다 보니 햇갈렸나 봅니다.
Hashima Island, Japan
일본의 하시마 섬
'일본' 추가
to continue their examination of the site
해당 구역에 대한 조사를 계속하기 위해
위의 번역과 동일하게 수정
The basement could no longer be located
지하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보이지->존재하지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거북이는 언제나 거기에 있어" 번역 비평 받습니다.
비평 올립니다.
따로 비평에 포함하진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자잘한 오타가 눈에 띄는데 한번 더 검수해주시길 바랍니다.
contained in Level-4 Biohazard Containment Cells, with no more than 1 instance per cell
각 단위당 1개체가 넘지 않도록 4등급 생물재해 격리 단위에 격리
단위는 unit의 번역어로 혼동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격리실로 두어도 괜찮을 듯합니다.
SCP-2810-1 개체들의 조사와 무력화를 위해 배치되어 있다.
배치 부분 원문이 tasked인데, 기동특무부대가 어디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므로 배치라는 번역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복합체들이 많은 경우 크기로 인해 세포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음에도,(기체 교환 등) 감염된 생명체(SCP-2810-1로 지정함)와 그것의 구성물들은 건강 상태가 극도로 나쁨에도 불구하고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다.
이 문장은 다소 어색하고 이해가 어렵습니다. 첫번째 절을 '대부분의 복합체가 세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크기이나~' 식으로 다듬는 것이 어떨까요?
이러한 열매들은 보통 감염되지 않은 식물이 만들어낸 열매의 조잡한 복사본으로 여겨진다.
'여겨진다'로 번역하신 부분의 원문은 tends입니다. 한번 더 확인해주세요.
감염된 생명체(SCP-2810-1로 지정함)와 그것의 구성물들은 질병, 돌연변이, 독극물에 면역이고, 수명은 급격하게 늘어난다.
앞에 become이 붙어있으므로 통일을 위해 면역이 되며~ 로 수정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Infected animals may engage in dermatophagia and dermatillomania, which in turn often develops into autosarcophagy
감염된 동물은 자기 식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피부 물어뜯기나 벗겨내기에 열중할 수 있으며
이걸 원문대로 조금 더 전문적인(?) 용어로 바꿀 수 있을지 생각해봤는데 개인적으로 autosarcophagy는 자교증/자가탐식/자식증 정도, dermatillomania는 표피박리가 괜찮은 후보 같습니다.
그리고 별칭의 번역은 동명의 소설 번역명을 염두에 두신 건가요?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언제나 거북이가 아래에 있어"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Captive instances of SCP-2810-1 kept for study
연구를 위해 보관된 SCP-2810-1의 포획된 개체들은
captive와 kept for study를 모두 살리니 표현이 중복되는 것 같습니다. 더 나은 방법이 있을까요?
Despite the size of the composites precluding cellular function in many cases
대다수 복합체의 크기가 많은 경우 세포 기능(기체 교환 등)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한 수준임에도
원래 번역이 어색하다는 의견이 많아서 고쳤습니다.
Infected animals may engage in dermatophagia and dermatillomania, which in turn often develops into autosarcophagy,
감염된 동물은 자기 식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자교증이나 표피 박리에 열중할 수 있으며,
원래는 구글에 쳐도 번역어가 없길래 의미만 살려서 직역했습니다. 용어 제시해주셔셔 감사합니다.
Infected plants produce very little fruit, and any fruit produced tends to be a poor facsimile of the fruit of an uninfected plant.
감염된 식물은 매우 적은 열매를 만들어내고, 이러한 열매들은 보통 감염되지 않은 식물이 만들어낸 열매의 조잡한 복사본이다.
작은->적은
'보통'에 tends to가 들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instances of SCP-2810-1 become totally immune to all other known diseases, mutagens, and toxins, and have drastically increased lifespans.
SCP-2810-1 개체는 알려져 있는 다른 모든 질병, 돌연변이, 독극물에 면역이 되며, 수명은 급격하게 늘어난다.
'급격하게 늘어난 수명을 가진다' 에서 고쳤습니다.
'면역이며'에서 '면역이 되며'로 고쳤습니다.
