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밑에 요약 있습니다.

CEO인 미카엘 프라코위악이 작년 2월에 비트코인 포럼에 올린 글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달러→원 변환은 단순히 현재 기준입니다.

위키닷은 월 $20,000(약 2천만원) - $30,000(약 3천만원) 이상의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합니다. (BTC/USD 변동성과 무관)
위키닷이 2019년에 합법적으로 얻은 수익(legitimate revenue)은 $250,000(약 2억 8천만원) 이상입니다.

위키닷의 수익원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1. 사이트에 배치된 광고 (대부분의 무료 사이트 + 광고 게재에 있어 특별 관계를 맺은 사이트)
여러 광고대행사와 협력해왔으며, 현재는 Media.net과 NitroPay와 진행 중입니다.
월 $20,000(약 2천만원) - $25,000(약 2500만원)
2. 유료 업그레이드
월 $2,000(약 2백만원)

graphs.jpg

참고 자료, 클릭하면 새 창에서 열립니다.

위키닷의 월별 고정지출은 호스팅 업체인 AWS(아마존 웹 서비스)에 지불하는 $5,000(약 5백만원) - $6,000(약 6백만원) 정도입니다.

운영 주체인 Wikidot Inc.는 미국 델라웨어에 설립되었으며, 실질적인 운영은 폴란드의 지사에서 이루어집니다. (폴란드 법규 준수, 세금 납부)
회사는 현재 폐쇄 상태이며 주주는 저(미카엘 CEO)와 벨기에에서 온 사업 파트너로 2명입니다.
위키닷의 구매자는 주식을 100% 가져갈 수 있으므로 회사 전체와 모든 지적재산의 소유권을 갖게 됩니다.

위키닷엔 현재 총 300만 개의 사이트, 500만 개의 계정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한 달에 8천만 페이지뷰, 2,400만의 방문이 발생합니다. (트래픽의 60~70%는 미국에서 발생)
광고를 통한 수익 창출에 적합(하다고 주장)합니다.

위키닷의 판매가는 280 BTC나 그에 상응하는 코인(또는 달러/유로)입니다.
280 BTC는 글이 작성된 2020년 2월 당시 기준 약 240만 달러(27억 원)
280 BTC는 현재 기준 약 천만 달러(121억 원)

+보너스) 해당 비트코인 포럼에는 전 EN 관리자(현 위키점프팀 리더)인 bluesoul도 다녀갔습니다. (위키점프 개발 전임)

30일에 보낸 제 메시지에 관해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했기에 다시 상기 시켜 드립니다.


위키닷의 판매가는 3억이다?

아닙니다. 연 매출이 3억 원 정도인 것이 와전된 듯합니다. 판매가는 당시 비트코인 시세를 반영하면 30억 원 정도입니다.

위키닷의 연 매출이 3천~5천만 원이다?

아닙니다. 계정 유료 결제 비용만 따지면 얼추 맞지만, 위키닷의 주 수입원은 한 달에 발생하는 8천만 페이지뷰에 기반한 광고 수익입니다.

위키닷은 적자를 보고 있다?

맞습니다. 본문에 첨부된 사진과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세요.

포럼에서 공개한 위키닷의 안정적인 수입량은 2019년에 25만 달러, 한화로 약 3억 원입니다. 개인으로 보자면 많은 돈이지만, 회사로 보자면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죠. 개발자에게 인건비만 몇 명 쥐여주더라도 금방 동이 날 겁니다.
그동안 위키닷이 해왔던 것을 보면, 소위 말하는 혜자로움이 넘치는 곳이긴 했습니다. 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각종 서비스를 지원하고, 강력한 위키 문법과 사이트 관리 기능 등을 보면 무료 사이트 중에서 이만한 곳이 없을 정도로 뛰어났죠. 반면 그것은 곧 회원 수에 비해 수익이 얼마 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합니다.
위키닷 회원은 2020년 6월 기준으로 약 580만 명의 회원을 가지고 있고, 각종 부계정과 휴면계정들을 감안하더라도 수백만 명의 이 인원들을 가지고 창출해낼 수 있는 금액이 고작 연 3억원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받은 혜택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적으니 판매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반면, 연 25만 달러라는 수익이 하향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도 있습니다. 이는 공개된 통계가 2019년에 한해서만 공개되어있으며, 전성기 시절에는 월 20만 달러의 수익이 있었다는 말도 있으니만큼 위키닷 전체 수익이 사실 몇 년 전부터 하향곡선을 그리면서 판매를 염두에 두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