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영합니다
사슴대학은 마술의 장소입니다. 그거야 당연히 이미 알고 계실 터이고, 바로 그 때문에 입학을 결정하신 것이겠지요. 하지만 입학안내 내용은 거의 대부분이 개똥같은 소리입니다. 그건 신입생 여러분들보다는 여러분 부모님들 읽으라고, 부모님들께서 그 많은 돈을 헛되이 쓰고 있지 않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 만든 거니까요. 그래서 우리는 우수한 학생들에게 신입생들이 진짜로 알아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각자 생각하는 바를 촉탁하였고, 그 중 우리의 드높은 편집기준을 만족하는 단 두 편의 글이 선택되었습니다. 참고로 둘 중 한 명은 우리를 협박을 했고 다른 한 명은 맥주를 쐈습니다.
언제나 그래왔고 앞으로도 계속
우리 새내기들, 너희 인생 중 최악의 4년(정확히는 평균 4.5년이지만 누가 그딴 거 헤아리고 있나?)이 시작된 것을 환영한다. 사슴대에서 보내는 시간 동안, 너희들은 이제 그 전까진 상상도 하지 못한 공포의 경험을 하게 될 거다. 5시간짜리 기적학 랩실, 연속 철야 벼락치기 기간, 학식 커피의 밑 빠진 머그잔, 청원경찰 양반들의 전시(全視)의 눈깔들, 이 모든 것을 지나온 길 끝에는 학사논문이라는 공포의 군주가 잠들어 있지. 그 농안 네 신체적, 정신적, 영적 건강은 계속 나빠질 거다. 앞서 나온 논문보다 살짝 더 비전(祕典)하다는 차이점밖에 없는 논문들을 찍고 또 찍게 될 거다. 느이 부모님은 묻겠지, 너 뭐 공부하니. 그러면 아마 할 말이 없을 걸. 이런 인생의 쓴맛을 겪어나가고, 우리가 학계라고 부르는 무시무시한 기계에 갈려나가는 신세가 되기 전의 좋았던 때를 그리면서 졸업한 뒤로도 교정을 싸돌아다니며 자기보다 몇 살은 어린 애들한테 수작이나 거는 부서진 영혼을 겪으며 너라는 인간은 다시 태어나게 될 거다. 그럼에도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겠지. 그 뒤엔 오로지 발자국, 그리고 앞으로 수십 년은 교정을 떠돌 끔찍한 저주들만을 남겨둔 채.
하지만 먹구름도 시커멓지만 않고 그 가장자리는 흰색이듯이. 여기선 멋지고 흥미롭고 지적인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과 최소 한 번의 삶 이상 지속될 유대관계를 맺게 될 거다. 신비로운 예술에 관한 너희의 전문지식은 면도칼처럼 시퍼렇게 날이 설 것이고, 철학 강의를 같이 듣는 자유의지론자 한 놈의 아갈리를 쌉치게 만들고 다른 사람이 말하게 할 능력 역시 그럴 거다. 너희는 보통 사람은 알 필요가 없을 것들을 배우고, 자연의 법칙들과 자연의 신에 반하는 과업을 수행하여, 현실의 직조에서 환상을 걷어내고 진짜 모습을, 어쩌면 술에 안 취한 상태에서도 볼 수 있게 될 거다. 그리고 다 끝났을 때, 그러니까 너희가 논문의 뱀에게 살해당하고, 팀플을 마치고, 졸업식 무대 위를 가로질러 걸어가게 되었을 때, 마침내 마지막 보상을 받게 되겠지. 너희 이름이 적힌 예쁜 종이쪼가리 한 장. 근데 이건 세상에 나가면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어. FBI에 따르면 우리가 어디 있는 학교를 다녔는지 사람들에게 말해서는 안 되거든.
그렇게 다 마치고 난 순간, 대학 4년이 이것보다 더 끔찍했을 가능성도 있었다는 걸 기억해내고 몸서리를 치게 될 거다. 사슴대 말고 ICSUT에 갔으면 그렇게 되었겠지.