Lambda-12 used flamethrowers to kill the creature, which was found to be composed of millions of SCP-2810-1 instances.
람다-12는 후에 수백만의 SCP-2810-1 개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밝혀진 해당 생물을 죽이기 위해 화염방사기를 사용했다.
'후에' 추가
별칭 번역은 소설 제목보다는 관용구에서 따온 것 같습니다. 근데 'all way down'이 사방팔방으로 번역이 되어서 굳이 '아래'를 넣어야 하는가는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소설 제목 번역이 더 마음에 듭니다.)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언제나 거북이가 아래에 있어"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피드백은 위 글에 있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언제나 거북이가 아래에 있어"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피드백은 위 글에 있습니다)
주말까지 비평이 없다면 월요일쯤 올리겠습니다
비평 올리겠습니다. "주말까지 비평이 없다면"이란 말씀은 주말 초반에(금요일 밤 ~ 토요일 아침) 하신다면 더 여유 있지 않았을까 하네요.
별칭은 소설에서 이 부분에 등장했네요.
"이 세상은 거대한 거북이 등 위에 있어."
"그럼 그 거북이는 어디 서 있지?"
"더 큰 거북이 위에 서 있지."
"그럼 그 거북이는 어디 서 있는데?
"이해를 못했나 보네. 거북이들이 아래로 쭉 다 있는 거야(It's turtles all the way down)."
일명 무한 후퇴라는 개념을 설명할 때 자주 튀어나오는 예인가 보네요.
should be contained in Level-4 Biohazard Containment Cells, with no more than 1 instance per cell.
각 단위당 1개체가 넘지 않도록 4등급 생물재해 격리실에 격리되어야 한다.
cell이 똑같아져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Microscopic examination reveals that / these cellular-sized composites are / themselves composed of exponentially smaller composites / carrying out their bodily functions, which in turn are composed of smaller copies, and so on.
인간이 인간으로 이루어졌는데, 그 인간이 인간으로 이루어지고, 또 그 인간이 인간으로 이루어졌다는 내용이네요. 번역체 때문에 번역글이 잘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composite는 저 모양 그대로 사전을 찾아볼 게 아니고, composite organism이라고 생각해야 맞을 것 같습니다. 본질적으로는 읽는 입장에서 그냥 "생물"(생물을 이루는 생물)이라고 생각하게 될 단어네요.
- 제가 자주 드리는 말씀인데 이런 문장은 "앞에서 뒤로" 번역하면 효과가 좋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언어 수식관계를 굳이 살리려 하지 말고, 원문의 전개 그대로 번역글을 읽는 방식입니다. "현미경 검사 결과 / 이 세포 크기 생물들 / 자체 또한 기하급수적(exponentially)으로 작은 생물로 이루어지고 / 그 생물들이 각자 신체 기능을 수행하며 ~" 같은 방식으로?
Composites do not respond to any external attempts at communication despite replicating cell signaling of their host organism.
여기도 "앞에서 뒤로" 읽을 만한 글입니다. despite ~ing을 but ~ 이라 생각하고 번역해 주세요. "(despite 뒤의 내용)이긴 해도 (despite 앞의 내용)"이라는 논리가 성립할 문장이 아니고, despite는 앞뒤로 내용이 반대된다는 뜻이 제일 중요하지 꼭 "불구하고"라고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바로 다음 문장 despite가, 어떤 현상에 대해서 얼핏 불리한 전제를 맨 먼저 말한다는 점에서 "불구하고"에 걸맞습니다.
Despite the size of the composites precluding ~
세포 크기 인간의 세포 크기 인간의 세포면 엄청 작기 때문에 기체 교환이 안 된다는 내용은 아닐까 싶습니다.
albeit in extremely poor health.
"비록"을 넣으면 매끄러워질 것 같습니다.
Infected animals may engage in dermatophagia and dermatillomania, which in turn often develops into autosarcophagy,
여기도 derma 시리즈가 먼저 등장했다가 autosarcophagy가 등장하는 쪽이 좋습니다. 작은(작나…?) 병이 발전해서 큰 병이 된다는 설명인 만큼…
cognitive abilities, stamina, and coordination.
stamina는 "체력", coordination은 "협응성"이 더 어울리는 것 같네요.
