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만들었어요. 지금은 이 컴포넌트 페이지 제외, 딱 한 페이지에만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금 번역 비평 기다리는 글들 중에 BHL 테마 쓰는 글이 있길래 말씀드려 봅니다.
이 테마는 큐빅님이 생성한 페이지로 남아 있기 때문에, [[include component:black-highlighter-theme-dev]]라고 쓰셔도 샌박에서 테마가 적용은 됩니다. 문제는 큐빅님이 지금 활동을 안 하시는데, 그 페이지에는 폰트가 제대로 반영이 안돼서(그냥 고딕 나옵니다) 뭐랄까 다소 멋없을(?) 수도 있습니다. 제가 당부드리기로는, 샌박 사용 시에는 웬만하면 [[include :scpko:component:black-highlighter-theme-dev]]라고 써 주세요. 딱 여섯 글자 추가하는 걸로 한국어 본위키의 테마를 그대로 갖다쓰실 수 있습니다.
위 드럼님 말대로 지금, 이 테마 적용 시 검은 블록(█, U+2588, 일명 "김가루")이 제대로 표시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full block이어야 할 김가루가 옆에 옆에끼리 딱 붙지 않아서 단속적인 네모들로 표시되는 상황인데요. 이 문제는 지금 주 폰트로 적용 중인 나눔바른고딕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는 네 가지가 있습니다.
- 김가루만 다른 폰트를 적용한다
몇 시간 구글링해 보니까 특정 문자에만 다른 폰트를 적용하는 방법도 있긴 있는 모양입니다. 그런데 import랑 font-face를 어떻게 배치해야 하는지, 꼭 woff 파일을 다운받아야 하는지, 지금 제가 원하는 상황(김가루만 적용시키기)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일단 어떻게 하는지만 알면, 소스도 진짜 한두 줄만 고치면 되고, 다른 문자가 이상이 생겨도 똑같은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한, 제 생각엔 가장 이상적인 방법입니다. 아시는 분 제발 제보해 주세요.
- 폰트를 변형한다
지금 이 문제는 특정 글자 하나에서만 발생하는 문제기 때문에, 김가루를 다른 폰트의 형상대로 표시되도록 폰트 파일을 수정할 수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작권이야 그렇게 문제는 없겠는데, 이 방법은 제가 옛날에 그렇게 할 수 있다는 것만 알고 제대로 살펴본 적도 없어서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이것도 소스 고칠 군데는 적습니다.
- 다른 폰트를 찾는다
간단한 축에 속합니다. 어떤 폰트든 웹폰트 형식(woff)으로 바꾸기는 굉장히 쉽기 때문에, 앞의 두 방법에 비하면 준비과정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단, 본고딕, 푸른전남체는 안됩니다. 푸른전남체는 제가 제일 먼저 소개는 했지만 사실 웹폰트로 사용하기 부적합한 폰트고(라이선스상 변형 불가능), 본고딕은 몇 번 적용해 봤는데 폰트도 고르지 못하고 너무 멋이 없습니다. 라이선스 괜찮고 생김새 예쁜 고딕 폰트가 절실합니다.
- 무시한다
"드럼님 의견은 그냥 개인적 미학의 문제다"라고 생각하고 이 의견을 미는 분이 혹시 계실지도 몰라서 적어봅니다.
네 가지 방법 중에 어느 방법이 가장 좋을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할 수 있을지 의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일단 오늘은 날이 너무 늦어서 제가 더 연구할 수가 없네요.
현재 김가루에만 폰트를 적용하는 방법이 전혀 진전이 안 나가고 있습니다. 이거 만들려고 쟤네들은 얼마나 생고생했을까… 싶네요. 폰트 우선순위 바꿔봐도 안 되고, css 상에서 subset 지정, text 지정 안 되고, 폰트 편집하는 프로그램은 찾았는데 사용법을 모르겠고… 그렇습니다.
무시 안 하고 해결하려면 그나마 다른 폰트 찾는 게 제일 현실적인 방법인데, 진짜 폰트가 없습니다. 처음부터 woff로 배포하는 폰트는 하나도 없고(바탕체 계열은 있지만 그걸 쓸 순 없겠죠), 괜찮은 폰트는 다 ttf로 배포하면서 포맷 변경 불가능하고, 가끔 가능하면 상업적 이용 불가능하고, 정말 아무 문제 없는 폰트는 쓰는 순간 작품한테 미안해질 만큼 안 예뻐요.
결국 그나마 나은 해결책은… 똑같이 나눔고딕 적용하는 방법일 것 같습니다. 위키 하면서 다들 익숙해지신 점을 감안하더라도, 나눔고딕이 꽤 괜찮은 폰트거든요. 본사 BHL 테마가 Freight Sans를 굳이 따로 body font로 적용한 것도, 만약에 시그마-9에서 쓰는 verdana가 너무 흔하고 따분한 폰트라서(한글의 굴림체/바탕체처럼) 좀 더 보기 좋은 폰트를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면, 이미 그런 생각을 감안해 가면서 나눔고딕을 채택해 봤을 한위키는 이 폰트를 그대로 쓰더라도 무방하지는 않을까 싶습니다.
완전무결한 해결책을 제가 찾았으면 바로 적용하고 말 텐데, 잘 모르는 상황에서 허탈한 땜질 대책밖에 생각이 안 날 것 같고, 또 나눔바른고딕을 못 쓰는 게 저는 되게 아쉬운지라… 의견은 계속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나눔바른고딕에서 해당 부분만 수정한 폰트를 만들었는데…
이걸 어떻게 위키닷에 적용할지는 제가 모르는 부분이라
우선은 제 샌박에 ttf를 업로드 해 두었습니다
블랙 하이라이트이어 테마를 만들고 보니, 오류가 생기더라고요. 테마의 타이틀이나 폰트 보다 블랙 하이라이터 자체가 우선해서 나옵니다. SCP-4774를 보시면 원래 제목에 폰트가 들어가고, 타이틀에 애드 아스트라~ 가 나와야 하는데 SCP 재단이 나옵니다.