— 종신 학생회장 모르드개 디아볼루스Mordecai Diabolus
여기가 내가 바란 바로 그 곳
좋아 일단 내가 하는 말을 똑똑히 듣고 믿어야 해. 모르드개가 하는 말은 한 마디도 듣지 마. 걔는 문자 그대로 적그리스도거든. 편집실에서 걔가 쓴 글을 실어줄 지 100% 확신은 하지 못하겠지만, 걔는 총운위 전체를 협박할 만한 심각한 협박거리들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확정적으로 자리가 주어졌을 거야. 다행히 나도 뇌물을 써서 이 메시지도 같은 지면에 실릴 거라고 확신할 수 있어. 그러니까, 모르드개가 무슨 말을 했건 간에 사슴대는 좋은 곳이야. 뭐, 일단 학교 제도만 해도 나쁠 건 없고, 공동체와 사람 얘기를 하자면? 믿을 수 없이 멋지지. 교수님들은 각자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들이고, 대부분 강의 크기가 작아서 교수자와 확실히 안면을 트고 지낼 수 있어. 교정에서는 언제나 무언가 벌어지고 있지. 학생회관에서 춤판이 벌어진 것일 수도 있고, 4명짜리 즉석 주문결투일 수도 있고, 아니면 기숙사 휴게실에서 포크송 떼창을 하는 걸수도 있지. 논문 쓰기도 그렇게 나쁜 건 아냐. 네가 정말 사랑하는 논문 주제를 골라서 그걸 쓰는 데 열중하고 있으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 될 거야.
그렇다고 가끔 힘든 일이 아예 없을 거라고는 말 못 해. 대학본부는, 여느 관료제 집단이 다 그렇듯이, 너무 지루해서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지. 청원경찰들이 대마를 압수해가는 일도 한두 번 쯤 있을 거야. 그리고 불행한 일이지만 너희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들도 있겠지. 네가 샤워하러 간 사이 떡을 치겠다고 문을 잠그는 룸메이트, 하우스파티에서 너한테 치근덕거릴 크리피한 남자 졸업생들, 그리고 아가리 닥칠 줄 모르는 자유의지주의자 철학 수강생 한 놈(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그 인간이 무슨 고대의 저주나 원한을 품은 원령일 거라고 확신하고 있거든)까지, 이런 것들과 또 더 많은 것들이 너희의 재학기간 중 오점들로 남게 될 거야. 그리고 언젠가는 37시간 연속으로 깨 있는 가운데 손이 너무 떨려서 논문 다음 문장을 타자치기도 힘든 어두운 영혼의 밤이 올 수도 있을 거야. 그러면 너흰 과거의 자신에게로 돌아가서 여기 와선 안 된다고 경고하고 싶은 마음이 들 수도 있지.
하지만 사슴대에서 생활이 우울해질 때가 있더라도, 그보다 더 나빠질 수 있었다는 걸 기억하고 기운 내. 너희 하마터면 ICSUT에 갈 뻔 했잖아.
— 망명 학생회장 구엔후이파르 시슬브랜치Gwenhwyfar Thistlebranch
이건 내 아름다운 기숙사가 아니야
자, 이제 각자 기숙사를 배정받고 룸메이트들을 만났으면, 이제 사슴대 교성의 거주시설이 진짜 어떻게 돌아가는 것인지 그 심오한 비밀을 알 때가 되었습니다. 각 기숙사는 저마다 별난 기벽들이 있고, 개중에 상당수는 잘 숨겨져 있습니다. 우리는 여러분에게 이것들을 분명히 알려 주는 것이 좋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복도 끝에서 길을 잘못 들어서 1999년으로 가 버릴 수도 있으니까요. 여러분이 일단 주의깊게 조심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숙사 구관은 귀신이 들끓는 흉가입니다. 일요일 밤에 귀신들이 광란의 파티를 벌인다면 귀마개를 쓰세요.