Infected plants produce very little fruit, and any fruit produced tends to be a poor facsimile of the fruit of an uninfected plant.
- 열매를 "맺다"라고 하시면 어떨까요?
- 의지를 가지고 베껴서 만들어진게 아니고, 그냥 만들어졌는데 비슷하다면 "복사"는 걸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Infected fungi and protists have weakened cell walls, and tend to be sterile.
빠뜨리신 부분입니다.
It was not deterred by traditional insect-repellant measures,
이게 살충제만 가리키지는 않을 텐데요…
Lambda-12 used flamethrowers to kill the creature, which was found to be composed of millions of SCP-2810-1 instances.
묘사상으로 보니까, 람다-12가 거대 모기 죽이려고 화염병을 던졌는데, 그래서 죽었는지는 모르지만 알고 보니 거대 모기가 다른 작은 모기들로 이루어져 있었단 걸 알아냈다는 말 같네요. 이 문장은 특히 "앞에서 뒤로"가 필요합니다. "후에 ~한 해당 생물을 죽이기 위해 화염방사기를"이라고 쓰면 아예 틀려요. 이 문장은 사건순으로 이해해야 맞고, 그래서 화염방사기를 쓸 때 재단이 모기가 모기로 됐는지 몰랐다면, (나중에 알았든 계속 모르든) 독자도 그때까지는 똑같이 몰라야 합니다.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번역 비평은 계속 받습니다
별칭은 소설에서 이 부분에 등장했네요.
그렇다면 'Turtles all the way down'의 번역이 제목과 본문에서 다르단 말인가요? 또 이것이 이미 있는 관용구를 소설에서 인용한 거라면, 소설의 번역을 따르는 것이 맞는 걸까요?
cell이 똑같아져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둘 다 격리실로 바꿨습니다. cell을 격리 단위에서 격리실로 바꾸라는 의견이 있었는데 그때 하나 빼먹은 모양입니다.
composite는 저 모양 그대로 사전을 찾아볼 게 아니고, composite organism이라고 생각해야 맞을 것 같습니다. 본질적으로는 읽는 입장에서 그냥 "생물"(생물을 이루는 생물)이라고 생각하게 될 단어네요.
싹 다 생물로 바꿨습니다. 이게 훨씬 보기 좋네요.
제가 자주 드리는 말씀인데 이런 문장은 "앞에서 뒤로" 번역하면 효과가 좋을 수도 있습니다. 다른 언어 수식관계를 굳이 살리려 하지 말고, 원문의 전개 그대로 번역글을 읽는 방식입니다. "현미경 검사 결과 / 이 세포 크기 생물들 / 자체 또한 기하급수적(exponentially)으로 작은 생물로 이루어지고 / 그 생물들이 각자 신체 기능을 수행하며 ~" 같은 방식으로?
여기도 "앞에서 뒤로" 읽을 만한 글입니다. despite ~ing을 but ~ 이라 생각하고 번역해 주세요. "(despite 뒤의 내용)이긴 해도 (despite 앞의 내용)"이라는 논리가 성립할 문장이 아니고, despite는 앞뒤로 내용이 반대된다는 뜻이 제일 중요하지 꼭 "불구하고"라고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바로 다음 문장 despite가, 어떤 현상에 대해서 얼핏 불리한 전제를 맨 먼저 말한다는 점에서 "불구하고"에 걸맞습니다.
여기도 derma 시리즈가 먼저 등장했다가 autosarcophagy가 등장하는 쪽이 좋습니다.
묘사상으로 보니까, 람다-12가 거대 모기 죽이려고 화염병을 던졌는데, 그래서 죽었는지는 모르지만 알고 보니 거대 모기가 다른 작은 모기들로 이루어져 있었단 걸 알아냈다는 말 같네요. 이 문장은 특히 "앞에서 뒤로"가 필요합니다.
원문 어순을 최대한 따랐습니다. 다만 세번째 경우는 꼭 수정해야 하는지 의문입니다.
