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이제야 올리게 되네요. 처음에는 농담으로 그냥 잘 안보여서 그늘로 들어가게 하는 프로그램에서, 진지하게 시각적으로 작용하게 하고, 또 시청각적으로 영향을 주려다 기억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바뀌였군요.
지금까지 비평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아아아!
제가 여기에 뭐라고 비평을 해 드렸었죠?;; 이상하게도 제게는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았어요.
요새 메타 SCP 에 너무 많이 익숙해져서 그런가…? 아무튼 이 작품에는 -1 을 하겠습니다.
그래도 기본기가 있으시니 다음에는 기대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메타 SCP는 이제 너무 식상하네요.
그리고 전자적으로 저장된 문서는 연해지는게 아니라 조금씩 삭제되는게 더 합당하지 않나요?
연해진다면 그냥 드래그하면 끝이지 않습니까?
음성 파일도 마찬가지고요.
컴퓨터 바이러스가 컴퓨터 밖에서도 영향을 끼친다는것도 마이너스의 요소였습니다.
차라리 바이러스가 아니라 변칙적인 무언가가 더 그럴듯 하네요.
그리고
기록의 유실이 %단위가 아니라 기록의 세기(글씨의 명도, 소리의 크기 등)이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깎아내리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검정색, 회색, 흰색으로 된 그림을 볼 경우 감염이 진행되면서 검정색과 흰색의 구분이 불가능해지고 완전히 감염될 경우 모든 색의 구별이 불가능하다.
여기서는 회색과 흰색의 구분이 먼저 불가능한게 아닌가요?
추가로 레코드판이나 오르골같은 매체는 어떻게 감염되는지 궁금하네요
챗방에서 이미 나왔던 주제인 건 알지만, 저는 페이드 아웃 바이러스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 The terms fade-out and fade-in are used to describe a transition to and from a blank image.
페이드 아웃과 페이드 인이라는 용어는 빈 화면으로, 혹은 빈 화면에서 전환되는 효과를 말한다.
fade-in noun
a film-making and broadcasting technique whereby an image is made to appear gradually or the volume of sound is gradually increased from zero. the film begins with a fade-in to an exterior scene.
상이 천천히 나타나거나 소리의 음량이 0에서 천천히 증가하게 하는 영화 제작 및 방송 기술. 그 영화는 야외 장면으로 페이드 인 되면서 시작한다.
-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fade-out noun
a film-making and broadcasting technique whereby an image is made to disappear gradually or the sound volume is gradually decreased to zero. the fade-out before each ad break.
상이 천천히 사라지거나 소리의 음량이 천천히 0으로 줄어들게 하는 영화 제작 및 방송 기술. 광고 시간 이전의 페이드 아웃.
-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이 경우에는 영상의 경우 페이드 인, 소리의 경우 페이드 아웃이 되겠군요.
뭐 둘이 같은 걸로 했을 수도 있겠지만, 변칙 현상이 꼭 우리의 기준에 맞춰 나타나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결론은 페이드 인, 아웃 둘다 될 수 있겠네요. 아예 다른 별칭을 찾아보는 게 좋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