- 어학관들은 아마 교정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들입니다. 다만 예외는 에녹관인데, 에녹관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한 적도 없습니다. 에녹관에 살고 있다거나 에녹어에녹문학과에 다니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을 만날 경우, 귀를 막고 청원경찰에게 달려가세요. 걸어서도 안 됩니다.
- 협곡관은 반대로 실제로 존재하는 곳입니다. 협곡관으로 오라는 초대를 받았는데 찾을 수 없다면 나무에게 도움을 청하세요. 초대가 진짜였다면 협곡의 영들이 당신을 인도할 것입니다.
- 앤더슨관은 예전에 완전 스마트홈으로 운영되었습니다. 어떤 사건이 있기 전까지는요. 숨겨진 패널을 찾으면 방에 갖춰진 붙박이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을 쓸 수 있을 겁니다.
- 귀신들린 건물에 들어가기 위해 죽는 사람들에 대해 농담을 하는 것은 분별없는 짓이며, 사령술을 전공하는 것은 좋은 생각이 아닙니다.
- 블랙우드관은 사실 좀 지겨운 곳입니다. 그냥 기숙사예요. 특별한 점 전혀 없습니다.
- 매드사이 파티에서 나오는 펀치는 마시지 마세요. 대조군일지 실험군일지 여부를 알 길이 없습니다.
과외활동
도서관에 앉아서 조용히 흐느끼는 것 말고도 사슴대에는 할 만한 일이 천지로 널려 있습니다. 기숙사에 앉아서 조용히 흐느끼기, 학생식당에 앉아서 조용히 흐느끼기! 하지만 학업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학교와 무관한 무언가가 심각하게 필요하다, 그리고 학업을 꼭 4년 안에 마쳐야겠다, 그럴 수 있죠. 교정에는 두 개의 아카펠라 그룹이 있습니다. 하나는 진실을 부르는 사람들(Sooth Singers)이고, 다른 하나는 청년 공화주의자단(Young Republicans)입니다. 전자는 전통적인 합창풍 노래를 하고, 후자는 자본주의의 붕괴를 노래하는 통렬한 펑크풍 아카펠라를 합니다. 던전 앤 드래곤스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도 언제든지 찾을 수 있을 겁니다. 뭐 엘프나 마법사가 실제로 사방에 널려있는 마당에 이런 걸 하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할 법도 하지만, 다들 자기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거죠. 그리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분들이라면, 교정 내에 맥스웰파(WAN For All), 디스코르디아교(황금사과 청년단), 교파를 막론한 낼캐교(카르시스트 공동체) 등의 종교 동아리들이 있으니까 그쪽을 알아 보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통념과는 달리 우리 학교에도 스포츠팀들이 있답니다! 사슴대 엘크스(the Deer Elks)가 여분차원도시간 럭비 컨퍼런스에 참여하면서 대개 ICSUT의 여러 분원들과 다투고 있습니다. 더블디 더비스쿼드(the Double Dee Derby Squad)는 스리포틀랜즈에서 가장 인기 좋은 스포츠인 스리포틀랜즈 더비 리그에서 가장 두드러진 팀들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 프리스비, 축구, 미식축구, 탁구 등 어느 팀 하나 무시할 팀이 없지요. 그리고 대학본부에서 사슴대는 퀴디치 팀을 만들 계획이 영원히 없다는 점을 주지시키라는 지시가 있었습니다. 사슴대 교정에서 그런 팀을 조직하려 하거나, 그런 경기 또는 그 변종 경기를 시도할 경우 최대 퇴학 및 출교에 달하는 심각한 징계에 처해질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일화들, 소문들, 그리고 노골적 날조들
실무수습, 학외연수, 학내취업
관심이 있는 사슴대생들을 위한 실무수습은 아주 한 무더기로 쌓여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 몇몇은 심지어 유급 수습입니다! 앤더슨 로보틱스는 빈스 영감 본인부터 여기 출신이니만큼 사슴대생을 채용하기를 좋아합니다. 앤더슨에서 일하기 위해 굳이 전산학을 전공할 필요도 없습니다. 기계기적술에 조예가 있는 기적학 전공자면 충분히 언제나 환영입니다. 심지어 거기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일하는 변칙예술가 동문도 있습니다. 프로메테우스 연구소도 망하기 전까지 엄청나게 많은 실무수습 과정을 운영했고, 모회사가 망한 뒤 떨어져 나온 회사들 역시 여전히 우리 동네에서 사업을 하면서 적절한 직원을 채용하기를 원하고 있습니다.