세포 크기 인간의 세포 크기 인간의 세포면 엄청 작기 때문에 기체 교환이 안 된다는 내용은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긴 해도 원문에서는 기체 교환이 예시로 나왔으니까요.
"비록"을 넣으면 매끄러워질 것 같습니다.
stamina는 "체력", coordination은 "협응성"이 더 어울리는 것 같네요.
반영완료. 의학 용어 관련해서 신세를 많이 지는군요.
의지를 가지고 베껴서 만들어진게 아니고, 그냥 만들어졌는데 비슷하다면 "복사"는 걸맞지 않은 것 같습니다.
'모조품'으로 바꿨습니다.
빠뜨리신 부분입니다.
반영했습니다. sterile은 중위키 번역본을 참조하여 '번식 불가' 정도로 번역했습니다.(여담으로 일위키 번역에서는 이 문장이 아예 빠져 있습니다.)
이게 살충제만 가리키지는 않을 텐데요…
'살충 조치'로 바꿨습니다. traditional은 '일반적인'으로 의역했습니다.
- 별칭은 저 말의 유래를 파악하고, 저 말 속에 들어 있는 무한성을 2810 내용의 무한성하고 어떻게 결부지을지 생각해 보고, 그 다음에 어떻게 할지 결정할 문제 같습니다. 물론 저 소설의 번역 그대로 하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그 무한성이라는 요소를 고려했을 때 그런 결론이 나왔다면 채택하는 거지 "그냥 소설에 나왔으니까" 채택하는 건 부적절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렇긴 해도 원문에서는 기체 교환이 예시로 나왔으니까요.
- 뭐지…? 무슨 뜻인지 모르겠네요. 생물의 크기가 많은 경우 세포 기능을 수행 못 한다, 여기가 이상합니다. 문법상 크기는 "많고 적을" 수가 없어서만이 아니라, 말씀드린 이유 때문에 원문에서 "크기 때문에"라는 부분이 있으면 "크기가 작기 때문에"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해서 드렸던 말씀입니다.
이게
생물의 크기가/ 많은 경우—- (즉 대다수의 경우)
이런 식으로 쓴 거였습니다. 다시 보니 앞의 '대다수'와 의미가 겹쳐서 고쳤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quilt
SCP-2810 번역 비평은 계속됩니다
http://sandbox.scp-wiki.kr/head-transplant
승인 요청서: 노화 장애 불멸성에 대한 치료법으로서의 정체성 영속을 위한 두뇌 이식의 완전화
(GRANT REQUEST FOR THE PERFECTION OF BRAIN TRANSPLANTS FOR IDENTITY PERPETUATION AS TREATMENT FOR AGE-IMPAIRED IMMORTALITY)의 번역 초안입니다.
비평 올리겠습니다.
Consider the current rate of bodily degradation,
이 rate는 "속도"가 더 알맞지 않을까 싶네요.
Once total organ failure, and the resultant growth of bacteria colonies becomes a universal aspect of life, it is more apt to say that live decomposition stands to be the inevitable, penultimate condition of humanity, followed by whatever sensations can be provided once the brain is all that remains.
죽끝 세계관에서 올 신체 장기부전 + 이에 따른 세균 집단 성장이 "일반적인" 죽음이 되어버린 상황에서, 산 채로 썩는 건 죽음의 마지막 단계가 아니라 끝에서 두 번째 단계고, 진짜 마지막 단계는 뇌밖에 남아 있지 않은 상태에서 감각만을 (무슨 감긱인진 몰라도) 느끼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어떻게 뜻이 틀렸다고는 못하면서도 번역글이 다소 이해하기가 어렵네요. 밑줄 친 부분은 본질적으로는 sensations 한 단어를 길게 늘렸다고 생각해 주세요.
The idea of brain transplants, also known as full-body transplants,
이 aka는 or인 것처럼 생각해 주세요.
successfully transplanting a brain, and by extension an identity, into another body is viable and possible.
두뇌 이식이 viable and possible함이 증명되었는데, 이걸 더 넓게 해석하면[by extension] 정체성도 이식 가능하다는 뜻이 됩니다.
그 결과로서, 화이트의 실패는 ~
이식된 장기와 숙주의 신경계 사이의 매개체로 작용함으로서
"로써"로 해 주세요.