이유는 지금 한위키에 있는 블랙 하이라이터가
@import url("https://nu-scptheme.github.io/Black-Highlighter/css/min/normalize.min.css");
@import url("https://nu-scptheme.github.io/Black-Highlighter/css/min/black-highlighter.min.css");
@import url("https://raw.githack.com/XCninety/Black-Highlighter-KR/master/BlackHighlighterKR.css");
형식인데 세 번째 코드가 폰트와 타이틀을 영어에 덮어씌우는 방식이라 그렇습니다.
해결책은 중국 코드를 참고해보니 두 번째 코드를 이렇게 수정하고 적용하면 됩니다. 변경한 사항은 폰트와 타이틀 뿐이고요.
두 번째 코드가 문제면 고칠 수가 없습니다. 이 CSS 파일은 BHL 만드는 사람들 리포지터리에 있어서, 적어도 제가 수정할 수는 없습니다.
별도 CSS를 만들 수는 있겠지만, 저는 필요한 파일들이 본사 BHL팀 깃허브에 올라간 걸 확인하고 "웬만한 오류는 본사가 고치고, 이걸 자동으로 반영할 수 있겠다"라고 확신한 다음에 이 테마를 옮겨왔는지라 (그전까지 오류 굉장히 많아서 적용을 미뤄왔습니다…) 이 CSS를 따로 올렸다간 테마가 사실상 무용지물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차라리 여기에서 고칠 방법을 찾아볼 수는 없을까요?
일단은 조금 단순한 방법으로 임시 해결은 해봤습니다. 일반 인클루드 대신
@import url("https://nu-scptheme.github.io/Black-Highlighter/css/min/normalize.min.css");
@import url("https://nu-scptheme.github.io/Black-Highlighter/css/min/black-highlighter.min.css");
로 세 번째 줄만 빼고 넣었습니다. 그럼 작동은 제대로 되긴하는데…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네요.
위 문제 해결? 임시 땜질? 했습니다. 원래 css 파일부터 테마 타이틀이 "SCP 재단"으로 고정되는 방식이었는데, 이걸 이 페이지 안으로 이동시키니까 되네요. 이게 근본적 해결책인지는 사실 확인할 수는 없는데, 그래도 확실한 점은 이제 SCP-4774에 원문 코드대로
[[include component:black-highlighter-theme-dev]]
[[include component:black-highlightyear-theme]]
라고 쓸 수 있습니다.
header + title 폰트를 본사 두꺼운 폰트에 맞췄습니다.
body 폰트도 본사하고 맞출 수는 있는데, 한위키에서 보니까 앨리어싱이 좀 많은 것 같더라고요.
본사에 없는 기능이라 그런지 한위키 상단바 SCP 시리즈 및 SCP 인터내셔널 탭에서 (옆에 화살표 붙은 경우) 하위 탭이 펼쳐지지 않는데, 블랙 하이라이터 테마에서만 옆 화살표를 안 보이게 한다든지 하는 방법이 없을까요?
다소 단정적으로 말씀드리면, 지금 제 능력 안에서는 없습니다. 예전부터 인식하는 문제였는데, 사실 제가 원래 환경에서 의도된 것까지는 맨날 어떻게든 재현은 해내지만 그 너머로 개조를 잘 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저는 아직도 이 테마 개발자한테 답변을 기다리는 이슈가 있어서, 이 문제를 문의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PS : 지금 개발된 테마들은 설정된 내용을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서 영향을 끼칠 수는 있지만, 내용 자체를 바꾸는 테마는 아직까지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화살표는 톱바 내용에 직접 들어가는지라 이런 점에서 뭘 어떻게 적용하기가 어렵겠네요.
이 포스트에서 BHL에 문제가 있다는 말을 듣고 뭔지 찾아봤습니다. 보니까 이런 문제였어요.
원래 5545는 div로 틀 안에 있는 글자에 전부 별도 폰트(본사: Coming Soon / 한위키: 코트라 손글씨)를 div를 열 때마다 일일이 적용하는 구조입니다. 그런데 지금 BHL CSS에서는 div에 모두 한 가지 폰트(나눔바른고딕)만 적용되도록 덮어씌워 뒀습니다. 이것 때문에 한위키 BHL 테마를 적용하면, 암만 본문에서 div를 어떻게 만지작거리더라도 다 씹히고 CSS가 정한 대로 나눔바른고딕이 적용되어 버립니다.
일부 짧은 글에서는 class를 재지정해서 이 문제를 해결하긴 했는데, 제 생각에 틀 안에 오른쪽으로 가는 서식([[>]] 그거)이 있으면 그것도 안되는 것 같습니다. 지금 5545에서는 폰트를 문장마다 일일이 적용하는 식으로 해결했는데, 만약에 div를 고쳐서 본사식으로 적용하고 싶으면 CSS를 다시 짜야 합니다. 큐빅님이 하신 방법을 제가 그대로 가져온 부분 속에 이 문제가 있어서 저도 이건 어떡할지 난감합니다. 이런 식의 글마다 일일이 문장마다 폰트 적용하라 할 수도 없는데…
BHL 관련 문제는 모르겠으면 디코에만 물어보시지 말고 저한테도 말씀 부탁드리겠습니다. 물론 저도 모르는 건 마찬가지지만, 적어도 저는 CSS를 알든 모르든 "이 테마 만든 사람"이잖아요? 거기서 나오는 나름의 책임감은 저한테도 있고, 최소한 뭐가 문제인지 정도는 찾아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