학교 안에서 일자리를 찾고자 한다면, 적절한 기술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엄청나게 많은 기회들이 널려 있습니다. 기적학과, 생물학과, 연금학과는 언제나 조교와 피험자들을 필요로 합니다. 학생식당과 교내 다방들은 급여가 높지는 않지만 대신 식사와 카페인을 공짜로 해결할 수 있지요. 그리고 숙련된 구마사, 탐험가, 또는 공갈꾼이라면 도서관에서 위험하지만 급여가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한편 지상근무원은 수월한 일자리인 것처럼 보이지만, 협곡 특유의 생태계와 체질이 맞는 사람이 아니라면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나무들에게 가차없이 공격당하게 될 테니까요.
졸업생에게 주어질 기회들
졸업하고 난 뒤에도 사슴대는 졸업생 여러분이 선택하는 진로가 무엇이건 그 진로에서 기회를 찾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UIU와 스리포틀랜즈 간의 특이한 관계는 즉 적지 않은 수의 동문들이 FBI에 소속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비록 그들은 혁명의 날이 오면 가장 먼저 총살대에 올려질 계급배반자들이지만, 솔직히 급여가 아주 쩐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지요. 이빨과 손발톱을 붉게 물들인 자본주의에 투신하고 싶다면, 세계에서 가장 더러운 초상경매장/신사동호회/투자은행업체 마셜 카터 다크의 사장들 중 한 명이 사슴대생 출신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그 소문이 어디서 퍼지기 시작한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요. 그리고 오컬트 연합이 이 동네에서 우리 라이벌들과 특수한 관계를 맺고 있긴 하지만, 그 가맹기구들 중 몇몇은 자기 값어치를 하는 기적사라면 누구든지 고용할 용의가 있습니다.
사슴대생을 고용하지 않는 단체는 하나인데, 별명은 여러 개입니다. 옥리들, 안 미친 광대패, MIB. 그래요. 저 망할 재단 말입니다. "사슴대생을 고용하지 않는다"는 말은 아주 정확한 말은 아닙니다. 저 사악한 음모계획가들에게 합류한 사슴대생들이 있다는 보고가 몇 건 있기는 하니까요. 하지만 그렇게 재단에 들어간 이후 그들의 소식은 영영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 어쩌면 실종된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과거의 삶과 완전히 단절한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애초부터 그런 사람들은 존재하지도 않았을 수도 있지요. 우리를 혼란시키고 겁주기 위해 유포된 유언비어에 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어느 쪽이 사실이건, 옥리들과 편을 먹는 것은 마술세계 전체를 적으로 돌리겠다는 선전포고와 다름없으니, 불초 편집진은 그런 짓은 하지 말라고 만류하고 싶습니다.
직장을 구한 동문들
재단의 사악한 수작질
사슴대의 학보사들
동료 학생들에게 정보와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관심이 있다면, 참여할 수 있는 학보가 세 개 있습니다. 세 학보 모두 언제나 구독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첫 번째 신문이자 가장 “점잖은” 신문은 『오디세이』Odyssey입니다. 『오디세이』는 매주 금요일에 발행되며 학생식당과 도서관 로비에 잔뜩 쌓아 놓고 무료로 배포합니다. 전통적인 구식 신문지를 사용하는 정기간행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디세이』 기사들은 정보전달의 성격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논조는 딱 적당할 정도만 풍자적입니다. 최근 동향과 학교 역사를 알고 싶은 사슴대생들에게는 최적의 매체일 것입니다. 현재 『오디세이』의 주필은 이스마일 무함메드Ismail Muhammed(⁂callmeismail)와 마리아 드러쿠Maria Dracu(⁂nitrousferatu)입니다.