Natural synthesis, if successful, would lead to surgical personnel treating the tissue at the point of connection
천연 합성이 성공하면, treating the issue ~ 하는 surgical personnel이 등장할 수 있게 됩니다.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utilizes a localized immune system that avoids an inflammatory response,
- "중추 신경계"네요.
- localized라는 게 "신경계끼리만 작용하는 면역 체계"라는 뜻 아닐까 싶습니다.
the peripheral, more volatile immune system
"불안정한"이 더 걸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The implanted brain and the host's CNS must become acclimatized to one another
"서로" 융화해야 한다는 말이네요.
during and immediately post-surgery
"수술 직후 즉시"가 알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just as reconstructive surgery is sold to both celebrities and war veterans.
우리말로 읽을 때 "수술을 판매하다"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this would relegate the cosmetic surgery industry to a position of point changes.
어떤 좁은 부위만 포인트로 잡고 고치려고 하는 걸 가리키는 말 같네요.
Maximum profits can not be expected by simultaneous deployment.
이게 development가 아니라서, "둘 다 동시에 손을 댄다" 같은 식으로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demand for an apparently non-existent service rises
의료적 서비스가 성행하게 될 때, 이걸 쫌만 다르게 응용해서 내 몸 내가 고치고 싶다는 "아직 없는" 서비스를 바라는 사람이 많아질 때를 말하는 것 같네요. apparently는 별 뜻이 없기 때문에 그냥 무시하는 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The lack of a projected time-frame will be addressed.
개발 시간을 엄밀하게 정해놓지 않았다는 뜻이네요. 번역글만 보면 "저희가 이 글 대충 쓴 이유는 나중에 나옵니다"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As RNTS is fundamentally concerned with developing a critical substance that is introduced to the patient(s) prior to operation,
critical substance가 빠진 듯이 번역이 되었네요.
viable test subjects for any and all of the pillars
줄기세포처럼 다 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어떤 분야든 그 각각의 대상을 말하네요.
비평대로 고치면서 난관이 있었던 부분들입니다.
just as reconstructive surgery is sold to both celebrities and war veterans.
우리말로 읽을 때 "수술을 판매하다"라는 표현이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유료로 제공되다'로 바꿔 보았습니다.
this would relegate the cosmetic surgery industry to a position of point changes.
어떤 좁은 부위만 포인트로 잡고 고치려고 하는 걸 가리키는 말 같네요.
'부분 성형의 영역까지 몰아내다'로 바꿨습니다.
demand for an apparently non-existent service rises
apparently는 별 뜻이 없기 때문에 그냥 무시하는 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그냥 '존재하지 않는'만 있으면 이해에 어려움이 있을 것 같아, apparently를 외부에서, 즉 '고객이 볼 때'로 옮겨 보았습니다.
viable test subjects for any and all of the pillars
줄기세포처럼 다 쓸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어떤 분야든 그 각각의 대상을 말하네요.
'모든 단일 분야'로 바꾸었습니다.
피드백 외의 다른 질문입니다.
The former is most problematic for the commercial service as the customers who pay for the luxury of choosing a new body will be discriminate and not accept just any body.
전자는 상업적 서비스에 있어 돈을 지불한 고객이 사치품으로서 새 몸을 고르는 것에 있어 차별적이고 또 아무 몸이나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주된 문제가 됩니다.
discriminate이 의미상 choosing a new body와 연결된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적절할까요?
http://sandbox.scp-wiki.kr/head-transplant
'승인 요청서: 노화 장애(중략)두뇌 이식의 완전화'의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이 형용사 discriminate은 사전에 수록하기 딱 좋은 뜻으로는 "차별화된"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시면 좋습니다. 차별화된 품격! 뭐 그런 용례가 있죠…
http://sandbox.scp-wiki.kr/head-transplant
죽음의 끝 1부 4번째 이야기인 승인 요청서: 노화 장애 불멸성에 대한(중략)두뇌 이식의 완전화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head-transplant
죽음의 끝 1부 4번째 이야기인 승인 요청서: 노화 장애 불멸성에 대한(중략)두뇌 이식의 완전화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비평 올립니다.