두 번째 신문이자 현재로서 가장 안 점잖은 신문은 『디어 인디펜던트 쿠리어 앤드 크로니클』Deer Independent Courier and Chronicle입니다. 로고 때문에 보통 “가지신문”Eggplant이라고 부릅니다. 이 신문은 학내 디스코르디아교 동아리인 황금사과청년단에서 발행하고 있습니다. 가지신문은 거의 완전히 풍자적이며, 음모론, 농담, 근거 없는 비난기사, 점성술 등으로 가득합니다. 하지만 이들이 본격적으로 탐사보도에 나서면 공을 치다 못해 경기장 밖으로 날려 버리곤 합니다. 가지신문은 5일에 한 번 발행되며, 『오디세이』와 마찬가지로 교정 곳곳의 전략적 위치에 무더기로 쌓여 있습니다. 황금사과청년단 주교 겸 4학년 기적사가 주필을 겸직하며, 현재 그 주필직은 교황 그리프스 팔라키오우스Pope Gryps Phallacious(⁂big_green_bat)가 맡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자치적으로 제작하는 문예 계간지 『연금‘술’사』Alchymyst가 있습니다. 시, 소설, 사진, 시각예술 등을 출판해 포트폴리오에 올리고 싶다면, 『연금‘술’사』가 바로 여러분이 찾아가야 할 곳입니다. 이 친구들은 아무 거나 실어주는 데가 아닙니다. 편집진은 까다롭기로 잘 알려져 있고, 양식보다 본질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연금‘술’사』에 작품이 등재된 작가는 그 즉시 변칙예술계에서 주목받는 존재가 된다는 것입니다. 투고한 작품이 변칙적이지 않을 경우에도 그렇습니다. 그래서 많은 수의 사슴대생들이 투고로써 자기 운을 시험해보곤 합니다. 『연금‘술’사』는 사슴대생 및 동문들에게는 무료이지만, 받아 보기 위해서는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 소중한 전당에서 공부한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15불이라는 적절한 금액이 청구됩니다. 주필진은 자기 정체를 비밀로 숨기고 있으며, 전자우편 주소 ude.reed|supomungam#ude.reed|supomungam. 를 통해 접촉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필름 금고
그래서 마법사 기자(이면서 마법사)가 되고 싶은 사람?
사슴대가 나오는 항목을 쓰기 전에, 먼저 UIU 위치 기록서류 — "스리포틀랜즈", 사슴대학 소개 이 두 글을 반드시 먼저 읽어야 합니다. 그리고 제3법칙 IRC 대화방 #Apotheosis 에 접속하시면 사슴대학의 창조자
ch00bakka가 거기에 있을 겁니다. 그리고 스리포틀랜즈가 나오는 주요 작품들을 쓴 기여자들도 대개 거기서 만날 수 있을 겁니다. (굳이 필수적으로 그래야 하는 건 아닙니다. 사슴대가 나오는 작품을 내가 비토할 생각도 없구요, 그럴 만한 힘이 있는 것도 아니고. 하지만 당신의 작품이 사슴대학의 핵심 컨셉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점이 있다면 우리가 그런 점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사슴대 항목은 제3법칙 카논에 소속될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항목들이 그 카논에 속해 있긴 하지만, 그건 스리포틀랜즈가 제3법칙에서도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사슴대 양식은 학보사 『오디세이』 기사의 형식을 취하고 있습니다. 기사 내용은 학내 교정에서, 또는 스리포틀랜즈 시내에서, 또는 변칙세계 전반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루어야 합니다. 『오디세이』에는 물론 비변칙적인 소식에 대한 기사도 있겠지만, 그런 기사들은 비교적 재미가 없겠지요. 만일 귀하가 지금 대학생이거나, 또는 그 쓰라린 경험을 겪어본 대졸자라면, 모교의 학보를, 거기 속한 양반들이 어떤 논조로 기사를 쓰는지를 떠올려 보세요. 아니면 앞서 쓰여진 기사들을 참고삼아 보세요. 그리고 목록제시형 형식(listicle; "XX한 n가지 YY" 같은 것 — 역자)을 취할 필요는 없지만, 그런 형식을 채택하면 도움이 될 것임도 기억하면 좋습니다.