크롬 에디터 오류로 추정되는데, 쟁점 부분 세번째 문단 중간에 내용이 처음부터 반복됩니다.
아래는 단순 단어 오역으로 보이는 것들입니다.
- sensory cells 감지 세포 → 감각 세포
- atherosclerosis 관상동맥경화증 → 죽상경화증
- the average lifespan hovered at around 30 years 평균 수명이 30세를 조금 넘는 정도 → ~ 30세를 맴도는 정도
- total organ failure 전체적인 장기부전 → 총체적 장기부전
- constant alternative 일정한 대체재 → 변함없는 대체재
- in mostly perfect health 대부분 완전히 건강한 상태에서 → 거의 완전히/완벽히 건강한 상태에서
- more or less 어떤 수준이든 → 사실상?
- regenerative nervous tissue used 재생 조직의 이용 → 사용된 재생 가능한 신경 조직
- essential pillars of focus 주요 중심 분야 → 필수 중심 분야
- ventures 벤처기업 → 벤처사업
Currently, the body continues to age as normal, even if the brain does not.
현재, 신체는 계속 일반적으로 노화하지만, 두뇌는 그렇지 않습니다.
두뇌와 다르게 신체는 계속해서 일반적으로 노화한다는 걸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국어 문장 순서로는 두번째 절이 첫번째로 오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His brain and head transplant experiments, complemented by further experimental data, indicate that successfully transplanting a brain, and by extension an identity, into another body is viable and possible.
그의 두뇌와 머리 이식 실험은 다른 몸으로 두뇌와 정체성을 이식하여 살아남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실현할 수 있다는 다른 실험적 데이터에 의해 보충되었습니다.
그의 ~ 실험은 다른 실험적 데이터와 함께 ~ 가능하며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 large, if not the singular, reason why spinal cord injuries are so severe
척수 손상이 심각한 이유 중 유일하진 않으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if not이 들어 있으므로 조금 의역을 하면 "유일하지 않을지는 몰라도"에 가깝겠습니다.
damage often, and permanently, becomes more severe after initial injury until multiple connections are permanently severed, with only experimental drugs providing partial relief
빈번하고 영구적인 손상이 초기의 손상 이후 여러 연결이 영구적으로 끊어질 때까지 가해지며, 이러한 손상이 실험적 약물로만 부분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 식으로 자연스럽게 고치면 "손상은 여러 접속부가 영구히 끊어질 때까지 첫 부상 이후 빈번히 또 영구적으로 심해지며, 이러한 손상이 실험적 약물로만 일부 완화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정도 되겠습니다.
Natural synthesis, if successful, would lead to surgical personnel treating the tissue at the point of connection so that both brain and nervous system can heal into one another and, thus, communicate.
천연 합성물은 성공적일 경우 두뇌와 신경계의 연결부분에 적용되어 두 부분이 서로 치유되어, 소통할수 있게 하는 수술적 방법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surgical personnel 부분 안 고치신 건가요?
이후 나오는 CNS는 중추신경계로 대체하는 게 좋겠습니다. 영어에선 약어를 쓰는 것이 자연스러울지 몰라도 한국어 번역어가 존재하는 상황에선 더 헷갈릴 듯합니다.
New elements to differentiate the commercial from the medical service would have to be in place.
상업적 서비스에는 의료적 서비스와 차별화되기 위한 새로운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would have to be면 상당히 강한 투인데요.
The lack of a projected time-frame
시간 계획의 부재
뒤에서 나오지만 "예상 기간"에 가깝습니다.
keeping all of our research and development in-house
모든 연구를 내부적으로 유지하는 것
development가 빠졌습니다.
Most pertinent materials and resources are already in stock, can be synthesized in laboratory settings, or acquired from both civilian and outside parties.
적절한 재료와 자원은 대부분 이미 축적된 상태이며, 실험실에서 합성 가능하거나 민간과 외부 단체에서 획득할 수 있습니다.
already in stock 바로 다음에도 or가 있는 것처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The patient should be able to live out the host body’s life as normal.
환자는 숙주의 삶을 평범하게 살아갈 수 있어야 합니다.
뇌 이식 환자가 새 몸에서 평범한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일 텐데요… body가 빠지면 문장이 이상합니다.
this will be the most expensive pillar.
이것이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초점이 될 것입니다.
pillar가 계속 (중심) 분야로 번역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만 초점일 이유가 있나요?
Funding will be dedicated to sustaining surgical professionals who will be tasked with developing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both the removal and implantation of brains.
자금은 두뇌의 제거와 이식의 표준 과정의 개발을 맡은 수술 전문가를 유지하는 데 사용될 것입니다.
조사 ~의가 너무 많이 들어가는 느낌인데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미래형이라 개발을 '맡을'이 적절할 듯도 하고요.
it should only be initiated following success in the other two objectives
다른 두 개의 목표가 달성되었을 때만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should가 have to처럼 번역되었네요.
the very state of existence this project is striving to prevent.
이러한 상태가 이 프로젝트의 장애물입니다.
앞의 두 a perfect operation ~ 문장은 with 뒤 only가 있는 것처럼 번역하면 어떨까요? 이 문장에선 프로젝트가 striving to prevent 하는 것을 장애물이라고 표현하긴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recycled for future tests
더 많은 실험을 위해 재사용
번역체로 보입니다. "향후 실험에서 재사용" 정도가 매끄럽겠습니다.
viable test subjects for any and all of the pillars can be solicited from the Foundation or the black market, if absolutely necessary.
모든 단일 분야에 알맞고 살아있는 실험 대상들은 정말 필요한 경우에는 재단이나 암거래상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습니다.
test subject는 실험체/피실험체가 적절하지 않을까요? if absolutely necessary는 black market에만 붙어 있는 걸로 보이고, '암거래상' 또한 시장보다는 개인을 드러내는 표현 같습니다.
there is the lack of expected amount of time needed/desired to complete these objectives.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예측되는 필요/요구 시간은 부족합니다.
위에서 나왔듯 예상되는 기간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something must be done with the host’s brain which will, as of now, continue to live whether or not it's in a body
몸 안이든 밖이든 생명을 유지하는 숙주의 뇌에 무언가를 해야만 합니다
죽음의 끝 카논 시점이라 들어갔을 as of now가 빠졌네요.
We have yet to develop the technique needed to create fully functional human bodies that are only missing a brain.
우리는 뇌만을 가지지 않은 완벽하게 작동하는 인간의 몸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아직 개발해야 합니다.
have yet to~ 는 아직 ~하지 않았다/못했다입니다.
The former is most problematic for the commercial service as the customers who pay for the luxury of choosing a new body will be discriminate and not accept just any body.
전자는 상업적 서비스에 있어 돈을 지불한 고객이 사치품으로서 새 몸을 고르는 것이 차별성을 요구하고 아무 몸이나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주된 문제가 됩니다.
전체적으로 문장이 어색합니다. customers~는 '새 몸을 직접 고르려고 돈 내는 부자 고객들은 까다로울 거다' 정도 뉘앙스로 이해하면 되실 것 같고, 마지막은 원문 순서대로 정렬하여 '상업적 서비스 면에서 가장 문제' 정도가 어떨까 합니다.
재생 가능한 신경 조직 합성
용어에 부사를 붙이기보단 그냥 '재생 가능 신경 조직 합성'이라고만 해도 될 것 같습니다.
혹은/이고
본문에 충실한 번역이라고 생각되나 한글로는 좀 이상하게 느껴집니다. '혹은' 이라고만 해도 괜찮지 않을까요? 범죄자이면서 혼수상태인 케이스는 '혹은'에 전부 포함될 듯 싶습니다. 또는 그냥 풀어서 설명해도 될 듯 싶네요.
인도적이라고 판단된 버려진 뇌를 보관하는 어떤 방법
앞의 부사구의 어순을 좀 바꾸면 덜 어색할 듯 싶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quilt
'저승사자 은퇴하다'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비평 올리겠습니다.
그녀의 아버지가 돌아가야 했을 때
있을 법한 용례라면 "돌아가시다"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She found a nice seat next to the window where she v leaned her head against the glass.
v친 자리에 could가 있으면 지금 번역이 맞는데, 이 상태에서는 where에서 문장 의미를 끊었으면 좋겠습니다.