이 코드는 페이지 맨 위에 삽임되어야 합니다. 폰트를 가져오는 코드입니다. 엄밀히는 css 정책에 위배되는 것이지만 아직까지 나한테 아무도 뭐라고 한 사람 없는 거 보면 구글 폰트를 쓸 수 있도록 정책을 바꿀 모양인지 어떤지 모르겠네요. 어쨌든 마그누스가 화나지 않길 바랍시다.
[[module css]]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Cinzel');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Anton');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Pinyon+Script');
@font-face {
font-family: '꺾깎체';
src: url('https://cdn.jsdelivr.net/gh/projectnoonnu/noonfonts_2104@1.0/SLEIGothicTTF.woff') format('woff');
font-weight: normal;
font-style: normal;
}
#page-title { display: none; }
/*
The Anton font was created by Vernon Adams and is licensed under the Open Font License
The Cinzel font was created by Natanael Gama and is licensed under the Open Font License
The Pinyon Script font was created by Nicole Fally and is licensed under the Open Font License
The 꺾깎체 font was created by 서울특별시평생교육진흥원 and is licensed under the Open Font License
*/
[[/module]]
그 다음 평점 모듈을 넣고, 그 다음엔 이 섹시 섹시한 머릿말을 넣습니다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Cinzel'; font-size: 450%; margin: 2px 0 5px;"]]
Deer College Odyssey
[[/div]]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PinyonScriptRegular'; font-size: 250%; margin: 2px 0 5px;"]]
The Buck Stops Here
[[/div]]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serif; font-size: 125%; border-top-style: solid; border-bottom-style: solid;"]]
[[table style="border: none; width: 100%;"]]
[[row]]
[[cell]]
스리포틀랜즈시
[[/cell]]
[cell style="text-align: center;"]]
yyyy년 mm월 dd일
[[/cell]]
[[cell style="text-align: right;"]]
농담값 - 무료
[[/cell]]
[[/row]]
[[/table]]
[[/div]]
[[/div]]
그리고 기사 표제를 넣습니다. 표제 밑에 전문은 선택사항입니다. 그 다음 줄엔 기자 이름을 쓰고, 이름 옆에 괄호를 친 뒤 보이드(마법 트위터) 아이디를 써 넣습니다.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Anton', '꺾깎체'; font-size: 575%; margin: 2px 0 5px;"]]
영 좋은 기사 표제
[[/div]]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Anton', '꺾깎체'; font-size: 380%; margin: 2px 0 5px;"]]
획기적이고 미증유인 전문
[[/div]]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serif; font-size:120%;"]]
//by 재미있는 이름 (⁂SNS아이디)//
[[/div]]
[[/div]]
기사 본문은 다음 코드를 사용해 가장자리 맞춤을 해야 합니다.
[[div style="text-align:justify;"]]
기사 내용
[[/div]]
부제목들은 표제와 마찬가지로 가운데 정렬해야 하고, 표제보다는 크기가 작습니다.
[[div style="text-align: center"]]
[[div class="unmargined" style="font-family: 'Anton', '꺾깎체'; font-size: 300%; margin: 2px 0 5px;"]]
해학 넘치는 부제
[[/div]]
[[/div]]