She could take some good guesses,
대충 알아맞힐 수는 있다는 말 아닐까 싶습니다.
that's a fast way to feel uncomfortable in your own skin.
이거 in one's skin이라는 idiom을 은연중에 이용하는 중의적 표현이네요.
Joyce paused the song and took off her headphones.
빠뜨리신 부분입니다.
"You know, if you didn't wear ~
뭐 이런 식으로 쓰이는 you know는 그냥 뜻이 없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제가 드리는 이 말 맨 처음의 "뭐"가 별 뜻이 없듯이요…
묘비문을 여전히 읽을 수 있었다:
이런 쌍점은 마침표로 바꿔주세요.
계들이 말해주는 것들
사후세계 예기. (여러 번?)
"걔", "얘기"로 해 주세요.
It carried her through the rain, to the bus, and back home to the three room flat across the city, where Joyce collapsed on the couch, stared at the ceiling, and just kept listening to her music.
이것도 where에서 끊어야 적당할 것 같습니다.
You know, they don't give you your full security credentials back ~
you know가 이 글에서 세 번 나오는데, "너도 알다"라는 뜻을 아예 생각하지 마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이 문장은 절대 그런 뜻으로 받아들일 내용이 아닙니다. 지금 알려주는 정보인걸요…
있을 법한 용례라면 "돌아가시다"만 가능할 것 같습니다.
'돌아가셔야 했을 때' 로 수정
v친 자리에 could가 있으면 지금 번역이 맞는데, 이 상태에서는 where에서 문장 의미를 끊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녀는 창문 옆의 좋은 자리를 발견했고, 거기에 앉아 창에 머리를 기댔다.' 정도로 잘랐습니다.
이거 in one's skin이라는 idiom을 은연중에 이용하는 중의적 표현이네요.
comfortable in one's skin이 자신에 대해 만족스럽다는 정도의 뜻이더라고요. '자기 자신이 빠르게 불편해질 터였다.'로 바꿔 보았습니다.
이것도 where에서 끊어야 적당할 것 같습니다.
일부러 은율을 주었다는 인상이 있는 부분이라서, where에서 끊기가 좀 어렵습니다. 적당한 대안이 있을까요?
특히 이 문장은 절대 그런 뜻으로 받아들일 내용이 아닙니다. 지금 알려주는 정보인걸요…
발신인/수신인 모두 재단 경력이 있고, 조이스도 재단 데이터베이스를 뒤졌던 전적이 있으니까 보안 인가에 대해선 조이스도 안다고 봅니다. 따라서 지금 처음 알려주는 정보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 방 세개짜리 아파트로 이끌어, 그녀는 ~ 듣고 있었다.
이렇게 하면 어떨까요? 말씀드리려던 핵심은 동사 carry가 where 이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그 몸은 그녀를 빗속으로, 버스로, 도시 가운데 방 세개짜리 아파트로 귀가할 때까지 이끌어, 조이스는 카우치에 쓰러져, 천장을 바라보며, 그저 계속 노래를 듣고 있었다.
where 뒤의 뜻까지 모두 살린다면 이쪽이 낫겠군요.
http://sandbox.scp-wiki.kr/quilt
'저승사자 은퇴하다'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http://scpkosb.wikidot.com/draft:5983488-2-04ca
늦어서 죄송합니다. 개체수 조절(됨)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http://scpkosb.wikidot.com/draft:quilt-9-352d/comments/show
SCP-3448 "반내세"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http://scpkosb.wikidot.com/draft:quilt-13-5320
SCP-5005 "등불"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http://scpkosb.wikidot.com/draft:quilt-13-5320
SCP-5005 "등불" 번역 비평을 계속 받습니다.
http://scpkosb.wikidot.com/draft:quilt-16-8c95
SCP-123 "격리된 미니어처 블랙홀"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http://sandbox.scp-wiki.kr/scp-5855
SCP-5855 "풋 바이 더 프룻" 번역 비평을 받습니다. 여기 아니면 대화방에서 비평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